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위한 GIS 기반 확률론적 추정 모델과 모수적 모델의 적용
Application of GIS-based Probabilistic Empirical and Parametric Models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8 no.1, 2005년, pp.45 - 55  

박노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자원정보센터) ,  지광훈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자원정보센터) ,  권병두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위해 적용된 기존 GIS 기반 확률론적 공간 통합 모델은 범주형과 연속형 자료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의 자료의 처리를 위한 이론적 배경과 효율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우도비의 틀 안에서 연속형 자료를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비모수적 경험적 추정 모델과 모수적 예측적 판별 분석 모델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유사율과 예측비율곡선을 계산함으로써 두 모델을 정량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제안 모델을 비 교하기 위해 1998년 여름 산사태로 많은 피해를 입은 장흥 지역과 보은 지역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장 흥 지역에서는 두 모델이 유사한 예측 능력을 나타내었으나, 보은 지역에서는 모수적 예측적 판별 분석 모델이 보다 높은 예측 능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제안한 두 모델은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위한 연속형 자료 표현에 효율적 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두 모델이 개별적인 연속형 자료 표현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사례 연구를 통한 검증 작업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ditional GIS-based probabilistic spatial data integration models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have failed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effective methods for integration of different types of spatial data such as categorical and continuous data. This paper applies two spat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T와의 차별성은 이 2가지 모델들을 연속형 자료와 범주형 자료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틀 안에서 이론과 적용시 필요한 기본 가정을 제시하고 비교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다. 1998년 8월 여름 집중호우로 인해 산사태 피해를 입은 경기도 장흥 지역과 충청북도 보은 지역의 사례연구를 통해 모델의 정량적 비교와 적용시 제안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언속형 자료의 우도비 계산을 위해 적용한 2가지 모델 경험적 추정 보델(empirical estimation)과 예측적 판별 분서보델(predictive discriminant analysis model)이다. 기존 연-T와의 차별성은 이 2가지 모델들을 연속형 자료와 범주형 자료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틀 안에서 이론과 적용시 필요한 기본 가정을 제시하고 비교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다. 1998년 8월 여름 집중호우로 인해 산사태 피해를 입은 경기도 장흥 지역과 충청북도 보은 지역의 사례연구를 통해 모델의 정량적 비교와 적용시 제안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그러나 이 경우 범주형화 과정에서 정보의 손실이 따르며, 이 과정이 주관적일 수 있다(박노욱 등, 2003).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범주형 자료와 연속형 자료를 구분하여 처리하고, 특히 연속형 자료의 원래 값을 그대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 의 Spatial Prediction Modeling System을 이용하였다. 사례 연구를 통해 제안한 이론의 실제 적용과정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모델의 비교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하였다.
  • , en|TpH 비례하게 된다. 산사태 취약성 분석에서 중요한 점은 고려하고 있는 연구지역 내에서의 화소간의 상대적인 취약성의 수준의 비교이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앞으로 우도비만을 고려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위의 2가지 가정 하에 여러 지질/지형 자료를 통합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적용하게 되는데, 이 논문에서 적용한 확률론적 우도비의 기본 개념은 다음과 같다. 산사태 취약성 분석의 최종 목표는 미래의 산사태에 대해 취약한 지역과 취약하지 않은 지역을 구분하는데 있다. 두 번째 가정에 따라 산사태에 발생 지역과 미 발생 지역에서의 지질/지형 자료들의 빈도수 분포 혹은 확률 분포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며, 이러한 차이는 산사태 발생지역과 미발생 지역에서의 확률의 비로 정량적으로 부각될 수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위한 기존 GIS 기반 확률론적 공간 통합 모델에서 고려하지 않은 기본 가정을 포함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도비를 기반으로 공간 통합 이론을 적용하였는데, 기존 우도비 기반 모델과 가장 큰 차별성은 연속형 자료의 직접적인 이용에 있다.

가설 설정

  • 만약 연구지역에 여러 유형의 산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유형별로 산사태를 따로 구분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여야 한다. 두 번째 가정 은 통합 모델링에 사용하는 지질자료들은 과거나 미래의 산사태 발생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여러 지질자료이 산사태 발생과 관련하여 제공하는 정보의 질이 보통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을 통해 각 지질자료의 기여도를 추출할 수 있다.
  • 이 논문에서 적용한 예측적 판별 분석 모델은 다변량 정규 분포를 가정하는 최대우도 추정 모델(maximum Ekelihood estimation model)과는 달리 다변량 student- t 분포를 가정하게 된다(McLachlan, 1992). 최대우도 추정 모델과의 차이는 표본 통계치가 얼마나 모집단 통계치에 근접한지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다는 점이다.
  • 자연 현상을 수치화하는 과정에서 단순화 혹은 모델화시킨 지질 및 지형 자료에 대해 정량적 모델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가정이 필요한데,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위해 다음 2가지 가정을 하였다. 첫 번째 가정은 연구지역에서 특정 원인(강우, 지진 등)에 의해 미래에 발생할 산사태의 유형은 과거 발생한 산사태의 유형과 같다는 것이다. 만약 연구지역에 여러 유형의 산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유형별로 산사태를 따로 구분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윤종, 김원영, 유일현 (1992) 광역 지질재해분석(산사태)을 위한 GIS 활용. 대한지질공학회지, 2권, p. 131-140 

  2. 김윤종, 김원영, 유일현 (1993) 지질재해 분석을 위한 GIS 응용연구. 한국GIS학회지, 1권, p. 89-94 

  3. 김원영 외 (2003)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 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 KR-2003 T-03, 339p 

  4. 박노욱, 지광훈, Chung, C.F., 권병두 (2003) 퍼지 이론을 이용한 GIS 기반 자료유도형 지질자료 통합의 이론과 응용. 자원환경지질, 36권, p. 243-255 

  5. 박용원, 김감래, 여운광 (1993) 1991년 용인-안성 지역 산사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지, 9권, p. 103-116 

  6. 이사로 (2000)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기법 개발 및 적용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63p 

  7. 토질안정재료위원회 (1990) 사면 안정 공법. 창우출판, 321p 

  8. 한대석, 이사로, 김경수, 최영섭, 유일현 (1998) GIS를 이용한 한국 동남부지역의 상대적 사면안정성 분류도 작성. 한국GIS학회지, 6권, p. 25-33 

  9. Bonham-Carter, G.F. (1994)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geoscientists: modelling with GIS. Pergamon Press, Oxford, 398p 

  10. Chung, F.C. and Fabbri, A.G. (1998) Three Bayesian prediction models for landslide hazard. Proceeding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athematical Geology (IAMG'98), p. 204-211 

  11. Chung, F.C. and Fabbri, A.G. (1999) Probability prediction models for landslide hazard mapping.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v. 65, p. 1389-1399 

  12. Chung, F.C., Kojima, H. and Fabbri, A.G. (2002) Stability analysis of prediction models for landslide hazard mapping. In Allison, R.J. (ed.) Applied geomorphology: theory and practice. John Wiley & Sons, Inc., London, p. 3-19 

  13. Duda, R.O., Hart, P.E. and Stork, D.G. (1997) Pattern classification.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654p 

  14. Lee, S. and Min, K. (2001) Statistical analysis of landslide susceptibility at Yongin, Korea. Environmental Geology, v. 40, p. 1095-1113 

  15. Lee, S., Choi, J. and Min, K. (2002)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and verification using the Bayesian probability model. Environmental Geology, v. 43, p.120-131 

  16. McLachlan, G.J. (1992) Discriminant analysis and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John Wiley & Sons, Inc., New Jersey, 526p 

  17. Park, N.-W., Chi, K.-H., Chung, C.F. and Kwon, B.-D. (2003) Application of spatial data integration based on the likelihood ratio function and Bayesian rule for landslide hazard mapp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 24, p. 428-439 

  18. Parzen, E. (1962) On the estimation of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nd the mode.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v. 33, p. 1065-1076 

  19. Pearl, J. (1997) Probabilistic reasoning in intelligent systems: networks of plausible inference. Morgan Kaufmann Publishers, San Mateo, Calif., 552p 

  20. SpatialModels Inc. (2004) User's guide of spatial prediction modeling system. 108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