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acutatum 의 포장 밀도 조사를 위한 반선택 배지의 확립 및 활용
Semi-selective Medium for Monitoring Colletotrichum acutatum Causing Pepper Anthracnose in the Field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1 no.1, 2005년, pp.21 - 27  

강범관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민지영 ,  김윤식 (전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박성우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김흥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추 탄저병균인(Colletotrichum acutatum)은 100$\mu\textrm{g}$ / $m\ell$ 의 ampicillin과 tetracycline과 같은 항생물질과 100$\mu\textrm{g}$ / $m\ell$의 carbendazim과 diethofencarb의 혼합체를 첨가한 PDA 배지에서 특이적으로 생장하였다. 탄저병의 발병 정도가 다른 고추 열매르 ㄹ갈아서 C.acutatum의 반선택 배지에 도말한 결과, 발병 정도와 반선택 배지에 나타나는 병원균의 균총 수는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고추를 재배했던 포장에서 이병 잔재물과 토양을 채집하여 반선택 배지 상에서 병원균의 수를 조사한 결과, C.acutatum은 토양보다는 이병 잔재물에서 더 많은 수가 검출되었다. 반선택 배지에 나타난 병원균을 무작위로 10균주를 선발하여 동정하였다. 선발한 균주들의 DNA를 추출하여 C. acutatum 특이적인 printer를 사용한 PCR 을 수행한 결과, 모든 균주가 C. acutatum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confirmed that anthracnose pathogen, Colletotrichum acutatum, could specifically grow on PDA amended with $100\mu\textrm{g}$ /ml of ampicillin and tetracycline, and 100 $100\mu\textrm{g}$/ml of mixture with carbendazim and diethofencarb.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탄저병균의 월동처, 월 동 후 포장에서의 밀도 변화, 전반의 경로 등과 각 단계 에서의 병원균의 양을 정량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주요한 고추 탄저병균인 C. acutatum 을 포장에서 쉽게 분리하고, 토양과 건전 또는 이병 식물 조직상에서의 병원균의 밀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C. acutatum 에 대한 반선택배지를 확립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daskaveg. J. E. and Forster, H. 2000. Occurrence and management of anthracnose epidemics caused by Colletotrichum species on tree fruit crops in California. p317-336. In: D. Prusky, S. Freeman, and M. B. Dickman (eds) Colletotrichum. St Paul, Minnesota, USA 

  2. Alahakoon, P. W., Brown, A. E. and Sreenivasaprasad, S. 1994. Cross-infection potential of genetic group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on tropical fruits. Physiol. Mol. Plant Pathol. 44: 93-103 

  3. Bernstein, B., Zehr, E. I., Dean, R. A. and Shabi, E. 1995. Characteristic's of Colletotrichum from peach, apple, pecan, and other hosts. Plant Dis. 79: 478-482 

  4. Brooker, A E., Sreenivasaprasad, S. and Timmer, L. W. 1991.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slow-growing orange and key lime anthracnose strains of Colletotrichum from citrus as C. acutatum. Phytopathology 86: 523-527 

  5. Correll. J. C., Rhoads, D. D. and Guerber, J. C. 1993. Examination of mitocondrial DNA Restriction fragment len호 polymorphi는, DNA fingerprints, an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of Colletotrichum orbiculare. Phytopathology 83: 1199-1204 

  6. De Cel, A., Martinez- Treceno, A., Saito, T., Lopez-Aranda, J. M. and Melgareio, P. 2005. Effect of chemical fumigation on soil fungal communities in Spanish strawberry nurseries. Appl. Soil Ecol. 28: 47-56 

  7. Freeman, S., Katan, T. and Shabi, E. 1996. Characterization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s from avocado and almond fruits with molecular and pathogenicity tests. Appl. Environ. Microbiol. 62: 1014-1020 

  8. Freeman, S. Katan, T. and Shab, E. 1998. Characterization of Colletotrichum species responsible for anthracnose diseases of various fruits. Plant Dis. 82: 596-605 

  9. Freeman, S., Pham, M. and Rodriguez, R. J. 1993. Molecular genotyping of Colletotrichum species based on arbitrarily primed PCR, A+T-rich DNA, and nuclear DNA analyses. Exp. Mycol. 17: 309-322 

  10. Hodson, A., Mills, P. R. and brown, A. E. 1993. Ribosomal and mitocondrial DNA polymorphi는 in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tropical fruits. Mycol. Res. 97: 329-335 

  11. Ishii, H., Iwamoto, S., Nishimura, K. and Fukaya, M. 1998. Comparative studies on fungicide sensitivity and other characteristics in Colletotrichum isolated from various plant species. p. 529-534 Brighton crop protection conference Pests & Diseases- 1998 Vol 

  12. Johnston, P. R. and Jones, D. 1997. Relationship among Colletotrichum isolates from fruit-rots assessed using rDNA sequences. Mycologia 89: 420-430 

  13. Kim, C. H. and Park, K. S. 1988. A predictive model of disease progression of red-pepper anthracnose. Kor. J. Plant Pathol. 4: 325-331 

  14. Kim, J. T., Park, S. K., Choi, W. B., Lee, Y. H. and Kim, H. T. 2003. Identification of Colletotrichum spp. associated with pepper anthracnose in Korea. (abst.) Plant Pathol. J. 19: 331 

  15. Ko, W. H., Wang, I. T. and Ann, P. J. 2005. A simple method for detection of lipolytic microorgani는 in soils. Soil Biol. Biochem. 37: 597-599 

  16. Liyanage, H. D., R. T. McMillan, Jr., and Kistler, H. C. 1992. Two genetically distinct population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from citrus. Phytopathology 82: 1371-1376 

  17. Massart, S., De Clercq, D. Salmon, M., Dickburt, C. and Jijakli, M. H. 2005. Development of real-time PCR using mionor groove binding probe to monitor the biological control agent Candida oleophila (strain O). J. Microbiol. Methods. 60: 73-82 

  18. Norman, D. J. and Strandberg, J. O. 1997. Survival of Colletotrichum acutatum in soil and plant debris of leatherleaf fern. Plant Dis. 81: 1177-1180 

  19. Park, K. S. and Kim, C. H. 1992. Identification, distribution and et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thracnose fungi of red pepper in Korea. Kor. J. Plant Pathol. 8 :61-69 

  20. Shin, H. J., Chen, Z. J., Hwang, J. M. and Lee, S. G. 1999. Comparison of pepper anthracnose pathogen from Korea and China. Plant Patho. J. 15: 323-329 

  21. Sutton, B. C. 1980. Colletotrichum. p523-536. in The Coelomycetes ed. by Sutton, B. C. pp696 

  22. Viljeon, B. C, Knox, A., Beuchat, L. B., Daek, T., Malfeito-Ferreira, M., Hansen, T. K., Hugo, A., Jakobsen, M., Loureiro, V., Lourens-Hattingh, A. and Vasdinnyei, R. 2004. An inter-laboratory evaluation of selective media for the detection and enumeration of yeasts from blue-veined cheese. Int. J. Food Microbiol. 94: 9-14 

  23. 김홍태, 김윤식. 2004. 우리나라 주요 고추 탄저병균의 변화. p181-206. 한국 고추의 분자유전과 육종. pp522 

  24. 임진현, 이순구. 2004. 고추 탄저병균의 배양형 변이 그리고 병원성 차이. 식물병연구. 10: 203-2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