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류 제조업체의 SCM 활동과 주거래 공급 사슬 특성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pparel Manufacturers' SCM Activities and Their Major Textile Suppliers` and Retailers`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29 no.2, 2005년, pp.307 - 317  

홍인숙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정은숙 (명지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supply chain management (SCM) actiities of apparel manufacturers and th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pparel manufacturers' SCM activities and their major textile suppliers' and retaileers' characteristic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appar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6개 제품범주 의류 제조업체의 SCM 활동수준을 살펴보았고, 의류 제조업체의 SCM 활동수준과 연계 공급 사슬 특성과의 상호관련성을살펴보았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우리나라 패션 업체에서는 현재 대기업과 대형유 통업체 위주로 SCM을 도모하고 있는 실정으로 아직 까지는 초기 도입단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 리나라 의류 제조업체에서의 SCM 활동수준을 파악 해 보고 연계 주거래 공급 사슬 특성과의 상관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SCM을 추 구하고자 하는 의류업체들이 시행착오 없이 신속하 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별 공급 사슬에 적합한 SCM 활동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 리나라 의류 제조업체에서의 SCM 활동수준을 파악 해 보고 연계 주거래 공급 사슬 특성과의 상관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SCM을 추 구하고자 하는 의류업체들이 시행착오 없이 신속하 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별 공급 사슬에 적합한 SCM 활동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의류 제조업체의 대표 적 공급 사슬인 원단공급업체, 유통업체의 특성은 의 류 제조업체의 SCM 활동수준과 상호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본 연구에서는 의류 제조업체의 SCM 활동수준과 주거래 원단공급업체 특성, 주거래 유통업체 특성이 유의적인 상관성이 있는지 조사해 보고자 한다.
  • 연구문제 2: 의류 제조업체의 SCM 활동수준과 주거래 원단공급업체 특성이 유의적인 상관관계 가 존재하는지 조사한다.
  • 연구문제 3: 의류 제조업체의 SCM 활동수준과 주거래 유통업체 특성이 유의적인상관관계 가 존재하는지 조사한다.
  • 의류 제조업체의 SCM 활동수준에 관련된 7개의 요인과 주거래 원단공급업체의 3개 특성을 적용하여 이들 두 변수집단간 상호관련성을 정준상관분석을 통 해 밝히고자 하였다. 마케팅에서는 단일의 목표를 추 구하기보다 다수의 목표를 추구하는 일이 훨씬 더 보 편적이며 두 개의 변수집합에 대해 독립변수나 종속 변수로 정 의하지 않고 단순히 그들 간의 연관성을 다 루는 마케팅 문제에 당면하게 된다.
  • 의류 제조업체의 SCM 활동수준에 관련된 7개의 요인과 주거래 유통업체의 2개 특성을 적용하여 이들 두 변수집단간 상호관련성을 정준상관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표 4>와 같다.
  • 아동복(5%))로 구분하여편의표집 하였다. 자료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각 브랜드의 기획부, 영업부, 물류/자재부서에서 각각 한 부씩 설문지를 받고자 노력하였다. 설문지는 2003년 8월 14일부터 9월 4일까지 수집되었는데 150부 배포, 125부(83%)가 회수되었고 이 중에서 무응답 자료 및 불성실한 응답 자료로 판단한 2부를 제외한 123부 (64개 업체 )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곽보선. (2001). 공급제안관리 시스템이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2. 김영민. (2000). 한국기업의 공급제안관리(SCM) 도입 요인에 관한 연구-무역업체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 원박사학위 논문 

  3. 김영진. (1999). 우리나라 섬유산업에서의 QR/SCM의 문제점과 효율정안 도입방안에 대한 연구-의류제품의 공급 사슬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박대식. (2000). 섬유산업의 QR(Quick Response)활용에 관한 국내외 사례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박연우. (2001). SCM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Y사 공급채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윈 석사학위 논문 

  6. 박진우. (2002).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공급체인관리(SCM) 도입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석사학위논문 

  7. 섬유산업연합회. (2003). 섬유.패션산업의 새로운도전. 서울: 정문사 

  8. 양일모. (2002) 물류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공급망관리 요인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16(3) 

  9. 어패럴뉴스편집부. (2003). 2003/2004 한국패션브랜드연감. 서울:어패럴뉴스사 

  10. 이명호, 이우형, 조하용. (2002). 공급체인관리가 기업의 물류비용과 고객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 관련학회 통합학술대회 발표 논문집,1-7 

  11. 이영윤. (2000). Supply Chain Management와 Outsourcing 을 통한 경쟁력우위 창출 전략,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대 학원석사학위 논문 

  12. 최석윤. (2000). 패션의류산업의 공급 사슬에 대한 비교연규. 대기업과 동대문 시장. 한국 과학기술원 테크노경영대 학원석사학위논문 

  13. 한동철. (2002). 공급사슬관리 SCM. 서울: 시그마인사이트컴 

  14. Artz, K. W. (1999). Buyer-supplier performance: the role of asset specificity, reciprocal investments and relational exchange. British Journal of Management, 10(2), 113-125 

  15. Basner, C., Comer, J., Wisner, J. & Tan, K. C. (2003). Benchmarking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 in New Zealand. Supply chain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8(1), 57-64 

  16. Bechtel, C. & Jayaram, J. (2002). Supply chain management: a strategic perspectiv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8(1), 15-34 

  17. Cooper, M. C, Lambert, D. M. & Pagh, J. D. (1997a). Supply chain management: more than a new name for log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8(1), 1-13 

  18. Ellarn, L. M. (1991). Key success factors and barriers international on purchasing partner-ships. Management Decision, 29(7), 40-44 

  19. Ellram, L. M. (1995). Partnering pitfalls and success fa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Purchasing & Materials Management, 31(2), 36-44 

  20. Ellram, L. M., Gardner, J. T. & Hanks, A. M. (1997b). Meshing multiple alliance. Journal of Business Logistics, 18(1),67-89 

  21. Fearne, A. & David, H. (1999). Success factors in the fresh produce supply chain: in sight from the UK. Supply Chain Management, 4(3), 120-128 

  22. Goffin, K., Szwejczewski M. & New, C. (1997). Managing suppliers: when fewer can mean more.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 Logistics Management, 27(7), 422-436 

  23. Handfield, R. B. & Nichols, J. E. L. (1999). 공급사슬관리, 김선민 역 (1999). 서울: 석정 

  24. Hansen, T. H. & Skytte, H. (1998). Retailer buying behavior: a review.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 8(3), 277-301 

  25. Higginson, J. K. & Alarn, A. (1997). Supply chain management techniques in medium-to-small manufacturing firm. lntem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8(2), 19-31 

  26. Lee, Y. & Kincade, D. H. (2003). US apparel manufacturers' company characteristic differences based on SCM activitie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7(1), 31-48 

  27. Mcpherson, E. M. (1987). Apparel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 A computer-oriented approach. Parkridge, NJ: Noyes Publication 

  28. Narasimhan, R. & Das, A. (1999). Manufacturing' agility and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Produc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Journal, first quarter, 4-10 

  29. Speckman, R. E., Kamauff, J. W. J. & Myhr, N. (1998).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supply chain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 Logistics Management, 28(8), 63-50 

  30. Subramanian, A. & Nilakanta, S. (1996).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innovation, types of innovations and measure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Omega, 24(6), 637-547 

  31. Tim, M., Milena, H. & Yufei, Y. (2002). Supply chain collaboration alternatives: understanding the expected costs and benefits. Electronic Networking Applications and Policy, 12(4),348-3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