$\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잔디 주 생산지역에서 수집된 한국잔디류의 형태적 특성 및 생육속도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Rate of Medium-Leaf Type Zoysiagrasses Collected at Major Sod Production Area in S. Korea 원문보기

아시안잔디학회지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v.26 no.1, 2012년, pp.1 - 7  

최준수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양근모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오찬진 (전남산림자원연구소) ,  배은지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잔디 주 생산 단지인 전라남도 장성군 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한국잔디의 형태적 다양성 평가 및 상기 지역에서 수집된 잔디의 생육속도 등 이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총 101개 개체를 수집하였다. 수집개체를 온실에 포트 상태로 생육시킨 후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형태적 특성으로는 엽폭, 초장, 잎각도, 잎집 길이, 털 유무, 포복경 길이, 엽색 등의 변이를 비교하였으며, 특이성 개체 7개를 선발하였다. 생육속도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잔디 기존 대조품종 8개와 국내 주 생산단지에서 수집된 계통 7개 그리고 육종계통 3개를 비교하였다. 장성징역 수집 잔디 101개체의 평균 엽폭은 3.4 mm로 나타났으며, 잎각도는 45.8도, 초장은 21.6 cm, 최하위 엽의 높이는 5.0 cm 그리고 엽장은 14.1 cm의 특성을 보였다. 피복속도 조사결과 CY6097, CY6069 등이 스프리그 식재 5개월 후 각각 70%, 68.3%의 피복률을 나타내었다. 가장 느린 생육속도를 보인 금잔디의 31.7% 대비 약 2배 빠른 피복속도였다. CY6069의 경우는 피복속도가 안양중지 60.0% 보다 빠르면서도 마디간 길이가 5.1 cm로 짧게 나타나 고품질 계통으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특성 평가를 통해 잔디재배 주 생산단지인 장성 지역에서 생육속도가 빠르며, 고품질의 계통의 대표종을 선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rates of 101 medium-leaf type zoysiagrasses (Zoysia spp.) collected at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South Korea. Collected lines with distinctive morphology and visual growth rate were pl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잔디의 품질 및 내환경성 개선 및 빠른 조성을 위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국내 잔디 주 생산단지의 잔디 품질은 아직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내 잔디 주 생산 단지인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삼계면, 월야면 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한국잔디의 형태적 다양성을 평가하고 상기 지역에서 수집된 잔디의 생육속도 등 이용성을 평가해 장성지역의 대표종을 선발 등록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잔디 주 생산 단지인 전라남도 장성군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한국잔디의 형태적 다양성 평가 및 상기 지역에서 수집된 잔디의 생육속도 등 이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총 101개 개체를 수집하였다.
  • 국내의 경우도 개발된 신품종을 관리하면서 잔디의 이용적 측면을 조사하는 시험포장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포지는 국내에서 활용되고 있는 한국잔디 신품종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초 시험포로 유지관리 하고자 한다.
  • 본 조사는 잔디 깎기를 하지 않고 생육초기 조성상태에서 여러 가지 생육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그러나 잔디가 공원, 스포츠녹지, 사방용 등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잔디깎기 상태에서 잔디의 밀도, 질감, 균일도 등이 추가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잔디의 주요 생산 단지는? 국내에서 한국잔디의 주 생산 단지는 전라남도 장성군, 함평군, 영광군, 고창군 등이며(Choi & Yang, 2006), 주로 중지류가 재배되고 있다. 엽폭이 3-4 mm 정도를 보이는 중지류는 피복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잔디재배 농가에서 선호하는 초종이며, 국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잔디이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잔디의 중지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엽폭이 3-4 mm 정도를 보이는 중지류는 피복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잔디재배 농가에서 선호하는 초종이며, 국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잔디이다. 이들 중지류에는 안양중지, 삼덕중지, 평동중지, 장성중지 등이 있다. 상업종인 안양중지, 삼덕중지 등은 갯잔디(Z.
한국잔디 중에서 중지류를 주로 재배하는 이유는? 국내에서 한국잔디의 주 생산 단지는 전라남도 장성군, 함평군, 영광군, 고창군 등이며(Choi & Yang, 2006), 주로 중지류가 재배되고 있다. 엽폭이 3-4 mm 정도를 보이는 중지류는 피복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잔디재배 농가에서 선호하는 초종이며, 국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잔디이다. 이들 중지류에는 안양중지, 삼덕중지, 평동중지, 장성중지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eard, J.B. 1973. Turfgrass: Science and Culture. Pre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J. pp. 9-11. 

  2. Bae, E.J., N.C. Park, K.S. Lee, S.M. Lee, J.S. Choi, and G.M. Yang. 2010. Distribution and 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native zoysiagrasses (Zoysia spp.) grown in South Korea. Kor. Turfgrass Sci. 24(2):97-105. (in Korean) 

  3. Choi, J.S. and G.M. Yang. 2004. Development of new hybrid cultivar 'Senock' in zoysiagrass. Kor. Turfgrass Sci. 18(4):201-209. (in Korean) 

  4. Choi, J.S. and G.M. Yang. 2005. Comparison of growth rate and cold tolerance with basic species, commercial lines, and breeding lines of zoysiagrass. Kor. Turfgrass Sci. 19(2):131-140. (in Korean) 

  5. Choi, J.S. and G.M. Yang. 2006. Development of new cultivar 'Millock' in zoysiagrass. Kor. Turfgrass Sci. 20(1):1-10. (in Korean) 

  6. Choi, J.S. 2010.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dium-leaf type zoysiagrass (Zoysia spp.) and their classification using RAPDs. Kor. Turfgrass Sci. 24(2):88-96. 

  7. Choi, J.S. and G.M. Yang. 2006. Sod production in South Korea. Kor. Turfgrass Sci. 20(2):237-251. (in Korean) 

  8. Hinton, J.D., D.P. Livingston III, G.L. Miller, C.H. Peacock, and T. Tuong. 2012. Freeze tolerance of nine zoysiagrass cultivars using natural cold acclimation and freeze chambers. 

  9. Kim, D.H., J.P. Lee, J.B. Kim, and S.Y. Mo. 2000. Development of narrow leaf type cultivar 'Konhee' in zoysiagrass. Kor. Turfgrass Sci. 13(3):147-152. (in Korean) 

  10. Kim, H.K., K.S. Kim, Y.K, Joo, K.H. Hong, K.N. Kim, J.P. Lee, S.Y. Mo, and D.H. Kim. 1996. Variation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accessions of zoysia species and their hybrid lines. Kor. Turfgrass Sci. 10(1):1-11. (in Korean) 

  11. NTEP. 2011. National turfgrass evaluation program. www.ntep.org. 

  12. Okeyo, D.O., J.D. Fry, D.J. Bremer, A. Chandra, A.D. Genovesi, and M.C. Engelke. 2011. Stolon growth and tillering of experimental zoysiagrasses in shade. HortScience 46(10):1418-1422. 

  13. Patton, A.J., G.A. Hardebeck, D.W. Willians, and Z.J. Reicher. 2004. Establishment of bermudagrass and zoysiagrass by seed. Crop Science 44(6):2160-2167. 

  14. Rim, Y.W., K.Y. Kim, M.J. Kim, B.R. Sung, Y.C. Lim, E.S. Chung, H.K. Shin, and Y.S. Kim. 2003. Comparis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 of superior lines in the collected lines of zoysiagrass. Kor. Turfgrass Sci. 17(2,3):75-80. (in Korean) 

  15. Schwartz, B.M., K.E. Kenworthy, W.T. Crow, J.A. Ferrell, G.L. Miller, and K.H. Quesenberry. 2010. Variable responses of zoysiagrass genotypes to the sting nematode. Crop Science 50(2):723-729. 

  16. Sladek, B.S., G.M. Henry, and D.L. Auld. 2009. Evaluation of zoysiagrass genotypes for shade tolerance. HortScience 44(5):1447-1451. 

  17. Sladek, B.S., G.M. Henry, and L.D. Auld. 2011. Effect of genotype, planting date, and spacing on zoysiagrass establishment from vegetative plug. HortScience 46(8):1194-1197. 

  18. Stiglbauer, J.B. and H. Liu, L.B. McCarty, D.M. Park, J.E. Toler, and K. Kirk. 2009. 'Diamond' zoysiagrass putting green establishment affected by sprigging rates, nitrogen sources, and rates in the southern transition zone. HortScience 44(6):1757-1761. 

  19. Wherley, B.G., P. Skulkaew, A. Chandra, A.D. Genovesi, and M.C. Engelke. 2011. Low-input performance of zoysiagrass (Zoysia spp.) cultivars maintained under dense tree shade. HortScience 46(7):1033-1037. 

  20. Yang, G.M. 2000. Germplasm collection, reclassification of species, and selection of useful genetic resources within the Genus Zoysia. The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p.74. (in Korea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