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미세여과에 의한 비 가열살균 좁쌀약주의 제조 및 저장 중 품질변화

Non Thermal Process and Quality Changes of Foxtail Millet Yakju by Micro Filtration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좁쌀 약주의 가열살균에 따른 품질열화의 대안으로 비 가열공정 시스템인 미세 및 한외여과용 중공사막(hallow fiber membrane) 카트리지 (cartridge)의 도입을 통한 좁쌀 약주의 고품질화를 시도하였다. 비 가열살균 좁쌀 약주의 제조 및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0.65, 0.45, 0.2및 0.1 $\mu$m의 MF(micro-filtration) 카트리 지와 500 K의 UF(ultrafiltration) 카트리지 등 중공사막의 공극의 크기에 따른 제조공정상의 효용성을 시험하였다. 시험한 모든 막 카트리지에서 미생물 제거 능력은 확인되었으나 여과 속도 및 안전성 면에서 0.45 $\mu$m 막 카트리지가 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장 중 모든 시료에서 환원당 및 색택 변화의 차이가 측정되었는데, 6개월 저장 결과 가열살균 약주가 비 가열 약주에 비하여 투명도(L 값)가 감소하고 황청도(b 값)는 크게 증가하여 색택이 어두워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저장 중 환원당의 감소는 색택이 진해지는 비효소적 갈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다른 화학적 성분에 대한 변화는 가열 살균과 비 가열 간에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른 좁쌀약주의 품질에 대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가열살균과 비 가열에 대한 품질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비 가열처리 공정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Micro-filtration (MF) or ultra-filtration (UF) system with hollow-fiber cartridge was introduc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commercial foxtail millet Yakju, which has an off-flavour and/or undesired colour after the thermal treatment. The filtration effects of cartridges such as MF (0.65, 0.45, 0.2, 0.1 $\mu$m) and UF (500 K dalton) wer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Yakju were then evaluated during the 6 months storage at room temperature. The exclusion ability of microorganism in samples was confirmed in all cartridges, but 0.45 pm MF-cartridge was suitable in the Yakju manufacture due to its superior filtration rate and efficiency. Changes in reducing sugar and colour difference of foxtail millet Yakju untreated or treated by heat ($65^{\circ}C$${\times}$10 min) were observed during the storage; after 6 months the L-value of thermal-treatment sample was decreased and its b-value, however, significantly increased so that its color became dark, in comparison to non-thermal treatment sample. This decrease of reducing sugar is assumed that color change is associated with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Sensory Quality of foxtail millet Yakju produced by non-thermal treatment was better than that of thermal treatment.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저자 등이 좁쌀 약주에서 혼탁 침전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구된 여과 공정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품의 최종단계인 여과 공정에서 비 가열 처리한 좁쌀 혼합약 주의 제조를 시험하였다.

    특히 양조주 산업 에서 한외여과 방식은 비가열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8-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저자 등이 좁쌀 약주에서 혼탁 침전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구된 여과 공정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품의 최종단계인 여과 공정에서 비 가열 처리한 좁쌀 혼합약 주의 제조를 시험하였다. 이를 위해 가열살균 대신에 미세 및 한 외 여과용 중공사막(hollow fiber system) 카트리지를 통과시킨 여과액을 무균 병입한 제품과 이를 다시 가열 살균한 제품의 물리 화학적 성상을 상호 비교하고, 아울러 이들을 6개월간 저장하면서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품질을 비교 분석 함으로써 제주산 좁쌀 약주의 고품질화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1. Koh JS. 2003. Jeju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Jejumoonwha, Jeju. p 29 
  2. 2. Kim HS, Yang YT, Jung YH, Koh JS, Kang YJ. 1992. Clarification of foxtail millet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01-106 
  3. 3. Kang YJ, Koh JS. 2003. Improvement on the filteration process of foxtail millet Yakju . Korean J Food Preservation 10: 482-487 
  4. 4. Lee CH, Tae WT, Kim GM, Lee HD. 1991. Studies on the pasteurization condition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44-51 
  5. 5. Bae SM. 2002. Processing technology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Baesangmyun's Research Lab., Seoul. p 120-220 
  6. 6. Girard B, Fukumoto LR. 2000. Membrane processing of fruit juices and beverages: a review. Crit Rev Biotechnol 20: 109-175 
  7. 7. Chang KS. 1999. Application of membrane separation technology to fermented food. Food Science and Industry 32: 2-13 
  8. 8. Kang MY, Park YS, Mok CK, Chang HG. 1998. Improvement of shelf-life of Yakju by membrane filt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134-1139 
  9. 9. Kang HA, Chang KS, Min YK, Choi YH. 1998. Value addition of jujube wine using microfiltration and ultrafilt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146-1151 
  10. 10. Kim DH, Rhim JW, Jung ST. 1999. Clarification and aging fermented honey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330-1336 
  11. 11. Chung JH, Mok CK, Lim SB, Park YS. 2003. Ultrafiltr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86-392 
  12. 12. Chung JH, Mok CK, Lim SB, Park YS. 2003.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during fermentation of peach wine and quality improvement by ultrafilt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06-512 
  13. 13. A/G Technology Co. 2000. UF/MF operating guide2000/2001. A/G Technology Coperation Co., Needham, MA, USA (AmershamBiosciences Corp., Piscataway, NJ, USA at present). p 6 
  14. 14.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3. General examination method (microbiological examination). 10th ed. Korean Official Aanalytical Standard, Seoul. p 78-113 
  15. 15. Hatakana C, Kobara Y. 1989. Determination of glucose by a modification of Somogyi-Nelson method. Agric Biol Chem 44: 2943-2949 
  16. 16. Kim KO, Lee YC. 1995. Food sensory evaluation. Hakyunsa, Seoul. p 225-230 
  17. 17. Shin KR, Kim BC, Yang JY, Kim YD. 1999. Characterization of Yakju prepared with yeast from fruits: 1. Volatile components in Y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94-800 
  18. 18. Fliedner I, Wilhelmi F. 1992. Grundlagen und Preufver-fahren der Lebensmittelsensorik Behr's Verlag, Hamburg. p 222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Access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오픈액세스(OA) 유형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