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렌드 조성과 상용화제가 폴리프로필렌/ABS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end Composition and Compatibiliz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Blend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29 no.1, 2005년, pp.19 - 24  

박정훈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승유택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김우년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홍존희 (현대.기아자동차 연구개발본부) ,  홍병권 (현대.기아자동차 연구개발본부) ,  유태욱 (현대.기아자동차 연구개발본부) ,  윤호규 (고려대학교 재료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한 고분자 블렌드에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이축압출기를 통해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lzod 충격 시험기를 사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PP/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 블렌드의 경우, PP-g-styrene acrylonitrile(PP-g-SAN)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 기계적 물성이 증가하였으며, ethylene-ethyl acrylate-maleic anhydride(E-EA-MAH-g-SAN)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서 연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P/ABS/polycarbonate(PC)/Nylon-6,6 블렌드의 경우, ethylene glycidylmethacrylate(E-GMA) 상용화제를 0.5 phr 첨가함에 따라 충격강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P/ABS/PC/Nylon-6,6/poly(methyl methacrylate)(PMMA)/poly(oxymethylene)(POM)/poly(vinyl acetate)(PVC)/poly(butylenes terephthalate)(PBT) 블렌드에서 PP-g-SAN 같은 물리적 상용화제와 E-GMA 와 E-EA-MAH-g-SAN 같은 반응상용화제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이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mer blends containing polypropylene (PP) with compatibilizers were prepared using twin screw extruder. Phys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using universal test machine (UTM) and Izod impact tester. In the PP/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blends, mechanical strength was increased with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응상용화제를 사용한 PP/ABS 블렌드의 상용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EA-MAH-g-SAN 공중합체를 상용화제로 사용한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고분자의 새활용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자동차에 사용되는 고분자인 PP/ABS/PCTNylon-6, 6/ PMMA/ 폴리(옥시 메틸런l)(poly(oxy methylene) : POM)/폴리(비닐 클로라이—) (poly(vinyl chloride) : PVC)/PBT 블렌드를 이축압출기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조성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제조하였다. 사출 성형기의 호퍼부분의 온도는 200℃로설정하였고, 노즐부분은 250℃로 설정하였으며, 금형의 온도는 60 ℃를 유지시켰다. 사출압력은 호퍼에서 노즐 방향으로 40, 45 그리고 50 kg/cm?의 순서로 설정하였으며, 보압은 50 kg/cn?로 사출 후 10초간 유지시켰고 배압은 55kg/cm2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D. R. Paul and C. B. Bucknall, Polymer Blends, John Wiley & Sons, New York, 2000 

  2. L. A. Utracki, Polymer Alloys and Blends, Hansen, New York, 1989 

  3. J. Scheirs, Polymer Recycling, John Wiley & Sons, Chichester, 1998 

  4. H. R. Brown, Macronwlecules, 22, 2859 (1989) 

  5. C. Creton, E. J. Kramer, and G. Hadziioannou, Macrorrwlecules, 24, 1846 (1991) 

  6. S. Kim, J. K. Kim, and C. E. Park, Polymer, 38, 1809 (1997) 

  7. S. B. Chun and C. D. Han, Macromolecules, 33, 3409 (2000) 

  8. B.Lowenhaupt and G.P. Hellmann, Colloid. Polym. Sci., 268, 885 (1990) 

  9. A. Adedeji, A. M. Jamieson, and S. D. Hudson, Macromol. Chem. Phys., 197, 2521 (1996) 

  10. C. Harrats, S. Blacher, R. Fayt, R. Jerome, and Ph. Teyssie, J. Polym. Sci., Polym. Phys. Ed., 33, 80 (1995) 

  11. B. Heck, P. Arends, M. Ganter, J. Kressler, and M. Stuhn, Macronwlecules, 30, 4559 (1997) 

  12. C. A. Dai, K. D. Jandt, D. R. Iyengar, N. L. Slack, K. H. Dai, W. B. Davidson, E. J. Kramer, and C. Y. Hui, Macromolecules, 30, 549 (1997) 

  13. J. Noolandi and K. M. Hong, Macronwlecules, 17, 1531 (1984) 

  14. W. N. Kim and C. M. Bums, Macromolecules, 20, 1876 (1987) 

  15. W. N. Kim and C. M. Bums, J. Polym. Sci., Polym. Phys. Ed., 28, 1409 (1990) 

  16. Y. S. Chun, J. H. Park, J. B. Sun, and W. N. Kim, J. Polym. Sci., Polym. Phys. Ed., 38, 2072 (2000) 

  17. J. H. Park, W. M. Sung, J. C. Hyun, W. N. Kim, B. K. Hong, J. H. Hong, and Y. S. Lim, Polymer(Korea), 26, 53 (2002) 

  18. S. S. Dagli, M. Xanthos, and J. A. Biesenberger, Polym. Eng. Sci., 34, 1720 (1994) 

  19. W. Hale, H. Keskkula, and D. R. Paul, Polymer, 40, 365 (1999) 

  20. W. Hale, L. A. Pessan, H. Keskkula, and D. R. Paul, Polymer, 40, 4237 (1999) 

  21. K. Dedecker and G. Groeninckx, Polymer, 39, 4985 (1998) 

  22. S. AI-Malaika, Reactive Modifiers for Polymers, Chapman & Hall, London, 1997 

  23. L. E. Nielsen and R. F. Lande!, Mechanical Propenies of Polymers and Composites, Marcel Dekker, New York, 1994 

  24. B.Wong, and W. E. Baker, ANTEC, 283 (1996) 

  25. R. A. Kudva, H. Keskkula, and D. R. Paul, Polymer, 39, 2447 (1998) 

  26. Y. J. Sun, G. H Hu, M. Lambla, and H. K. Kotlar, Polymer, 37, 4119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