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로마 함유 치약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about Effectiveness of Essential Oil-Containing Dental Paste in Controlling Oral Malodor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0 no.2 = no.59, 2005년, pp.141 - 148  

전이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강수경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전양현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홍정표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초록

구강 및 전신 질환이 없는 40명의 치과대학생 자원자를 대상으로 이중맹검법을 시행하여 tea tree, lemon, peppermint essential oil이 함유되어 있는 치약을 사용하게 한 후, 전치 절단면으로부터 3 cm 후방역 구취를 Hali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아로마가 첨가된 치약은 구강 내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구취감소효과를 보였다. 2. 아로마를 함유한 치약을 사용한 군에서는 전반적으로 치약 사용 후 2주와 3주에서 구취 증가자 수가 아로마를 함유하지 않은 치약을 사용한 군에 비해 적었다. 3. 구취 증가자의 증가율 평균은 대조군보다 낮았다. 4. 아로마를 함유한 치약을 사용한 군에서는 전반적으로 치약 사용 후 2주와 3주에서 구취 감소율이 대조군에 비해 꾸준히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아로마가 함유된 치약은 구취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아로마를 사용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한계 내에서 치약뿐 만 아니라 구강세척제 등의 구강용품을 개발하여 임상에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many reports for the influence of the essential oils on the oral microorganism were presented, it is important to use the essential oils in clinical field. At the present day which emphasized the quality of life, oral malodor is one of the serious problems, so we need to try to decrease of o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아로마 성분이 구강 미생물에 영향을 미쳐 구취를 억제하는지의 여부를 임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아로마가 함유된 치약과 아로마가 함유되지 않은 치약을 사용하여 임상적으로 비교연구 함으로써 구취 치료의 발전된 치료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Tonzetich J. :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 a review of mechanisms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al., 1977; 48:13-20 

  2. Bosy, A., RDH, M., Ed, M. Sc. : Oral Mlodor ; Philosophical and Practical Aspects. J Canadian Dent Assoc., 1997; 63(3):196-201 

  3. Cary JE. : The development of alkali within saliva and its relation to dental caries. J. Aust. Dent., 1946; 50:4-9 

  4. Berg M., Fosdick LS. : Studies in periodontal disease, II. Putrefactive organism in the mouth. J Dent Res., 1946;25:73-81 

  5. Mcnamara TF., Alexander JF., Lee M. : The role of microorganisms in the production of oral maloder. Oral Sug., 1972;34:41-48 

  6. Sung-Hee J., Lee-Sun J., et al : The effect of essential oil on oral bacteria. Korean J. of Oral Medicine., 2003;28(1):11-21 

  7. Morris PP., Read Rr. : Halitosis : Variations in mouth and total breath oder intensity resulting from prophylaxis and antisepsis. J. Dent. Res., 1949;28: 324-333 

  8. Scully C., Poster SP., Greenman J. : What to about halitosis. Br. Med. J., 1994;308:217-218 

  9. Welsh C: Complementary therapies in hospice care: touch with oils - a pertinent part of holistic hospice care. Am J hospice Palliat Care, 1997;Jan/Fab:42-44 

  10. Lis-Balchin M : Essential oils and 'aromatherapy' :their modern role in healing. J R Soc Health, 1977; 117:324-329 

  11. Sulser GF., Brening RH., Fosdick LS. : Some conditions that affect the odor concentration of breath. J. Dent. Res., 1939;18:355-359 

  12. Berg M., Burrill DY., Fosdick LS. : Chemistry studies in periodontal disease III. Putrefaction of salivary protein. J. Dent. Res., 1947; 25:231-246 

  13. Bosy A., Kulkarni GV., McCullcoach CAG. : Relationship of oral malodor to periodontitis : evidence of independence in discrete subpopulations. J. periodontal., 1994 ;65:37-46 

  14. Pitts G., Pianott A., Ferary TW., McGuiness J., Masurrat T. : The in vivo effects of an antiseptic mouthwash on odor-producing microorganisms. J. Dent. Res., 1981; 60:1891-1896 

  15. Tonzenich J. Direct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sulfur compounds in mouth air in man. Arch. Oral. Biol., 1971;16:587-597 

  16. Rosenberg M., Kulkarni GV., Bosy A., McCullcoach CAG. : Reproducibility and sensitivity of oral malodor measurements with portable sulfide monitor., J. Dent. Res., 1991a;11:1436-1440 

  17. Rosenberg M., Septon I., Eli I., Bar-Ness A., Gelernter I., Brenner S., Gabbay J. : Halitosis measurement by an industrial sulfide monitor. J. periodontal., 1991b;62:487-489 

  18. De Boever EH., De Uzeda M., Loesche WJ. : Relationship between volatile sulfur compounds, BANA - Hydrolyzing bacteria and gingival health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aints of oral malodor. J. Clin. Dent., 1994;4:114-119 

  19. Iwata K., Horikawa I. : Medical and dental microbiology. ToKyo : Iskiyaku 

  20. Sawada T, Kozwka M, Komya T, et al : A novel granulation inhibiting agent from E. globulus. Chem Pharm Bull, 1980 ;28:2546-2548 

  21. Jeanne Rose. The Aromatherapy Book Applications & Inhalations, North Atlantic Books, Berkeley, California, 1992 

  22. Salvatore Bottaglia. The Complete Guide to Aromatherapy, Published by The Perfect Potion (Aust) pty, Ltd, 1995 

  23. Kohut S, Coelho J, Sharma NC, Galustians J, Proskin HM : A short-term brushing model for assessing antiplaque/antigingivitis dentifrice effectiveness : a pilot study. J Clin Dent., 1999; 10:119-1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