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말기질환 아동을 위한 환경적 지지모델(The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에 근거한 음악치료사례연구 A single case study using Contextual Support Model based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r a terminal pediatric patient원문보기
아동에게 있어서 말기 질환의 범위는 악성종양을 비롯하여 선천성 대사이상, 염색체 이상, 선천성 기형, 신경근육계 질환, 기타 다른 불치의 상태까지 포함한다. 병원환경에서 이러한 말기 질환 아동은 질병의 치료 과정과 관련하여 공포심, 분노, 좌절감을 경험할 수 있으며 통제된 병원 환경안에서 자율성을 제한받기 때문에 통제감을 상실하고 무기력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지지 모델(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terapy)을 중심으로 음악치료가 병원환경에 있는 말기질환자들의 정서 및 기능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환경적지지 모델 음악치료는 음악 환경의 구조적인 특성(structure),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그리고 참여(involvement)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음악 환경은 아동의 활동을 지지하고 격려하도록 도와준다. 이 세 가지 치료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본 연구는 말기질환 아동과의 음악치료사례를 분석하여 말기 질환 아동의 행동이 환경적 지지 역할을 하는 음악 안에서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10살의 급성 림프성 백혈병 여아로 총 9회의 세션을 통한 음악 치료 활동 내용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내용분석은 환경적 지지모델의 세 가지 치료적 요소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설정한 행동들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환아와의 주 음악 치료 활동은 악기 연주하며 노래부르기, CD플레이어로 노래 들으면서 노래 부르기, 노래 만들기, 노래 가사 탐색하기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적인 구조적 특성(Structure) 측면에서는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환경과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음악 만들기 활동을 할 수 있는 준비를 해줌으로써 아동이 성공적으로 음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측면에서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여러 가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Involvement)의 측면에서는 치료사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강화를 제시함으로써 아동이 긍정적으로 경험하고 공유된 활동 안에서 치료사와 상호 협력적으로 음악활동을 진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음악치료는 환경적으로 지지 역할을 하며 정서적으로 위축되어있는 아동에게 자발성과 독립성을 개발시켜주고 병원 환경이라는 제약된 환경 안에서 자율성을 촉진시켜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음악 치료의 효과를 근거로 하여 입원 환경에 있는 아동들을 위한 더 다양한 접근 방법의 음악치료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아동에게 있어서 말기 질환의 범위는 악성종양을 비롯하여 선천성 대사이상, 염색체 이상, 선천성 기형, 신경근육계 질환, 기타 다른 불치의 상태까지 포함한다. 병원환경에서 이러한 말기 질환 아동은 질병의 치료 과정과 관련하여 공포심, 분노, 좌절감을 경험할 수 있으며 통제된 병원 환경안에서 자율성을 제한받기 때문에 통제감을 상실하고 무기력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지지 모델(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terapy)을 중심으로 음악치료가 병원환경에 있는 말기질환자들의 정서 및 기능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환경적지지 모델 음악치료는 음악 환경의 구조적인 특성(structure),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그리고 참여(involvement)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음악 환경은 아동의 활동을 지지하고 격려하도록 도와준다. 이 세 가지 치료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본 연구는 말기질환 아동과의 음악치료사례를 분석하여 말기 질환 아동의 행동이 환경적 지지 역할을 하는 음악 안에서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10살의 급성 림프성 백혈병 여아로 총 9회의 세션을 통한 음악 치료 활동 내용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내용분석은 환경적 지지모델의 세 가지 치료적 요소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설정한 행동들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환아와의 주 음악 치료 활동은 악기 연주하며 노래부르기, CD플레이어로 노래 들으면서 노래 부르기, 노래 만들기, 노래 가사 탐색하기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적인 구조적 특성(Structure) 측면에서는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환경과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음악 만들기 활동을 할 수 있는 준비를 해줌으로써 아동이 성공적으로 음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측면에서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여러 가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Involvement)의 측면에서는 치료사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강화를 제시함으로써 아동이 긍정적으로 경험하고 공유된 활동 안에서 치료사와 상호 협력적으로 음악활동을 진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음악치료는 환경적으로 지지 역할을 하며 정서적으로 위축되어있는 아동에게 자발성과 독립성을 개발시켜주고 병원 환경이라는 제약된 환경 안에서 자율성을 촉진시켜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음악 치료의 효과를 근거로 하여 입원 환경에 있는 아동들을 위한 더 다양한 접근 방법의 음악치료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erminal pediatric patient include congenital metabolic abnormalities, chromosome aberrations, congenital anomalies, neuromuscular diseases and other incurable conditions as well as malignant tumors. One third of these diseases are cancers, and two thirds of cancers are lymphadenoma and leukemia. Te...
Terminal pediatric patient include congenital metabolic abnormalities, chromosome aberrations, congenital anomalies, neuromuscular diseases and other incurable conditions as well as malignant tumors. One third of these diseases are cancers, and two thirds of cancers are lymphadenoma and leukemia. Terminal pediatric patient may feel fear, anger and frustration against treatment process in hospitals, lose control of themselves and stay in helplessness due to restrictions within controlled hospital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ized childrens behavior and music using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a theory stating therapeutic music environments possess three elements of Structure,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and increase childrens active engagement. Focused on these three therapeutic elements, this study analyzed music therapy cases of terminally ill childr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behavior and music as environmental supportive medium in the environment. This study is on a single case case subject, a 10-year-old girl with acute lymphocytic leukemia. Nine sessions of music therapy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hod. Focusing on three therapeutic elements of Contextual Support Model, analysis of sessions was made on the basis of activitie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is study. Main music therapy activities included singing while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inging whi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CD player, making up songs, and searching for song li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in terms of Structure, music therapy suggested a direction for effective musical activities for terminally ill children by providing environments where child can sing, play musical instruments and make up songs; b) in terms of Autonomy support, music therapy encouraged childs voluntary participation by giving her chances to make choice while singing 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 in terms of Involvement, child could gain positive approval of the therapist and conduct musical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the therapist. Music therapy serves as supportive medium in the environment, develops spontaneity and self-reliance in emotionally depressed children, and promotes voluntary attitudes in the restricted hospital environment. Based on the positive effects of music therapy,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approach to more various terminal pediatric patients.
Terminal pediatric patient include congenital metabolic abnormalities, chromosome aberrations, congenital anomalies, neuromuscular diseases and other incurable conditions as well as malignant tumors. One third of these diseases are cancers, and two thirds of cancers are lymphadenoma and leukemia. Terminal pediatric patient may feel fear, anger and frustration against treatment process in hospitals, lose control of themselves and stay in helplessness due to restrictions within controlled hospital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ized childrens behavior and music using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a theory stating therapeutic music environments possess three elements of Structure,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and increase childrens active engagement. Focused on these three therapeutic elements, this study analyzed music therapy cases of terminally ill childr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behavior and music as environmental supportive medium in the environment. This study is on a single case case subject, a 10-year-old girl with acute lymphocytic leukemia. Nine sessions of music therapy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hod. Focusing on three therapeutic elements of Contextual Support Model, analysis of sessions was made on the basis of activitie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is study. Main music therapy activities included singing while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inging whi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CD player, making up songs, and searching for song li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in terms of Structure, music therapy suggested a direction for effective musical activities for terminally ill children by providing environments where child can sing, play musical instruments and make up songs; b) in terms of Autonomy support, music therapy encouraged childs voluntary participation by giving her chances to make choice while singing 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 in terms of Involvement, child could gain positive approval of the therapist and conduct musical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the therapist. Music therapy serves as supportive medium in the environment, develops spontaneity and self-reliance in emotionally depressed children, and promotes voluntary attitudes in the restricted hospital environment. Based on the positive effects of music therapy,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approach to more various terminal pediatric patien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러한 치료 효과들은 치료 과정이 길고 잦은 입원 경험과 질환 자체의 특수성으로 어려움을 겪는 말기 질환 아동에게는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기 질환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실제로 수행한 음악치료 사례를 환경적 지지 모델의 구성 요소인 환경적인 구조적 특성, 자발성 지지, 참여적인 측면에서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적 환경 속에서 음악이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기 질환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실제로 수행한 음악치료 사례를 환경적 지지 모델의 구성 요소인 환경적인 구조적 특성, 자발성 지지, 참여적인 측면에서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적 환경 속에서 음악이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내용 분석을 통해 관찰된 내용들을 보고자 한다. 내용 분석의 기준을 환경적 지지모델의 환경적 구조적 특성, 자발성 지지, 참여의 세가지 치료적 요소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말기 질환 아동과의 음악치료에서 사용되었던 노래 활동과 악기 연주 중심의 활동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활동을 계획하였다. 먼저 음악치료 활동에 사용된 음악적 자료와 비음악적 자료를 설명한 다음에 구체적인 음악치료 활동과 환경적 지지 모델의 치료적 요소에 따른 근거는 다음 <표 2>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지지 모델의 음악치료(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를 근거로 하여 백혈병 진단을 받은 아동과의 음악치료 사례를 통해 음악치료가 어떻게 적용이 되고 그 치료적 요소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총 9회 세션 안에서는 실제로 아동이 선택한 노래에 맞춰 큐코드 반주를 하거나 노래도 같이 부르는 활동, 노래 CD를 들으면서 노래 부르는 활동, 아동과 치료사가 같이 노래 만드는 활동, 노래 부른 후 노래 가사에 대해 탐색하는 활동을 하였다.
제안 방법
분석기준은 이 세가지 치료적 요소 안에서 다음의 에서 제시하고 있는 행동목표와 목표에 근거한 설정된 행동으로 하였다.
아동 호스피스 간호사에게 의뢰받은 이후 주 4-5회 개별세션을 진행하였으며 2005년 4월 중순부터 2005년 5월 초순까지 진행하였다. 세션 내용은 혜민이 어머니의 동의 하에 녹음기로 녹음되어졌으며 세션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 혜민이 어머니에게 이 활동내용이 연구 자료로 쓰일 것에 대해 구두로 동의 받았다.
세션 내용은 혜민이 어머니의 동의 하에 녹음기로 녹음되어졌으며 세션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 혜민이 어머니에게 이 활동내용이 연구 자료로 쓰일 것에 대해 구두로 동의 받았다. 세션의 횟수는 총 9회이며 6인 병실 안의 혜민이 침대 위에서 개별 세션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내용 분석을 통해 관찰된 내용들을 보고자 한다. 내용 분석의 기준을 환경적 지지모델의 환경적 구조적 특성, 자발성 지지, 참여의 세가지 치료적 요소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 세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오디오 녹음 자료와 진행 활동 기록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의 기준을 환경적 지지모델의 환경적 구조적 특성, 자발성 지지, 참여의 세가지 치료적 요소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 세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오디오 녹음 자료와 진행 활동 기록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분석을 위해 매 세션 활동은 오디오로 녹음되었으며 녹음된 자료는 언어적인 표현으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치료사가 매 세션마다 진행 노트를 작성하여 진행 내용과 상황을 기록으로 남겼다.
본 연구의 내용 분석을 위해 매 세션 활동은 오디오로 녹음되었으며 녹음된 자료는 언어적인 표현으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치료사가 매 세션마다 진행 노트를 작성하여 진행 내용과 상황을 기록으로 남겼다.
본 연구는 환경적 지지 모델의 음악치료(CSMMT)에 근거한 세가지 치료적 요소인 환경적인 구조적 특성(Structure), 자발성 지지(Autunomy support), 참여(Involvement)를 근거로 하여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이 세가지 치료적 요소 안에서 다음의 <표 1>에서 제시하고 있는 행동목표와 목표에 근거한 설정된 행동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로 사용한 악기는 큐코드로 음악치료 세션이 6인 병실의 혜민이 침대 위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크기가 작고 쉽게 가지고 가서 연주할 수 있는 악기로 선택하였다. 큐코드는 입원 환경 안에서도 손쉽게 연주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리듬적인 요소나 소리적인 요소부분에서 선택의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악기 외에 사용된 장비로 CD플레이어를 사용하였는데 혜민이가 항암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기운이 없을 경우 수동적인 활동으로서 편하게 노래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다. CD플레이어는 이어폰을 통해 들음으로써 주변 입원한 아동들에게 방해를 덜 주도록 하였고 치료사와 혜민이가 같이 하나씩 귀에 꽂고 하나의 노래를 같이 들음으로 같은 공감대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총 9회 동안 진행된 음악치료 활동은 큐코드 연주와 노래 부르기, 노래 가사 탐색과 노래 만들기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활동을 환경적 지지모델의 음악치료(CSMMT)에 근거한 환경적인 구조적 특성, 자발성 지지, 참여 측면에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자발성 지지측면(AUT)에서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여러 가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노래 만들기에서 완성된 노래에 대해 긍정적인 강화를 제공하였을 때 아동이 즐거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자발성 지지측면(AUT)에서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여러 가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노래 만들기에서 완성된 노래에 대해 긍정적인 강화를 제공하였을 때 아동이 즐거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총 9회 세션 안에서는 실제로 아동이 선택한 노래에 맞춰 큐코드 반주를 하거나 노래도 같이 부르는 활동, 노래 CD를 들으면서 노래 부르는 활동, 아동과 치료사가 같이 노래 만드는 활동, 노래 부른 후 노래 가사에 대해 탐색하는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환경적인 구조적 특성(Structure),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참여(Involvement)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성능/효과
환경의 구조적 특성은 다음의 두 가지 형태로 관찰할 수 있다. 첫째, 아동의 능력을 고려해서 언어적으로 방향 제시를 하여 아동이 수행하였을 경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지속적으로 아동의 활동을 지지하고 아동으로부터 행동을 요구하는데 이는 아동이 긍정적인 결과를 경험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줄 수 있다.
첫째, 아동의 능력을 고려해서 언어적으로 방향 제시를 하여 아동이 수행하였을 경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지속적으로 아동의 활동을 지지하고 아동으로부터 행동을 요구하는데 이는 아동이 긍정적인 결과를 경험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줄 수 있다. 이러한 음악치료의 환경의 구조적 특성을 통하여 무슨 일이 일어날 지 미리 예상치 못하는 병원 환경 안에서 아동들은 안전함을 경험하고 자신의 불안을 능동적으로 다룰수 있게 된다.
참여는 다음의 두 가지로 관찰할 수 있다. 첫째, 아동에게 먼저 긍정적인 언어나 신체적인 상호 작용으로 다가가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아동의 활동에 집중하거나 함께 활동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첫째, 아동에게 먼저 긍정적인 언어나 신체적인 상호 작용으로 다가가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아동의 활동에 집중하거나 함께 활동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음악치료의 참여적인 특성은 입원 기간 동안 많은 스트레스로 정서적으로 자녀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을 겪는 부모를 대신해서 아동을 지지해 주고 대처 능력을 촉진시켜 주며 아동의 정서적인 요구와 그들의 느낌에 대해 인정해 줄 수 있다.
자발성 지지 측면에서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여러 가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학령기 특성에 맞게 어려운 과제에 도전하고 성취를 경험하기 위해서 길고 어려운 노래들을 자주 선택하는 것을 보였으며 이러한 노래를 악기 연주하면서 노래 불렀을 때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노래 만들기에서 완성된 노래에 대해 긍정적인 강화를 제공하였을 때 아동이 즐거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음악 활동 안에서 아동이 자신의 의견을 수용하여 진행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아동의 의견이 존중받고 있음을 경험하게 하였다.
실제 아동과의 음악치료 활동 중간에 아동의 가족이 같이 참여하는 기회도 가질 수가 있었는데 아동의 외할머니는 함께 노래를 부르거나 자신이 부르고 싶은 노래를 제안하는 등 적극적인 참여의 모습을 보였다. 아동의 어머니는 같이 참여한 적은 없었지만 아동이 만든 노래를 치료사가 악보로 그려서 다음 날 주었을 때 아동과 아동 어머니 모두 기뻐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동의 어머니는 같이 참여한 적은 없었지만 아동이 만든 노래를 치료사가 악보로 그려서 다음 날 주었을 때 아동과 아동 어머니 모두 기뻐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아동과의 음악치료는 아동의 퇴원과 함께 종료되었으나 아동이 일주일 후에 재입원할 예정이어서 그 때 치료사가 다시 와서 음악치료를 계속 진행해 주기를 바라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이 병원 환경이라는 제한적인 환경에서 시작했지만 아동과 같이 진행한 음악치료는 아동과 그의 가족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자발성 지지는 아동이 활동을 선택하고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으로 다음의 세 가지로 관찰할 수 있다. 첫째, 활동 선택이나 악기 선택과 같은 의사 결정에 있어서 아동이 직접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아동이 음악 활동 안에서 자발적으로 하는 행동이나 아동이 만들어 낸 결과물에 대해서 칭찬이나 고개를 끄덕이거나 미소를 짓는 행동과 같은 긍정적인 강화를 제시한다.
아동과 같이 노래 부른 곡들은 소재가 주로 친구의 모습이나 행복한 가정의 모습을 묘사한 내용들이 많았으며 특히 어머니에 대한 애정을 표현한 사랑을 담은 곡들이 많았다. 아동이 자주 반복해서 부른 곡 중에는 가요 중에서 이재훈의 ‘사랑합니다’와 왁스의 ‘욕하지마요’, 그리고 동요집 중에서 사랑의 집이 있는데 특히 이재훈의 ‘사랑합니다’라는 노래를 불러 주고 싶은 대상으로 아동은 엄마만을 선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왁스의 ‘욕하지 마요’라는 곡은 떠난 사람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곡인데 아무에게도 불러주고 싶지 않다고 말하는 모습을 보였다.
후속연구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이기는 하나 단일 사례 연구로서 연구 기간이 짧아서 장기간의 영향을 보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따라서 말기 질환 아동뿐만 아니라 제약된 병원 환경으로 인해 자율성을 개발시키지 못하는 장단기간에 입원하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치료 사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이기는 하나 단일 사례 연구로서 연구 기간이 짧아서 장기간의 영향을 보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따라서 말기 질환 아동뿐만 아니라 제약된 병원 환경으로 인해 자율성을 개발시키지 못하는 장단기간에 입원하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치료 사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겠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에게 있어서 말기 질환의 범위는 어디까지 포함하는가?
아동에게 있어서 말기 질환의 범위는 악성종양을 비롯하여 선천성 대사이상, 염색체 이상, 선천성 기형, 신경근육계 질환, 기타 다른 불치의 상태까지 포함한다. 병원환경에서 이러한 말기 질환 아동은 질병의 치료 과정과 관련하여 공포심, 분노, 좌절감을 경험할 수 있으며 통제된 병원 환경안에서 자율성을 제한받기 때문에 통제감을 상실하고 무기력해질 수 있다.
병원환경에서 이러한 말기 질환 아동은 통제감을 상실하고 무기력해질 수 있는 이유는?
아동에게 있어서 말기 질환의 범위는 악성종양을 비롯하여 선천성 대사이상, 염색체 이상, 선천성 기형, 신경근육계 질환, 기타 다른 불치의 상태까지 포함한다. 병원환경에서 이러한 말기 질환 아동은 질병의 치료 과정과 관련하여 공포심, 분노, 좌절감을 경험할 수 있으며 통제된 병원 환경안에서 자율성을 제한받기 때문에 통제감을 상실하고 무기력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지지 모델(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terapy)을 중심으로 음악치료가 병원환경에 있는 말기질환자들의 정서 및 기능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환경적 지지 모델을 중심으로 한 음악치료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지지 모델(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terapy)을 중심으로 음악치료가 병원환경에 있는 말기질환자들의 정서 및 기능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환경적지지 모델 음악치료는 음악 환경의 구조적인 특성(structure),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그리고 참여(involvement)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음악 환경은 아동의 활동을 지지하고 격려하도록 도와준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