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좁쌀 약주의 가열살균에 따른 품질열화의 대안으로 비 가열공정 시스템인 미세 및 한외여과용 중공사막(hallow fiber membrane) 카트리지 (cartridge)의 도입을 통한 좁쌀 약주의 고품질화를 시도하였다. 비 가열살균 좁쌀 약주의 제조 및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0.65, 0.45, 0.2및 0.1
Micro-filtration (MF) or ultra-filtration (UF) system with hollow-fiber cartridge was introduc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commercial foxtail millet Yakju, which has an off-flavour and/or undesired colour after the thermal treatment. The filtration effects of cartridges such as MF (0.65, 0.45, 0.2, 0.1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양조주 산업 에서 한외여과 방식은 비가열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8-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저자 등이 좁쌀 약주에서 혼탁 침전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구된 여과 공정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품의 최종단계인 여과 공정에서 비 가열 처리한 좁쌀 혼합약 주의 제조를 시험하였다. 이를 위해 가열살균 대신에 미세 및 한 외 여과용 중공사막(hollow fiber system) 카트리지를 통과시킨 여과액을 무균 병입한 제품과 이를 다시 가열 살균한 제품의 물리 화학적 성상을 상호 비교하고, 아울러 이들을 6개월간 저장하면서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품질을 비교 분석 함으로써 제주산 좁쌀 약주의 고품질화를 시도하였다.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