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급식의 비빔밥 생산과정에 따른 미생물적 품질평가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Bibimbap Production Flow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3 no.2 = no.204, 2005년, pp.19 - 31  

김복란 (강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채순주 (강원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assure the hygienic safety of the Bibimbap production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HACCP(Haz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program. The time-temperature relationship and the microbiological 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요시간은 각 단계의 시작과 끝나는 지점에서 측정하였고, 식품의 온도상태는 각 단계의 끝나는 시각에서 측정하여 2회 실시한 측정값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급식하기까지의 전 생산과정에서 소요시간과 온도상태를 순서대로 측정하는데 각 단계마다 측정하는 이유는 생산과정과 보관단계를 파악하고 작업 공정중 식품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점 단계의 규명을 위한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급식에서 선호도가 높지만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많은 비빔밥을 대상으로 음식 생산 단계를 규명하고, HACCP(Hazaiti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관리방식을 도입하여 비빔밥의 각 생산 단계별로 미생물 변화를 비교 . 분석하여 위험요인 분석에 의한 중요관리점 및 통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학교급식에서 비빔밥 생산 과정을 위생적이고 안전한 생산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 분석하여 위험요인 분석에 의한 중요관리점 및 통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학교급식에서 비빔밥 생산 과정을 위생적이고 안전한 생산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비빔밥의 생산단계를 규명한 자료. 각 단계의 소요 시 간 및 온도상태, 미생물 검사를 종합 .

가설 설정

  • 5. 지단 썬 도마는 표준평판균 수가 3.50 logCFU/ cn?로 만족할 만한 수치였으나, 지단 썬 칼은 기준치를 초과하여 지단을 써는 과정중에 칼에 이미 세균의 증식이 일어나 위험요인을 안고 있었으며, 무침용 용기 역시 수치가 5.36으로 용기에서부터 교차오염이 우려되어 시정을 필요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계승희(1995). 시판음식의 조리단계별 HACCP설정을 위한 연구(II): 일품요리(냉면, 비빔밥)의 위해요인 분석. 한국식생활 문화학회지. 10(3). 167-174 

  2. 계승희. 문현경. 정혜랑. 황성희. 김우선. 문혜영(1995). 한식 제공 음식업소의 위생 및 시설 조사 연구(I): 작업환경 위생 및 조리설비 평가.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9(5), 457-465 

  3. 곽동경(1999). 급식산업의 HACCP 도입 필요성 및 발전 전망. 식품산업과 영양, 4(3). 1-13 

  4. 곽동경, 남순란, 김정미, 박신정, 서소영, 김성희, 최은희(1995). 공동조리 학교급식의 미생물적 품질보증을 위한 위험요인분석. 한국조리과학회지, 11(3). 249-260 

  5. 김문주, 노병의(2000). 초등학교급식에서의 주요식단에 대한 HACCP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6(2). 177-188 

  6. 김연주(2001). 학교급식을 통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식품기호. 식습관 및 식생활태도의 비교: 남제주군 지역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종규(1997). 식중독발생의 사례를 통해 본 집단급식의 문제점 분석. 한국식품위생 안전성학회지. 12(3). 240-253 

  8. 류 경(1996). 병원급식의 미생물적 품질보증을 위한 식품 위해 요소 중점관리 기준 전산프로그램 및 교육훈현 지침서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류승연(1998). 대학교 급식시설에서의 계절별 김밥 생산과정에 따른 HACCP에 의한 미생물적 품질평가.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금순. 이인숙. 금경운(2004). 공동관리 초등학교의 안전한 오징어덮밥 생산을 위한 HACCP 적용. 한국식품영양학회지, 33(2). 365-374 

  11. 박용만(1999). 단체급식에서의 HACCP적용. 식품산업과 영양, 4(3). 30-33 

  12. 손영희(1999), 초등학교 아동의 급식에 대한 만족도와 기호도에 관한 연구: 동해지역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식품의약품 안전청(2004). 식중독 발생현황 통계, http://www.ktda.go.kr 

  14. 유화춘, 박희경, 김경림(2000). 단체급식 메뉴 및 원부재료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5(2). 123-136 

  15. 이규봉(1999). 용인시 초등학교 학교급식 실태 및 개선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원묘(1996). 중. 고등학교의 학교급식이 나아가야 할 방향. 국민영양. 19(6). 11-16 

  17. 이종태(2000). 학교급식 위해요소중점관리(HACCP)제도 도입에 관한 관련업체 인지 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전인경, 이연경(2003), 학교급식소의 HACCP 시시템 적합성 검증: 가열조리 및 가열조리 후 처리 공정의 미생물적 품질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영양학회지, 36(10). 1071-1082 

  19. 정동관, 류은순(2002). 초등학교 단체급식소의 환경과 급식설비에 대한 미생물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1(2), 216-220 

  20. 홍종해, 이용욱(1992). 식품접객업소의 위생개선을 위한 검사 항목 개발과 응용에 관한 연구: HACCP 모델을 이용한 기여인자 분석방법으로. 한국식품위생학회지, 7(2), 533-540 

  21. Bryan, F. L. (1978). Impact of foodbome disease and methods of evaluating control program. J. Environ Health, 40(10), 315-323 

  22. Cremer, M. L, & Chipley, J. R. (1997). Satellite food service system assessment in terms of time and temperature conditions and microbiological and sensory quality of spaghetti and chill. J. Food Sci, 42(1), 225-229 

  23. FDA (1998).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Managing food safety: A HACCP principles guide for operation of food establishments at the retail level. Draft: April, 15 

  24. Harrigan, W. F., & McCance, M. E. (1976). Laboraum: Method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Inc., NY, U.S.A 

  25. HEW (1978). Food Service Sanitation Manual. Hew Pub., No., (FDA). 70-2081, Washington DC, USA 

  26. Rowley, D. R, Toumy, J. H, & Westcott, D. E. (1972). Fort Lewis Experiment : Application of food technology and engineering to central food preparation. U.S. Army Natick Laboratories, Natick, M.A., Report 72-46-Fl 

  27. Setiabuhdi, M., Theis, M., & Norback, J. (1997). Integrating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HACCP) and sanitation for verifying food safety. J. ADA, 97, 889-891 

  28. Solberg, M., Buckalew, J. J., Chen, C. M., Schaffner, D. W., O'Neil, K., McDowell, J., Post, L. S., & Boder, M. (1990).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service facilities. J. Food Technol, 44(12), 68-73 

  29. Stauffer, L., D. (1971). Food service: Sanitation and the human ingredient. Hospitals, 45(13), 62-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