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acutatum)의 분생포자 비산과 과실병반에 형성된 전염원 밀도
Conidial Disperse of the Pepper Anthracnose Fungus Colletotrichum acutatum and Its Density on Infected Fruit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6 no.1, 2010년, pp.101 - 105  

지형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신순선 (중국하남농대 식물병리학과) ,  이지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원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홍성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용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추 탄저병균인 Collerorichum acutaum의 강우에 따른 비산량과 비산거리 및 포장에서 감염 후 병증상의 발현시기 그리고 병반에 형성된 전염원의 밀도 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고추탄저병균의 분생포자는 비가 오는 날에 99.2%가 비산되었고 맑은 날에는 단지 0.8%의 포자만이 비산하였다. 포자의 비산량은 전염원과의 거리와 정의 상관이 있었다. 고추 탄저병균 포자의 93.3%는 점염원과 30 cm 수평거리에서 60 cm 높이 이하로 전파되었으며 120 cm 높이까지 비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지에서 상대적으로 감수성이 높은 품종의 고추 과실과 낮은 품종의 과실은 각각 4일과 6일 후에 최초로 외부 병 증상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10일 후에 병 증상을 나타내기도 하여 기상환경에 따라 병원균의 잠복기간이 10일 이상일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추 병반에 형성된 전염원인 분생포자의 수는 병방의 크기가 클수록 많았는데 병반의 길이가 1.5 cm 이상일 경우에는 병반 당 천만 개 이상의 포자가 형성되었으며 여러 개의 병반 당 천만 개 이상의 포자가 형성되었으며 여러 개의 병반이 합쳐서 병반 길이가 4 cm가 넘을 경우 1억개가 넘는 포자가 형성되기도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고추 탄저병균인 C. acutatum이 빗물에 튀어서 전파되고 비바람의 강도에 따라 상당히 먼 거리로 전파될 수 있으며 기상환경에 따라 감염 후 10일 이상의 잠복기를 가질 수 있으며 한 개의 큰 병반에는 수 천만개의 전염원인 형성되는 것을 확인되었다. 따라서 고추 탄저병의 가장 효과적인 방제수단은 빗물을 직접 맞지 않도록 하는 비가림 시설이며, 노지에서는 병든 과실을 조기에 제거하고 병 발생 초기에 적절한 약제를 살포하여 전염원의 밀도를 낮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conidial disperse of the pepper anthracnose fungus Colletotrichum acutatum, elapse time for the disease development, and inoculum potentials on infected fruits. Most (99.2%) conidia of the fungus disseminated from inoculum source on the rainy day, while only 0.8%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추 탄저병균인 Colletotrichum acmahg 의 강우에 따른 비산량과 비산거리 및 포장에서 감염 후 병 증상의 발현시기 그리고 병반에 형성된 전염원의 밀도 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고추탄저병균의 분생포자는 비가 오는 날에 99.
  • 하지만 고추 탄저병균이 비가 오는 날과 맑은 날에 어느 정도 비산하는지와 비산거리는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탄저 병균의 분생포자가 빗물에 의해 전파된 후 몇 일만에 과실에 병징이 나타나는지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었다. 본 연구는 노지상황에서 고추탄저병균의 비산과 병징 발현 소요일수 및 고추 과실에 형성된 분생포자의 밀도 등을 이해하여 합리적인 방제대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지형진. 2006. 고추 주요 병해의 친환경적 종합관리. 한국고추연구회지 11: 41-53. 

  2. Jeffries, P., Dodd, J. C., Jeger, M. J. and Plumbey, R. A. 1990. The biology and control of Collectotrichum species on tropical fruit crops. Plant Pathology 39: 343-366. 

  3. 권진혁, 박창석. 2004. 감나무 탄저 병균 Colletotrichum gloesporioides의 분생포자 비산과 농가포장에서 탄저병의 발생과정. 식물병연구 10: 272-278. 

  4. 권천섭, 이순구. 2002. 고추 탄저병의 발병 생태 특성. 식물병연구 8: 120-123. 

  5. 임진현, 이순구. 2004. 고추 탄저병균의 배양형 변이 그리고 병원성 차이. 식물병연구. 10: 203-208. 

  6. Madden, L. V. 1992. Rainfall and the dispersal of fungal spores. Adv. Plant Pathol. 8: 39-79. 

  7. Madden, L. V., Wilson, L. L. and Ellis, M. A. 1993. Field spread of anthracnose fruit rot of strawberry in relation to ground cover and ambient weather conditions. Plant Dis. 77: 861-866. 

  8. Madden, L. V., Wilson, L. L., Yang, X. and Ellis, M. A. 1992. Splash dispersal of Colletotrtichum acutatum and Phytophthora cactorum by short-duration simulated rains. Plant Pathol. 41: 427-436. 

  9. 농촌진흥청. 2009. 유기농기술서-5. 고추 유기재배 매뉴얼. 삼미기획. 139p. 

  10. 농림수산식품부. 2008. 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한라인쇄. 586p. 

  11. Ntahimpera, N., Wilson, L. L., Ellis, M. A. and Madden, L. V. 1999. Comparison of rain effects on splash dispersal of three Colletotrichum species infecting strawberry. Phytopathology 89: 555-563. 

  12. Park, K. S. and Kim, C. H. 1994. Effect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free water period on lesion development and acervulus formation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on red pepper. Korean J. Plant Pathol. 10: 34-38. 

  13. Than, P. P., Prihastuti, H., Phoulivong, S., Taylor, P. W. J. and Hyde, K. D. 2008. Chilli anthras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ecies. J. of Zhejiang University Science B. 9: 764-778. 

  14. Wharton, P. S. and Dieguez-Uribeondo, J. 2004. The biology of Collectotrichum acutatum. Anales del Jardin Botanico de Madrid 61: 3-22. 

  15. Yang, X., Madden, L. V., Reichard, D. L., Wioson, L. L. and Ellis, M. A. 1992. Splash dispersal of Collectotrichum acutatum and Phytophthora cactorum from strawberry fruit by single drop impactions. Phytopathology 82: 332-3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