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mesozooplankton community in Nakdong river estua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7, 2020년, pp.1 - 11  

강정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김민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 평수기인 5월과 태풍 "두쥐안"이 통과한 직후인 10월 초에 낙동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과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10월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우점종은 따개비 유생, 유공충류와 야광충이었고, 환경특성은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에 의한 담수유입, 난류수 유입과 태풍통과에 의한 수괴혼합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반면 평수기인 5월에는 모든 정점에서 저염분 해수가 강하게 분포하여 담수 기인 지각류(Evadne nordmanni, Podon polyphemoides)가 우점하여 분포하였다. 모든 시기에 울타리 섬을 기준으로 내측에서 표층염분이 가장 낮았고, 외측으로 가면서 증가하였다. 10월의 표층과 저층 평균수온이 동일하여, 수괴혼합이 활발함을 지시했고, 부유물질 평균농도는 5월보다 10월에 높았다. 5월의 영양염 농도가 엽록소-a 농도와 함께 10월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동물플랑크톤 총 평균 개체수는 엽록소-a 농도와 관련된 시기적 차이가 없었으며, 집괴분석결과 동물플랑크톤 분포특성은 모든 시기에 염분분포와 관련되어 세 그룹(울타리 섬 내측, 중간측, 외측)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조사시기동안 낙동강 하구역에서 관찰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기적 분포특성이 상향적 조절(영양염-엽록소-a 농도-동물플랑크톤)보다 수문개방에 의한 담수유입, 난류수 유입정도 그리고 태풍통과 기인 수괴혼합과 관련있음을 지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and the relate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in May and early October shortly after passage of the typhoon "DUJUAN" in 2015.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was dominated by barnacle nauplii, foraminiferans, and Noctiluca scin...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강우량과 수문조절에 의한 담수유입 영향을 직접받는낙동강 하구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연구는 종조성 정보에 머물렀고, 환경과 관련된 동물플랑크톤의 분포특성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역에서 담수유입이 가장 대비될 수 있는 시점을 고려하여 동물플랑크톤 및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 하구 지역의 특징은 무엇인가? 낙동강 하구는 삼각주와 사주발달이 양호한 곳으로,상류에서 유입된 토사가 사주로 발달하여 조류와 파랑과상호작용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지역이다[1]. 1987년에준공된 하굿둑의 건설로 낙동강 하구역은 지형적 변화와함께 해양환경 변화를 가져왔다[1].
낙동강 하굿둑하류부의 특징은 무엇인가? 1987년에준공된 하굿둑의 건설로 낙동강 하구역은 지형적 변화와함께 해양환경 변화를 가져왔다[1]. 특히 낙동강 하굿둑하류부는 수문의 인위적 개폐로 담수와 해수가 급작스럽게 만나 지형과 조류의 영향으로 순환과정이 매우 복잡하다[2]. 담수가 방출되고 해수가 유입되어 급격히 만나는 담수와 해수는 염수 쐐기 형태로 성층화되는 양상을보이며 하굿둑 수문의 개폐에 따라 간헐적인 방류에 수괴가 변화하는 과정에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가 영향을받는다[2-4].
낙동강 하구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생산력과 생물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식물플랑크톤의 생산력과 생물량은 영양염과 빛에 의해 결정되지만, 하구역에서는 식물플랑크톤 성장 제한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오히려 불안정한 수괴, 높은 탁도, 그리고 급격한 염분변화가 영향요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낙동강에 공급된 총 부유물질 중 약 14%가 낙동강 하구역의 대륙붕 내측에 퇴적되며, 나머지 모두 바다로 이동하므로 탁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 A. Lee, S. M. Lee, "Emergy analysis of the Func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and energy, pp. 110-116, November,2006.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856453 

  2. Y. E. Kim, "Hydrological survey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Note of Inje University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Vol. 1, pp.77-86, 1992. http://db.koreascholar.com/article.aspx?code255762 

  3. I. K. Chung, Y. J. Kang, O. S. Kwon, J. K. Seo. The ecology of phytoplankton in the Naktong estuary, Algae, Vol.15, pp.99-110, 2000. https://www.e-algae.org/upload/pdf/algae-2000-15-2 -99.pdf 

  4. I. K. Chung, N. L. Kim, E. H. Song, J. E. Lee, S. R. Lee, "Literature survey on the phytoplankton flor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46, No.4, pp.467-487, 2013.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 ew.do?dbtJAKO&cnJAKO201326952290711&oCnJAKO201326952290711&pageCodePG11&journalNJO U00415417 

  5. R. W. Sterner, D. D. Hagemeier, W. L. Smith, R. F. Smith, "Phytoplankton nutrient limitation and food quality for Daphnia",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38, No.4, pp.857-871, 1993. DOI:https://doi.org/10.4319/lo.1993.38.4.0857 

  6. S. C. Park, K. S. Chu, "Dispersal patterns of river-derived fine-grained sediments on the inner shelf of Korea Strait", Elsevier oceanography series, Vol.54, pp.231-240, 1991. DOI:https://doi.org/10.1016/S0422-9894(08)70098-9 

  7. D. S. McLusky, M. Elliott, The Estuarine Ecosystem: Ecology, Threats, and Management, p.214,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pp. 73-91. https://books.google.co.kr/books?hlko&lr&id9CaQ DwAAQBAJ&oifnd&pgPR7&dqThe+estuarine+ecosystem&otssLcmbmEHT7&sigaBcTAIP5hzyYQw6fCS McyE8fcAg#vonepage&qThe%20estuarine%20ecosys tem&ffalse 

  8. Forecast.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River. c2010[cited 2016 June, 24], Available from: http://web.kma.go.kr/4rivers/sub_03_04.jsp (accessed: June, 24, 2016) 

  9. W. H. Kim, H. H. Lee, "Sediment transport and deposition in the Nagdong Estuary, Korea",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16, No.3,pp.180-188,1980.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 archResultDetail.do?cnNART69851617 

  10. S. W. Kim, K. I. Yoo, Y. K Choi, "Note: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Dynamics with the Construction of River Mouth Dam in Kum River Estuary", Korea, Korean Society of Limnology, Vol.35, No.2, pp.141-144, 2002. 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200218317179545&oCnJAKO200218317179545&pageCodePG04&journalNJOU00014679 

  11. S. H. Youn, G. S. Oh, M. H. Chung,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opepod produc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16, No.4, pp.369-379, 2010.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201015037854756&oCnJAKO201015037854756&pageCodePG04&journalNJOU00291071 

  12. P. G. Lee, C. Park, C. H. Moon, M. O. Park, K. Y. Gwon, "Biomass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The Sea, Vol.6, No.2, pp.93-102, 2001. 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200120417584423&oCnJAKO200120417584423&pageCodePG04&journalNJOU00291346 

  13. C. R. Lee, H. K. Kang, J. H. Noh,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post construction of saemangeum dyke",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1, No.4, pp.327-338, December, 2009. DOI:https://doi.org/10.4217/OPR.2009.31.4.327 

  14. J. W. Jeong, E. H. Jang, S. R. Jeong, "Study on appearance and distribution of zooplankton at Seonakdong River (I)", Republic of Busan Institute Health and Environment, Vol.14, No.2, pp.187-206, 2004. https://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YbBjjxHq7PcJ:https://www.busan.go.kr/Pageownload.do%3Fsavename%3Ds14-16.pdf+&cd5&hlko&ctclnk&glkr 

  15. S. K. Kim, D. G. Hong, M. A. Kang, K. L. Lee, H. Y. Lee, G. J. Joo, J. Y. Choi, "Zooplankton community dynamic in lentic freshwater ecosystems in the Nakdong River basi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9, No.3, pp.410-420, 2015. DOI:https://doi.org/10.13047/KJEE.2015.29.3.410 

  16. C. K. Park, K. D. Cho, S. H. Huh, S. K. Kim, C. H. Cho, "Ecological survey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ulletin of the Korean Fish and Technology Society, Vol.22, No.4, pp.1-20, 1986.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198611920228246&oCnJAKO198611920228246&pageCodePG04&journalNJOU00290569 

  17.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c2016[cited 2016, June, 24], Available from: http://www.water.or.kr/realtime/sub01/sub01/dam/hydr.do?s_mid1332&seq1408&p_group_seq1407&menu_mode3 (accessed: June, 24, 2016) 

  18. S. Park, H. -S. Yoon, I .-C. Lee, H -T. Kim,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water discharge from the Nakdong river barrage,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14, No.2, pp. 111-117, 2008. http://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827053486455.page 

  19. M. -C. Jang, K. Shin, P. -G. Jang, W.-J. Lee, "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hort-term variations of mesozooplankton during summer in Jangmok Bay, south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1, No.1, pp. 41-52, 2010. DOI: https://doi.org/10.4217/OPR.2010.32.1.041 

  20. K. Suzuki, Y. Nakamura, J. Hiromi, "Feeding by the small calanoid copepod Paracalanus sp. on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and ciliates", Aquatic Microbial Ecology, Vol.17, pp.99-103, 1999. https://www.int-res.com/articles/ame/17/a017p099.pdf 

  21. Y. H. Seung, "Water masses and circulations around Korean peninsula",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27, No.4, pp. 324-331, 1992. http://ocean.kisti.re.kr/IS_mvpopo212L.do?methodlist&poidksoc&kojicGHOHCR&sVncv27n4&sFree 

  22. P. -G. Jang, B. G. Hyun, H. -G. Cha, H. -S. Chung, M. -C. Jang, K. Shin,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related to surface water mass in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 Sea in Korea", Ocean Polar Research, Vol.35, No.2, pp. 157-170, 2013. DOI: https://doi.org/10.4217/OPR.2013.35.2.157 

  23. S. C. Yoon, S. H. Youn, Y. S. Suh, "The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n environmental factors after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ol.20, No.1, pp. 1-11, 201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01487 

  24. O. M. Hwang, K. Shin, S. H. Baek, W. -J. Lee, S. Kim, M. -C. Jang, "Annual variations in community structure of mesozooplankton by short-term sampling in Jangmok Harbor of Jinhae Bay", Ocean Polar Research, Vol.33, No.3, pp. 235-253, 2011. DOI:https://doi.org/10.4217/OPR.2011.33.3.235 

  25. J. Choi, J. Kang, W. Park, "Monthly variations of cirriped larvae near Oryuk Islets off Busan,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Vol.33, No.2, pp. 230-239,2015. http://www.ebr.or.kr/journal/article.php?code31675 

  26. Y. Lee, H. Asahi, H. J. Woo, H. J. Kim, S. -J. Lee, B .-K. Khim, "Seasonal variation of planktonic Foraminifera assemblage in response to seasonal shift of 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 in the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Ocean Polar Research, Vol.36, No.4, pp. 437-445, 2014.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402148668937.page 

  27. J. -H. Kang,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carrying capacity of the potentially risky species Noctiluca scintillans at international Korean seaports",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2, No.4, pp. 449-462, 2010.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201007049667512&oCnJAKO201007049667512&pageCodePG11&journalNJOU00035740 

  28. M. Quevedo, R. Gonzalez-Quiros, R. Anadon, "Evidence of heavy predation by Noctiluca scintillans on Acartia clausi (Copepoda)eggs off the central Cantabrian coast (NW Spain)", Oceanologica Acta, Vol. 22, No.1, pp. 127-131,1999. DOI:https://doi.org/10.1016/S0399-1784(99)80039-5 

  29. Y. -A. Lee, S. -M. Lee, "Emergy analysis of the func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Korea, pp.110-116, November 2006.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856453 

  30. J. -N. Kwon, J. Shim, S. Y. Lee, J. D. Cho, "Effects of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 properties on variability of laver produc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south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Korea, pp.868-877, 201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3706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