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역 주변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공간 특성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crobenthos Community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27 no.2, 2005년, pp.135 - 148  

이형곤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이재학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유옥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김종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crobeilthic fauna were collected using a van Veen grab $(0.1m^2)$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crobenthos community at 28 stations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Southeast Korea, in September 2001. A total of 203 species were sampled with a mean density of $...

주제어

참고문헌 (35)

  1. 마채우, 홍성윤, 임현식. 1995. 득량만의 저서동물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28(5), 503-516. 

  2. 박흥식, 임현식, 홍재상. 2000. 천수만 조하대 연성저질의 저서환경과 저서동물 군집의 시공간적 양상. J. Kor. Fish. Soc., 33(3), 262-271. 

  3. 새만금공동조사단. 2000. 새만금사업 환경영향 공동조사 결과 보고서(환경영향분야). 새만금사업 환경영향공동조사단. 704 p. 

  4. 신현출, 최진우, 고철환. 1989. 서해 경기 내만해역 조간대, 조하대의 저서동물군집. J. Oceanogr. Soc. Kor., 24(4), 184-193. 

  5. 윤성규, 백상규. 2001. 가덕도 주변해역 대형저서동물군집 구조의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4(5), 493-501. 

  6. 이재학, 박자양, 이형곤, 박흥식, 김동성. 2003. 저서오염지수 (BPI)를 이용한 시화호 환경평가. Ocean & Polar Res., 25(2), 183-200. 

  7. 임현식. 1993. 진해만 저서동물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수산대학교. 

  8. 임현식, 박경양. 1999. 반폐쇄적인 영산강 하구역 조하대 연성저질의 저서동물 군집. J. Kor. Fish. Soc., 32(3), 320-332. 

  9. 임현식, 이재학, 최진우, 제종길. 1995. 영종도 주변해역의 저서동물 군집. J. Kor. Fish. Soc., 28(5), 635-648. 

  10. 임현식, 홍재상. 1994. 해양 저서동물 군집을 이용한 진해만의 환경 평가. 한국수산학회지, 27(5), 659-672. 

  11. 주기재, 하경. 1998. 낙동강 유역의 수계생태. 낙동강연구논총, 1, 107-119. 

  12. 최진우, 유옥환, 이우진. 2003. 광양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하계 공간분포양상. J. Kor. Soc. Oceanogr., 8(1), 14-28. 

  13. 한국해양연구소. 1995. 해양저서생물상에 의한 환경평가(해양환경관리기술보고서). 환경부, 과학기술처, 339 p. 

  14. 海洋開發硏究所. 1978. 洛東江 河口의 現生 堆積學的인 調査硏究. PE000 11-20-5, 57 p 

  15. 해양과학공동연구소. 1999. 부산신항 건설사업에 따른 어업 피해 조사(제1편 피해범위). 부경대학교, 928 p. 

  16. 해양수산부. 1999. 연안어장 환경모니터링 기법 개발. 한국해양연구소 BSPG 98292-00-1196-3, 535 p. 

  17. Choi, J.-W. and C.-H. Koh. 1994. Macrobenthic community in Keum-Mankyung-Dongjin estuaries and its adjacent coastal region, Korea. J. Kor. Soc. Oceanogr., 29(3), 304-318. 

  18. Clarke, K.R. and M. Ainsworth. 1993. A method of linking multivariate community structure to environmental variables. Mar. Ecol. Prog. Ser., 92, 205-219. 

  19. Day, J.W., C.S. Hall, and W.M. Kemp. 1989. Estuarine Ecology. John Wiley and Sons. 558 p. 

  20. Folk, R.L. and W.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 Sediment. Petrol., 27, 3-26. 

  21. Frontier, S. 1985. Diversity and structure in aquatic ecosystems. Oceanogr. Mar. Biol. Ann. Rev., 23, 253-312. 

  22. Gray, J.S. 1979. Pollution-induced changes in populations. Phil. Trans. R. Soc. London, B286, 545-561. 

  23. Hartley, J.P. 1982. Methods for monitoring offshore macrobenthos. Mar. Pollut. Bull., 13, 150-154. 

  24. Hong, J.S. and J.H. Lee. 1983. Effects of the pollution on the benthic macrofauna in Masan Bay, Korea. J. Oceanogr. Soc. Kor., 18(2), 169-179. 

  25. Hong, J.S. and J.W. Yoo. 1996. Salinity and sediment types as sources of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macrofauna in Han estuary and Kyonggi Bay. J. Kor. Soc. Oceanogr., 31(4), 217-231. 

  26. Lambshead, P.J.D., H.M. Platt, and K.M. Shaw. 1983. The detecion of differences among assemblages of marine benthic species based on an assessment of dominance and diversity. J. Nat. Hist., 17, 859-874. 

  27. Le Bris, H. 1988. Fonctionnement des ecosystemes benthiques Cotiers au contact d'estuaries : la rade de Lorient et la baie de Vilaine. These doc., Univ. Bretagne Occidentale Brest. 

  28. Olsgard, F., P.J. Somerfield, and M.R. Carr. 1998. Relationship between taxonomic resolution, macrobenthic community patterns and disturbance. Mar. Ecol. Prog. Ser., 172: 25-36. 

  29.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30. Rhoads, D.C., P.L. McCall, and J.Y. Yingst. 1978. Distribution and production on the estuarine seafloor. Am. Sci., 66(5), 577-586. 

  31.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177 p. 

  32. Warwick, R.M., T.H. Pearson, and Ruswahyuni. 1987. Detection of pollution effects on marine macrobenthos: further evaluation of the species abundance/biomass method. Mar. Biol., 95, 193-200. 

  33. Wolff, W.J. 1983. Estuarine Benthos. p. 151-182. In: Estuaries and enclosed seas. ed. by B.H. Ketchum.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 

  34. Word, J.Q. 1978. The infaunal trophic index. p. 19-39. In: Coastal water research project, Annul Report. 

  35. Yoo, J.W. and J.S. Hong. 1996. Community structures of the benthic macrofauna assemblages in Kyonggi Bay and Han Estuary, Korea. J. Kor. Soc. Oceanogr., 31(1), 7-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