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발효차의 이화학적 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eas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18 no.1, 2005년, pp.94 - 101  

정영희 (광주보건대학 식품영양학과) ,  신미경 (원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녹차와 발효 정도에 따른 발효차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차의 수분함량은 2.04% 이었으며, 각각 발효된 차의 수분함량은 2.01∼2.02%로 나타났고, 총질소 함량은 3.49∼3.5%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Ca, Mg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a, K, Al, Fe, Zn, Cu, Ni 등 대부분의 무기질이 홍차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Vitamin C 함량은 녹차가 670.62 mg으로 169.70∼85.03 mg을 보인 발효차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Vitamin E와 β-carotene 함량은 녹차> 청차> 황차> 홍차 순으로 나타났다. Rutin함량은 녹차가 0.12%, 홍차가 1.37%로 발효가 많이 된 차일수록 함량이 증가되었다. 녹차에는 총 아미노산이 2,270.96 mg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 Asp, Leu로 각각 342.01 mg, 165.32 mg, 161.69 mg이 함유되었고, Glu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발효된 차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홍차가 2,219.08 mg으로 가장 높았고, 청차가 1,963.22 mg, 황차가 1,618.76mg으로 홍차> 청차> 황차 순으로 발효가 가장 많이 된 홍차가 가장 높았다. Caffeine 함량은 녹차 1.17%, 각각의 발효차는 1.15, 1.32, 1.05%로 발효에 따른 함량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Theanine 함량은 녹차 0.95%, 발효차는 0.73∼l.42%를 나타내었다. 총 Catechin함량은 녹차 12.84%로 가장 높고,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Flavonoid 함량은 녹차가 1.0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의 지표인 DPPH radical 소거능은 녹차 4.73%, 청차 4.86%, 황차 19.5%, 홍차 8.43%로 나타나 황차가 항산화성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ion. The moisture content of green tea, blue tea, yellow tea and black tea was 2.02∼2.04%.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was 3.78 % in green tea and 3.49∼4.03% in fermented tea. Th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Tarr6) 및 Blauch, Tarka7) 의 방법을 변형하여 시료 3 g에 80℃ 증류수 30 mL를 가하고 수욕조에서 60분간 추출한 후, 여과한 여액 50 mL를 정용하고 즉시 Millipore filter(pore size 0.4 nm)로 여과하여 Table 1의 조건에 따라 HPLC로 분석하였다.
  • 그러나 우리나라의 차에 대한 연구는 녹차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대엽종으로 제조된 수입된 발효차의 일부 연구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국내 녹차와 청차, 황차, 홍차를 수집하여 일반 성분, 유리아미노산,theanine, cathechin 및 caffeine 함량을 분석하여 녹차 및 각각의 발효차의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 다
  • 일반 성분은 AOAC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수분은 공정분석법, 총질소 함량은 semimicro J^eldahl 질소 정 량법으로 분석하였다. 무기질은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ICP-AES(IntergraXM2, GBC, Australia)로 Plasma : 15.0 m/min, Auxilary : 1.50 L/min, pump speed : 25.0 rpm, carrier gas flow : 75 psi, Nebu­ lizer :250 kpa, Integration time : 3 sec, cooling water flow : 2 kgfcm2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 45 Jim membrane ter로 여과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Waters 717 U6K injector, 510 pump, 680 gradient controller, 486 absorbance dectector, millenniuin software로 이루어진 HPLC system에서 행하였고, column은 pico-tag colu- mn(3.9x 150 mm, 4 Waters)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중에는 47℃로 유지하였다. 이때 이동상으로는 Eluant A(Waters)를 사용하였고, Eluant B는 60% acetonitrile을 사용하였다.
  • 비타민 C, E, B-caEene 및 rutin 함량은 Table 2의 조건에 따라 HPLC(ShimMzu SPD-7AV, Japan)로 분석하였다.
  • Theanine^; 60 mesh 로 마쇄한 시료 1을 100 mL로 정용하여 80 ℃ 항온 조 수조에서 60분간 진탕한 후 16, 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buflfer(pH 2.2, 0.3 mL)로 희석한 후 0.45 Jim membrane ter로 여과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Waters 717 U6K injector, 510 pump, 680 gradient controller, 486 absorbance dectector, millenniuin software로 이루어진 HPLC system에서 행하였고, column은 pico-tag colu- mn(3.
  • 재건조된 시료에 water : methanol : trimethylamine : phenyl isothiocyanate(7 : 1 : 1 : 1) 혼합용액 20L를 첨가하여 phenylthiocabamyl amino acid로 유도체화시킨 후 다시 건조시켰다. 여기에 sample dilute(Waters) 250 uL를 첨가하여 건조된 시료를 용해한 후 Table 2의 조건에 따라 HPLC로 분석을 행하였다.
  • 차의 catechin(epigallocatechin(EGC), epicatechin(EC),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epicatechin gallate(ECG)함량은 , Shao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시료를 전처리한 후 HPLC로 동시 분리 정량하였다. Catechin 혼합표준용액을 methanol : water: 0.
  • 이를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Spectrophotometer(Hewlett Packard 8453 USA)로 420 nnm에서 측정하였고 blank는 시료용액 대신에 50% methanol 용액을 이용하였다. 총 flavonoids 함량은 naringin (Sigma Co.)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 환산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03년 전남 구례에서 출하된 녹차, 청차, 황차, 홍차를 구입한 후 Fitz mill(The Fitz Patrick Company, NO DASO6.)로 100 mesh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분말화하여 - 70에서 냉동보관하면서 (Model No : U85-22, SO- LOW Environmental equipment Cincinnati, Ohio U.S. A) 사용하였다.
  • 9x 150 mm, 4 Waters)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중에는 47℃로 유지하였다. 이때 이동상으로는 Eluant A(Waters)를 사용하였고, Eluant B는 60% acetonitrile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Table 2. The content of moisture, total nitrogen and minerals in degree of fermented Korean teasValues are means±S.D.Means with different letters(a, b, c) with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p=0.05 as determin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Table 2. The content of moisture, total nitrogen and minerals in degree of fermented Korean teasValues are means±S.D.Means with different letters(a, b, c) with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p=0.05 as determin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실험 시 얻은 자료는 SAS에 의한 One way ANOVA를 실시한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서로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 1과 같다. Flavonoid 함량은 Goldberg, 의 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건분 1 g에 50%(v/v) me­ thanol 60 mL를 가하여 80℃에서 1시간 환류추출하였다.
  • 아미노산 분석은 Pico-tag®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적당량의 시료(단백질 10 mg)를 시험관에 넣고 0.
  • 일반 성분은 AOAC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수분은 공정분석법, 총질소 함량은 semimicro J^eldahl 질소 정 량법으로 분석하였다. 무기질은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ICP-AES(IntergraXM2, GBC, Australia)로 Plasma : 15.
  • 항산화 활성은 Blosis의 방법에 근거하여 각각의 시료를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여러 농도의 시료를 4 mL의 methan이에 녹여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종태. 茶의 과학과 문화, pp.8-153. 도서출판 보림사. 1996 

  2. 정란희. 만병을 고치는 녹차혁명, pp.15-16. 예담. 2003 

  3. Choi, OJ, Choi, KH. The phyx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em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3):356-362. 2002 

  4. 정동효, 김종태. 차의 과학. pp.51-53. 대광서림. 2003 

  5.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26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95 

  6. Tar, GE. Methods of protein microcharacterization, pp.155-194. Human press, Clifton NJ. 1986 

  7. Blauch, JL and Tarka, SM. HPLC determination of caffein and theobromine in coffee, tea and instantant hot, cocoa mixes. J. Food Sci. 48:745-747. 1983 

  8. Shao, W., Powell, C., Clifford, M.N. The Analsis by HPLC of green, black and Pu,er teas produced in Yunnan. J. Sci. Food Ag, ic. 69:535-540. 1995 

  9. Goldberg I. Functional foods. pp.55-61. Chapman and Hall. New York. 1994 

  10. Blois MS.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 1959 

  11. SAS. SAS User's Guide. Statistics, 5th ed.,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987 

  12. Ikegaya, K., Taka yanagi, H., Anan, T. Quantitative analysis of tea constituents. 嗟惜. 71:43-47. 1990 

  13. Lee, YJ, Ahn, MS and Hong, KH. A study on the content of general compounds, amino acid, vitamins, catechins, alkaloids in green, oolong and balck tea. J. FD Hyg. Safety 13(4):377-382. 1998 

  14. Shihoko T, Yumie M, Toshio M, Yusuie S, Kazuo I. Comparison of caffein and catechin components in infusion of various tea(green tea, ooling and black tea) and tea drink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4:24-27. 1987 

  15. Kawakami M, Uchida H, Kobayashi A. Correlation between caffeine and total nitrogen in small tea leaf species and large tea leaf species. Nippon Nogeikagaku Kaishi 61:365-367. 1987 

  16. Park, JH, Kim, JB and Kim KS.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eaves in domestic tea plant. J. Kor. Tea Soc. 2(1):119-127. 1996 

  17. Choi SH. The aroma components of green tea, the products of Mt. Chiri garden. J. Korean Soc. Food Nutr. 25:478-483. 1996 

  18. Yamamoto M, Sano M, Matsuda N, Miyase T, Kawamoto K, Suzuki N, Yoshimura M, Tachibana H, Hakamata K. The change of epigallocatechin-3-O(3-O-methyl)gallate content in tea of diffrent varieties, tea of crop and processing method.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8: 64-68. 2001 

  19. Yeo, SG, Ahn, CW, Lee, YW, Lee, TG, Park, YH and Kim, SB. Oxidative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Soc. Food Nutr. 24(2):299-304.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