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도내 유통중인 75품목의 페이스트 및 액상형 치약 및 구중청량제 제품에 대하여 항균 성분인 트리클로산에탄올 및 보존제인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프로필), 벤조 산나트륨에 대해 사용여부 및 표준제조기준 준수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HPLC, GC를 이용하여 정량시험을 실시하였다. 보존제 검사결과 총 37품목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파라옥시벤조산메틸은 26품목에서 0.003~0.19%,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은 11품목에서 0.002~0.02%, 벤조산 나트륨은 14품목에서 0.1~0.3%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파라옥시벤조산과 벤조산나트륨이 동시에 검출된 치약은 2품목이었다. 어린이용 치약 20품목 중 파라옥시벤조산메틸은 6품목에서 0.03~0.19%,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은 1품목에서 0.01%, 벤조산나트륨은 5품목에서 0.1~0.2%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 중 무파라벤 문구 표시된 제품은 8품목이었으나 벤조산나트륨이 5품목에서 검출되었다. 트리클로산은 75품목 모두 불검출이었으며 에탄올은 19품목 중 16품목에서 4.9~21.9%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 중 3품목은 20.5~21.9%로 함유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거품형 치약 2품목에서도 에탄올이 각각 4.9%, 5.7%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에탄올 함량이 표시된 제품은 1품목이었으며 에탄올무첨가 문구 표시 제품 1품목, 저알코올 문구 표시 제품 1품목이었다. 본 연구결과 유통되고 있는 치약제 및 구중청량제에서 검출된 보존제는 치약제의 허용범위 이하로 사용되고 있었다. 트리클로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에탄올은 대부분의 구중청량제에서 사용되었으나 함량이 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의약외품인 치약제 및 구중청량제는 의약품과 달리 현행 규정상 전 성분 표시가 되지 않고 있으며, 주성분만 기재 의무화 되어있다. 보존제의 경우 75품목 중 3품목에서 주의사항에 사용여부가 표시되어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알권리와 제품 선택권을 위해 제품에 전 성분 표시기재가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에탄올 함량이 주류인 소주보다 높게 나타난 제품이 있어, 이러한 경우 함량 표시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nt status of use about antimicrobial agent (triclosan, ethanol) and preservatives (sodium benzoate, methyl p-hydroxybenzoate, propyl p-hydroxybenzoate) in dentifrice. 75 samples including 16 mouthwash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Contents of tric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각종 언론매체 및 소비자단체 등에 의해 안전성에 대해 문제 제기된 치약제 중 항균성분인 트리클로산과 에탄올, 보존제 벤조산나트륨과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의 사용 여부 및 표준제조 기준준수를 확인하여 유통 치약제의 관리와 소비자의 구매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라옥시벤조산이란 무엇인가? 파라옥시벤조산은 주로 화장품, 식품, 약품 등에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보존 기간을 증가시키는데 이용되는 살균성 보존제로 일반적으로 독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1920년 중반에 약품에 처음 사용된 이래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다8-10). 파라옥시벤조산류(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헵틸, 벤질)는 p-하이드록시벤조산(p-hydroxybenzoicacid, Fig.
파라옥시벤조산의 장점은 무엇인가? 1)의 알킬에스테르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는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이다. 파라옥시벤조산은 낮은 농도에서도 곰팡이에 대해 살균작용이 효과적으로 나타나는데, 에스테르 그룹의 사슬길이가 길어질수록 살균활성은 증가하고 수용성은 감소한다11-14).파라옥시벤조산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으로는 에스트로젠 유사활성을 가져 화장품을 통한 경피흡수를 통해 유방암과 상관성을 갖고 있다15)는 논란과 파라옥시벤조산의 항안드로젠성 또한 수컷 생식계의 기능을 방해하는 것으로알려졌다16)는 것이다.
트리클로산은 어떤 단점을 가지고 있는가? 트리클로산은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도 보고되고 있다. 호르몬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체내에서 호르몬과 관련된 신호전달을 비정상적으로 교란시키고, 호르몬 수용체에 결합하여 여러 종류의 암 증식과정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18-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Euromonitor: Oral Hygiene-Cosmetics and Toiletries in South Korea, pp. 1-11 (2004). 

  2. Park J.H.: The effect of the flouride dentifrice in dental ca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10). 

  3. Jang J.H., Park Y.D., Ryu D.Y.: The effect of garlic extract on antibacterial activity of periopathogens. J. Korean Soc. Dent. Hyg., 12(3), 631-640 (2012). 

  4. Nam S.H., Choi J.O.: Efficacy and Evaluation of Tooth Stain with Various pH Beverages Following Whitening Dentifrice. J. Dent. Hyg. Sci., 13(2), 191-196 (2013). 

  5. Ahn J.H., Kim J.H., Kim, J.H.: Tooth whitening maintence efficacy of dentifrices containing several active ingredients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Acad. Oral. Health, 15(2), 325-332 (2015). 

  6. Ko H.Y., Kang S.M., Kwon H.K., Kim B.I.: Evaluation of fluoride bioavailability in toothpastes. J. Korean Soc. Dent. Hyg., 39(2), 81-87 (2015). 

  7. Kim B.R., Ko H.Y., Han S.Y., Kim H.E., Jung E.H., You AR., Ha W.H., Kwon H.K., Kim B.I.: Efficacy of dentifrices containing policresulen in controlling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formation. J. Korean Acad. Oral. Health, 39(4), 267-272 (2015). 

  8. Golden, R., Gandy, J. and Vollmer, G.: A review of the endocrine activity of parabens and implications for potential risks to human health. Crit. Rev Toxicol., 35, 435-458 (2005). 

  9. Frederiksen, H., Taxvig, C., Hass, U., Vinggaard, A.M. and Nellemann, C.: Higher levels of ethyl paraben and butyl paraben in rat amniotic fluid than in maternal plasma afte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Toxicol. Sci., 106, 376-383 (2008). 

  10. Mizuno, H., Hirai, H., Kawai, S. and Nishida, T.: Removal of estrogenic acitivity of iso-butylparaben and n-butylparaben by laccase in the presence of 1-hydroxybenzotri- azole. Biodegradation, 20, 533-539 (2009). 

  11. Sabalitxchka, T. and Neufeld Crzelliter, R.: Behavior of p-hydroxybenzoic acid in human body. Arzneimittel-Forsch, 4, 575-579 (1954). 

  12. Harvey, P.W. and Darbre, P.: Endocrine Disrupters and Human Health: Could oestrogenic chemicals in body care cosmetics adversely affect breast cancer incidence in women?. J. Appl. Toxicol., 24, 167-176 (2004). 

  13. Darbre, P.D. and Harvey, P.W.: Paraben esters: review of recent studies of endocrine toxicity, absorption, esterase and human exposure, and discussion of potential human health risks. J. Appl. Toxicol., 28, 561-567 (2008). 

  14. Tavares, R.S., Martins, F.C., Oliveira, P.J., Ramalho-Santos, J. and Peixoto, F.P.: Parabens in male infertility - Is there a mitochondrial connection?. Reprod. Toxicol., 27, 1-7 (2009). 

  15. Darbre, P.D., Byford, J.R., Shaw, L.E., Horton, R.A., Pope, G.S. and Sauer, M.J.: Oestrogenic activity of isobutylparaben in vitro and in vivo. J. Appl. Toxicol., 28, 561-567 (2002). 

  16. Oishi, S.: Effects of butylparaben o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in rat. Toxicol. Ind. Health, 17, 31-39 (2001). 

  17. Thompson, A., Griffin, P., Stuetz, R. and Cartmell, E.: The fate and removal of triclosan during wastewater treatment. Water Environ. Res., 77, 63-7 (2005). 

  18. Lim H.D.: Risk Assessment for Toothpaste Product containing Triclos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015). 

  19. Nik, v., Rachel, C.S., Heather, O., Heidi, W., David, J.C., Mark, P.G., Graham, V.A. and Caren, C.H.: The bactericidal agent triclosan modulates thyroid hormone-associated gene expression and disrupts postembryonic anuran development. Aquat. Toxicol., 80(3), 217-227 (2006). 

  20. Kim S.H.: Effect of triclosan on the proliferation of breast and prostate cancer cells and breast cancer suppressive mechanism of kaempfer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015).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Regulations on the Approval, Notification, and Evaluation of Quasi-Drugs, MFDS Notice No. 2015-6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