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우리나라의 4개 도시(서울, 부산, 대구, 대전)와 4개 지방(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의 동물병원에 내원하는 875두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FeLV와 FIV에 대한 유병율을 조사하였다. 그 중 715두는 건강하였고 160두는 질병을 갖고 있었다. FeLV와 FIV에 대한 유병율은 AGEN/sup ⓡ/ FeLV-FIV kit (AGEN Biomedical)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FeLV는 조사대상 875두 중 10두 (1.1%)의 유병율을 나타내었고, FIV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질병을 가진 고양이 집단의 FeLV 유병율은 3.8%로서 건강한 고양이 집단에 비해 훨씬 높았다. 1-3세의 고양이는 어린 고양이에 비해 유병율이 현저히 높았다. FeLV 유병율은 사육환경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지역별 비교에서는 경상도에서의 유병률이 42두 중 4두로 9.5%를 나타내어 가장 높았다. 전국적인 FeLV의 유병율은 다른 나라에 비해 아직 높지 않지만 여러 지역에서 검출되기 때문에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 강조되었다.
Seroprevalence of feline leukemia virus (FeLV) and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FIV) infections were surveyed in 875 domestic cats derived from 4 major cities and 4 provinces in Korea. Of those tested, 715 were healthy and 160 were sick. FeLV and FIV were tested with AGEN/sup ⓡ/ FeLV-FIV, a commercial combo test kit. Ten out of 875 cats (1.1 %) were seropositive for FeLV and none out of 875 cats (0%) was positive for FIV,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s for FeLV were 3.8% in sick cats and 0.6% in healthy cats. The cats at the age of more than 1 year showed higher incidence rates than the younger one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either with the environment or with the sex. The prevalence of seropositive FeLV was 0.7% in mixed cats and 1.6% in pedigree cats. With respect to the regional prevalence of the FeLV, the highest seroprevalence (9.5%) was found in Gyeongsang province.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