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마우스 수정란의 초기 배 발생단계별 Telomeric DNA의 양적 분석과 Telomerase 활성도 분석
Analysis of the Amount of Telomeric DNA and Telomerase Activity on Preimplantation Mouse Embryoic Cells 원문보기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 한국동물번식학회지, v.29 no.1, 2005년, pp.1 - 7  

강민영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동물생명산업연구센터) ,  한명숙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동물생명산업연구센터) ,  이상찬 (세화병원) ,  김종흥 (세화병원) ,  손시환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동물생명산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텔로미어란 염색체 말단부에 (TTAGGG)n의 반복 염기서열이 단백질과 결합된 형태를 말하는데 이의 역할은 염색체의 안정성에 본질적으로 작용하여 세포의 노화, 사멸 및 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텔로머레이스는 telomeric DNA 합성에 직접 관여하는 ribonucleoprotein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염색체의 텔로미어 분포 양상을 제시하고, 초기 배 발생단계별 수정란의 텔로미어 함량과 이들 수정란의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분석에는 마우스의 섬유아세포, 생식세포, 정자, 난자 및 1세포기, 2세포기, 4세포기, 8세포기, 상실배와 배반포배의 각 단계별 수정란을 대상으로 하였다. 텔로미어의 양적 분석은 human telomeric DNA probe를 이용한 Q-FISH 방법을 이용하였고,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TRAP 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마우스 염색체의 텔로미어는 성 염색체를 포함한 모든 염색체의 앙 말단부에 분포되어 있고, 염색체별 다소의 양적 차이를 보이나 대부분의 염색체에서 q-arm 말단이 p-arm 말단에 비해 높은 텔로미어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Q-FISH를 이용한 마우스 초기 배 발생단계별 수정란의 텔로미어의 양적 분석에서 수정 직후 1세포기에서부터 상실배까지 거의 비슷한 텔로미어 함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나 배반포기에서 월등히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TRAP 분석을 이용한 초기배아의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초기 배 발생 모든 단계에서 이의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실배 및 배반포기에서 점진적으로 강한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로부터 마우스의 초기 배 분열단계의 각 세포들에 있어 텔로미어의 함유율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포유동물의 초기 배자에 있어 텔로미어의 함유율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배 발생 및 배자의 세포 분화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텔로미어의 양적 분석 및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분석은 발생학적 연구를 위한 또 다른 좋은 자료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lomeres consisting of (TTAGGG)n tandem repeat DNA sequences and associated proteins are essential for chromosome stability and related with cell senescence, apoptosis and cancer. The telomerase is a ribonucleoprotein which act as a template for the synthesis of telomeric DNA. This study was car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마우스 염색체의 텔로미어 분포 양상을 제시하고, 양적 형광접합보인법(quantitativ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Q-FISH)을 이용하여 이들의 생식세포 및 초기 배 발생 단계별 수정란의 telomeric DNA 함유량을 분석하며,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TRAP) 방법으로서 발생 단계별 배자들의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구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rtandi SE, Alson S, Tietze MK, Sharpless NE, Ye S, Greenberg RA, Castrillon DH, Horner JW, Weiler SR, Carrasco RD, DePinho RA (2002): Constitutive telomerase expression promotes mammary carcinomas in aging mice. Genetics 99:8191-8196 

  2. Betts DH, King WA (1999): Telomerase activity and telomere detection during early bovine development Dev Genet 25:397-403 

  3. Blackburn EH (1991): Structure and function of telomeres. Nature 350:569-573 

  4. Blasco MA (2003): Telomerase in cancer and aging: lessons from the mouse. Cancer Letters 194:183-184 

  5. Bryant E, Hutchings KG, Moyzis RK, Griffith JK (1997): Measurement of telomeric DNA content in human tissues. Biotech 23:476-478 

  6. Buys C (2000): Telomeres, telomerase, and cancer. New England J Med 342:1282-1283 

  7. Chang JY (2004): Telomerase: A potential molecular marker and therapeutic target for cancer. J Sur Oncology 87:1-3 

  8. Cheong C, Hong KU, Lee HW (2003): Mouse models for telomere and telomerase biology. Exp Mol Med 3:141-153 

  9. Cottliar AS, Slavutsky IR (2001): Telomeres and telomerase activity: their role in aging and in neoplastic development. Medicina 61:335-342 

  10. Dolci S, Levai L, Pellegrini M, Faraoni L, Graziani G, Carlo AD, Geremia R (2002): Stem cell factor activates telomerase in mouse mitotic spermatogonia and in primordial germ cells. J Cell Sci 115:1643-1649 

  11. Eisenhauer KM, Gerstein RM, Chiu CP, Conti M, Hsueh AJ (1997): Telomerase activity in female and male rat germ cells undergoing meiosis and in early embryos. Biol Reprod 56:1120-1125 

  12. Ferlicot S, Youssef NF, Delhommeau F, Paradis V, Bedossa P (2003): Measurement of telomere length on tissue sections using quantitativ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Q-FISH). J Pathology 200:661-666 

  13. Gan Y, Engelke KJ, Brown CA, Au JLS (2001): Telomere amount and length assay. Pharmaceutical Research 18: 1655-1659 

  14. Greider CW (1991): Telomeres. Curr. Opin. Cell Biol 3:444-451 

  15. Greider CW (1993): Telomerase and telomere-length regulation: lessons from small eukaryotes to mammals [Review]. Cold Spring Harbor Symp Quant Biol 58:719-723. 

  16. Greider CW, Blackburn EH (1985): Identification of a specific telomere terminal transferase activity in Tetrahymena extracts. Cell 43:405-413 

  17. Han MS, Cho EJ, Ha HB, Park HS, Sohn SH (2004): Sex determination of in vitro fertilized bovine embryos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technique. Reprod Dev Biol 28:133-137 

  18. Harley CB (1991): Telomere loss: mitotic clock or genetic time bomb? [Review]. Mutat Res 256:271-282. 

  19. Herrera E, Samper E, Blasco MA (1999): Telomere shortening in mTR-/- embryos is associated with failure to close the neural tube. EMBO 18:1172-1181 

  20. Holt SE, Shay JW, Wright WE (1996): Refining the telomere-telomerase hypothesis of aging and cancer. Nat Biotech 14:836-839 

  21. Kim NW, Wu F (1997): Advances in qua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elomerase activity by the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TRAP). Nucleic Acids Res 25:2595-2597 

  22. Kim NW, Piatyszek MA, Prowse KR, Harley CB, West MD, Ho PL, Coviello GM, Wright WE, Weinrich SL, Shay JW (1994): Specific association of human telomerase activity with immortal cells and cancer. Science 266:2011-2015 

  23. Kipling D (1997): Telomerase structure and telomerase expression during mouse development and tumorigenesis. Eur J Cancer 33:792-800 

  24. Kipling D, Cooke HJ (1990): Hypervariable ultra-long telomeres in mice. Nature 347:400-402 

  25. Kobayashi J, Sekimoto A, Uchida H, Wada T, Sasaki K, Sasada H, Umezu M, Sato E (1998): Rapid detection of male-specific DNA sequence in bovine embryos using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Mol Reprod Develop 51:390-394 

  26. Lansdorp PM, Verwoerd NP, van de Rijke FM, Dragowska V, Little MT, Dirks RW, Raap AK, Tanke HJ (1996): Heterogeneity in telomere length of human chromosomes. Hum Mol Genet 5:685-691 

  27. Law HKW, Lau YU (2001): Validation and development of quantitative flow cytometry-base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or intercenter comparison of telomere length measurement. Cytometry 43:150-153 

  28. Lingner J, Cech TR (1998): Telomerase and chromosome end maintenance. Curr Opin Genet Dev 8:226-232 

  29. Liu J (1999): Studies of the molecular mechanisms in the regulation of telomerase activity. FASEB 13:2091-2104 

  30. Liu L, Blasco MA, Trimarchi JR, Keefe DL (2002): An essential role for functional telomeres in mouse germ cells during fertilization and early development. Dev Biol 249:74-84 

  31. Oexle K (1998): Telomere length distribution and southern blot analysis. J Theor Biol 190:369-377 

  32. Pathak S, Multani AS, Furlong CL, Sohn SH (2002). Telomere dynamics, aneuploidy, stem cells and cancer. Int J Oncology 20:637-641 

  33. Poon SS, Martens UM, Ward RK, Lansdorp PM (1999): Telomere length measurements using digital fluorescence microscopy. Cytometry 36:267-278 

  34. Prowse KR, Greider CW (1995): Developmental and tissue-specific regulation of mouse telomerase and telomere length. Cell Biol 92:4818-4822 

  35. Ravindranath N, Dalal R, Solomon B, Djakiew D, Dym M (1997): Loss of telomerase activity during male germ cell differentiation. Endocrinology 138: 4026-4029 

  36. Robinson MO (2000): Telomerase and cancer. Genet Eng 22:209-222 

  37. Shay JW, Bacchetti S (1997): A survey of telomerase activity in human cancer. Eur J Cancer 33:787-791 

  38. Slijepcevic P (2001): Telomere length measurement by Q-FISH. Methods in Cell Science 23:17-22 

  39. Starling JA, Maule J, Hastie ND, Allshire RC (1990): Extensive telomere repeat arrays in mouse are hypervariable. Nucleic Acids Res 18:6881-6888 

  40. Weng NP, Hodes RJ (2000). The role of telomerase expression and telomere length maintenance in human and mouse. J Clinical Immunology 20:257-267 

  41. Wright WE, Piatyszek MA, Rainey WE, Byrd W, Shay JW (1996): Telomerase activity in human germline and embryonic tissues and cells. Dev Genet 18: 173-179 

  42. Xu J, Yang X (2000): Telomerase activity in bovine embryos during early development. Biol Reprod 63:1124-1128 

  43. Yen CH, Pazik J, Elliott RW (1996): A polymorphic interstitial telomere array near the center of mouse chromosome 8. Mamm Genome 7:218-221 

  44. Yen CH, Pazik J, Zhang Y, Elliott RW (1997): An interstitial telomere array proximal to the distal telomere of mouse chromosome 13. Mamm Genome 8:411-417 

  45. Zijlmans JM, Martens UM, Poon SS, Roap AK, Tanke, HJ, Ward RK, Lansdorp PM (1997): Telomeres in the mouse have large inter-chromosomal variations in the number of T2AG3 repeats. Proc Natl Acad Sci U.S.A. 94:7423-7428 

  46. 손시환, 박충생, 송상현 (1996): 염색체 분석 기법에 의한 소 체외수정란의 성 조절.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0: 179-1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