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개발 예정지역에서의 자연보전 가치 평가 - 대관령 알펜시아 리조트 조성 예정지역을 사례로 - A Study for Natur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of Developing Area - Case Study of Alpensia Resort -원문보기
While the recent lift of restrictions in greenbelt areas is expected to generate a number of development plans, there are efforts to create various development plans into spatial plans that consider the natural and ecological conditions of development sites. However, these development plans consider...
While the recent lift of restrictions in greenbelt areas is expected to generate a number of development plans, there are efforts to create various development plans into spatial plans that consider the natural and ecological conditions of development sites. However, these development plans consider Degree of Green Naturality or Degree of Ecology only when designating areas for conservation within development sites. It is true that they don't fully reflect the value of green areas and wetlands as habitats and natural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built an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odel that is applicable to sites where development is planned in Korea by reviewing prior case examples md studies and applied the developed model to a case study area. The site where the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odel was applied to is an area around Yongsan-ri and Suha-ri, Doam-myon,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where quality natural resources are located in and wend the site. This is a site for the development of Alpensia Resort where a resort including facilities for the Winter Olympics is planned to be introduced. In order to assess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site for Alpensia Resort, a total of eight items including area, distribution of communities, habitation of species with conservation value, functions of habitats, connectivity of habitats, vegetation layers of forests, age of forests, and ratio of non-native plants were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s. The assessment was made by dividing the site into 95 habitats that are perceived by aerial photographs and each habitat unit was assessed on the eight items in a 3-point scale. Each unit habitat assessed in a 3-point scale was segmented into primary, secondary or tertiary areas based on the conservation value. Habitats assessed as primary were designated as priority (absolute) conservation areas and those assessed as secondary and tertiary were set as secondary conservation areas and tertiary conservation areas, respectively. As a result, each area represented 26.9%, 20% and 3% of total site area. Based on this result, habitat management plans were developed to conserve primary conservation areas, improve secondary conservation areas and restore tertiary conservation areas. In addition, a development plan was developed to create habitats in areas where new habitats are requested in order to build an eco-network in the site and a plan to create eco-corridors was proposed. In developing a land use plan for the site, a development plan that considers conservation areas first should be set up based on the outcome of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This can be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friendly land use plan as well as easing the establishment of a green area and eco-network. This study will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ervation before development' principle, which can prevent reckless development, by assessing conservation value in setting up development plans.
While the recent lift of restrictions in greenbelt areas is expected to generate a number of development plans, there are efforts to create various development plans into spatial plans that consider the natural and ecological conditions of development sites. However, these development plans consider Degree of Green Naturality or Degree of Ecology only when designating areas for conservation within development sites. It is true that they don't fully reflect the value of green areas and wetlands as habitats and natural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built an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odel that is applicable to sites where development is planned in Korea by reviewing prior case examples md studies and applied the developed model to a case study area. The site where the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odel was applied to is an area around Yongsan-ri and Suha-ri, Doam-myon,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where quality natural resources are located in and wend the site. This is a site for the development of Alpensia Resort where a resort including facilities for the Winter Olympics is planned to be introduced. In order to assess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site for Alpensia Resort, a total of eight items including area, distribution of communities, habitation of species with conservation value, functions of habitats, connectivity of habitats, vegetation layers of forests, age of forests, and ratio of non-native plants were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s. The assessment was made by dividing the site into 95 habitats that are perceived by aerial photographs and each habitat unit was assessed on the eight items in a 3-point scale. Each unit habitat assessed in a 3-point scale was segmented into primary, secondary or tertiary areas based on the conservation value. Habitats assessed as primary were designated as priority (absolute) conservation areas and those assessed as secondary and tertiary were set as secondary conservation areas and tertiary conservation areas, respectively. As a result, each area represented 26.9%, 20% and 3% of total site area. Based on this result, habitat management plans were developed to conserve primary conservation areas, improve secondary conservation areas and restore tertiary conservation areas. In addition, a development plan was developed to create habitats in areas where new habitats are requested in order to build an eco-network in the site and a plan to create eco-corridors was proposed. In developing a land use plan for the site, a development plan that considers conservation areas first should be set up based on the outcome of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This can be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friendly land use plan as well as easing the establishment of a green area and eco-network. This study will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ervation before development' principle, which can prevent reckless development, by assessing conservation value in setting up development plan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전가치 평가 및 보전지역 설정에 관한 선행 연구 및 사례들을 고찰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개발 예정지역에 적용 가능한 자연보전가치 평가 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사례지역에 적용해 봄으로써, 환경친화적 개발계획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생물 서식 공간 차원에서 개발 대상지의 조성 후 목표를 설정한다. 이 목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목표는 차후 보전가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관리계획 수립 시 중요 요소로 고려된다.
이상의 보전, 향상, 복원, 창출 지역은 알펜시아 리조트 개발계획 수립 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며, 가능한중요한 서식처를 제외한 공간에 개발사업들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목표 중 특히 선 보전 후개발을 현실화시키는 것이 될 것이다.
본연구에서는 이 지역의 환경적, 생태적 건강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존 서식처들의 보전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보전지역 설정은 물론, 대상지내 녹지 및 서식처의 관리계획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기존의 문헌 연구와 선행 사례들을 바탕으로 서식처보전가치 평가 과정 및 평가항목, 기준 등을 도출하였다. 보전가치 평가 과정은 문헌 연구 및 선행 사례들을종합하여 6단계로 도출하였으며, 평가항목 및 기준은 평가자의 주관이 최대한 개입되지 않으면서도 우리나라의현실적 여건에 적용 가능한 항목과 기준을 마련하였다.
항공사진과 지형도 등을 활용해 대략적으로 인식한 서식처를 바탕으로 현장에서의 상세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서식처 도면을 작성한다. 서식처 작성 관련 연구 및 선행 사례들을 보며 국가를 비롯해 사례 연구 및 지역별로 유형화 방법이 다르나 이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 서는 다음 표 1과 같이 서식처를 유형화하여 서식처 도면 작성 시 범례로 활용한다.
서식처 도면을 작성한다. 서식처 작성 관련 연구 및 선행 사례들을 보며 국가를 비롯해 사례 연구 및 지역별로 유형화 방법이 다르나 이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 서는 다음 표 1과 같이 서식처를 유형화하여 서식처 도면 작성 시 범례로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자들이 평가하는 항목과 기준 중 평가자의 주관적인 의견 개입이 가장 적으며,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항목과 기준을 도출하였다. 항목과 기준 설정 시 Rataond시(2000)에서 적용한 모형을 기본으로 다른 연구 및 사례들을 고찰하여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자연보전 가치의 평가는 서식처 단위별로 작성한 서식처 도면을 바탕으로 문헌 및 현황조사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평가한다. 표 2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서식처 단위별로 평가하는데, 각각의 항목은 평가시 중첩되지 않도록 기준을 설정하였다 서식처의 크기는 균질한 특성을 갖는 서식처 단위의 면적을 산출하여 점수화한다.
서식처의 기능은 현장 조사를 통해 야생동물에게 있어서 잠자리, 먹이공급, 산란 등 어떠한 기능으로 이용되는지를 바탕으로 한다. 서식처의 연결성은 인접해 있는 서식처의 고립 정도 즉, 다른 서식처와의 연결성을 조사하여 평가한다. 산림의 식생 층은 초본층, 관목층, 아교목층, 교목층 등 식생군락의 층위를 현장조사를 통해 평가한다.
서식처의 연결성은 인접해 있는 서식처의 고립 정도 즉, 다른 서식처와의 연결성을 조사하여 평가한다. 산림의 식생 층은 초본층, 관목층, 아교목층, 교목층 등 식생군락의 층위를 현장조사를 통해 평가한다. 산림의 영급은 현장 조사와 기존자료를 활용해 산림의 성숙도를 평가하며, 외래식물의 비율은 서식처의 교란 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자생식물에 대한 외래식물의 서식비율을 조사하여 평가한다.
산림의 식생 층은 초본층, 관목층, 아교목층, 교목층 등 식생군락의 층위를 현장조사를 통해 평가한다. 산림의 영급은 현장 조사와 기존자료를 활용해 산림의 성숙도를 평가하며, 외래식물의 비율은 서식처의 교란 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자생식물에 대한 외래식물의 서식비율을 조사하여 평가한다.
각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합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을 설정하는데, 총 점수는 24점으로 21~24점은 1 차 보전지역 (Primary Conservation Area) 로 13~20점은 2차 보전지역 (Secondary Conservation Area) 로, 12 점 이하는 3차 보전지역 (Tertiary Conservation Area) 로 크게 3단계로 등급화 하였다.
대상지의 자연보전 가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보전가치가 있는 지역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개발 가능한 지역에서의 관리계획을 수립한다. 자연 보전 가치 평가 결과에 따라 가치가 가장 높은 곳은 보전지 역으로 설정하였으며, 기타 평가점수는 떨어지나 잠재성이 있는 곳은 향상지역 혹은 복원지역으로 설정한다.
자연 보전 가치 평가 결과에 따라 가치가 가장 높은 곳은 보전지 역으로 설정하였으며, 기타 평가점수는 떨어지나 잠재성이 있는 곳은 향상지역 혹은 복원지역으로 설정한다. 자연 보전 가치평가를 통해 도출된 보전지역을 바탕으로 서식처 네트워크(Habitat Network)와 야생동물 이동통로(GoEdor)즉면에서 새롭게 창줄해 주어야 할 지역을 설정한다 그 이외의 지역은 개발 가능 지역으로 구분하여 최종 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인공위성, 지형도를 비롯해 현황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서식처 단위를 설정하였다. 대상지에서는 도로 및 시설 입지 등으로 인해 다른 서식처와 이격되어 있는 서식처를 1차적으로 하나의 단위로 설정하였으며, 서식처가 인접해 있더라도 항공사진, 현황조사 등을 통해 이질적인 것으로 보일 경우 서식처의 단위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의 서식처 단위는 항공사진과 현황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식되는 녹지 및 서식처를 서식처의 종류 및 간격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식처 단위를 설정하였다. 대상지에서는 도로 및 시설 입지 등으로 인해 다른 서식처와 이격되어 있는 서식처를 1차적으로 하나의 단위로 설정하였으며, 서식처가 인접해 있더라도 항공사진, 현황조사 등을 통해 이질적인 것으로 보일 경우 서식처의 단위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의 서식처 단위는 항공사진과 현황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식되는 녹지 및 서식처를 서식처의 종류 및 간격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표 2에서 제시한 모형의 평가항목인 ① 크기, ② 군락의 산포도 ③ 보전가치가 있는 종의 서식, ④ 서식처의 기능, ⑤ 서식처의 연결성, ⑥ 산림의 식생층, ⑦ 산림의 영급, ⑧ 외래식물의 비율 등 총 8개의 항목에 대해 모형의 기준들을 알펜시아 리조트의 95개 서식처 단위별로 적용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하였다.
각 보전가치 평가 항목 및 기준에 따라 95개의 서식처 단위별로 현황조사 및 문헌조사 등을 통해 보전가치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이상의 보전지역 설정 결과를 바탕으로 서식처 관리계획을 수립하였다. ]차 보전지역 (Primary Conservation Area)은 대상지내 서식처로서의 가치가 가장 높게 평가되어 보전지역으로 설정하였으며, 평가 결과가 다소 떨어지는 2차 보전지역 (Seccmdary Conservation Area)은 서식처 향상을 통해 서식처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또한, 3차 보전지역(Tertiary Conservation Area)은 대상지내 서식처 중 가치가 가장 낮은 곳으로 서식처 가치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지는 복원지역으로 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수립하였다. ]차 보전지역 (Primary Conservation Area)은 대상지내 서식처로서의 가치가 가장 높게 평가되어 보전지역으로 설정하였으며, 평가 결과가 다소 떨어지는 2차 보전지역 (Seccmdary Conservation Area)은 서식처 향상을 통해 서식처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또한, 3차 보전지역(Tertiary Conservation Area)은 대상지내 서식처 중 가치가 가장 낮은 곳으로 서식처 가치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지는 복원지역으로 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이들 서식처들 간의 유기적인 네트워크와 아생동물의 이동통로 형성을 위해 새롭게 조성되어야 할 지역은창출지역으로 설정하여 생태이동통로 및 창출녹지 등을조성할 수 있는 관리계획을 수립하였다 생태 네트워크상의 코리더이자 야생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하천은보전하거나 복원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및 사례들을 종합하여 자연보전 가치 평가 항목과 기준을 도출하고 이를 알펜시아리조트 개발 예정지역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보전해야할 지역을 크게 3개의 단계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크게 보전, 향상, 복원 및 창출지역으로 대상지의서식처 관리계획을 수립하였다
개발 예정지역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보전해야할 지역을 크게 3개의 단계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크게 보전, 향상, 복원 및 창출지역으로 대상지의서식처 관리계획을 수립하였다
표 1에서 제시한 서식처 유형을 근간으로 대상지의 서식처 도면을 작성하였다 서식처는 1차 항공사진을통한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대상지 현장조사를 통해최종 작성하였다. 그 결과 대상지에는 상당히 넓은 비닐하우스, 밭과 같은 농경지를 비롯해 시설지역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하천을 비롯해, 늪(rrarsh), 소택형 습지(swan軍), 관목리 교목림 등 다양한 서식처가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는 그림 6과 같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 대상지는 현재 농지(밭)가 우세한 지역이며, 겨울 스표츠 시설이 일부 입지해 있는 지역으로 추후 콘도를 비롯해, 동계 스포츠 시설 및 골프장 등의 입지로 급격한 개발지역 및 도시화가 예상되는 곳이다. 본연구에서는 이 지역의 환경적, 생태적 건강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존 서식처들의 보전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보전지역 설정은 물론, 대상지내 녹지 및 서식처의 관리계획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성능/효과
보전가치 평가 과정은 문헌 연구 및 선행 사례들을종합하여 6단계로 도출하였으며, 평가항목 및 기준은 평가자의 주관이 최대한 개입되지 않으면서도 우리나라의현실적 여건에 적용 가능한 항목과 기준을 마련하였다.
2002).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자들이 평가하는 항목과 기준 중 평가자의 주관적인 의견 개입이 가장 적으며,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항목과 기준을 도출하였다. 항목과 기준 설정 시 Rataond시(2000)에서 적용한 모형을 기본으로 다른 연구 및 사례들을 고찰하여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대상지의 녹지자연도 및 생태자연도를 보면(그림 3, 4 참조), 보전하도록 지침 상에서 제시하고 있는 녹지자연도 8등급 지역이 일부 입지해 있으며, 7등급 지역도 대상지내 약 27.2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자연도는 현장조사 결과 농경지가 생태자연도 1등급으로 지정되어 있는등 본 대상지내에서의 현황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연보전 가치평가의 절대적 자료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 었다.
구체적으로 자연보전 가치 평가 결과를 면적으로산출해 본 결과 대상지내 녹지를 비롯한 서식처는 총 49.9%이며, 이 중 대상지 면적의 26.9%가 1차 보전지역 (Primary Conservation Area)으로 도출되었으며, 20.0%가 2차 보전지역 (Secondary Conservation Area) 3.0%가 3차 보전지역 (Tertiary Conservation Area)으로도출되었다(표 4 참조).
보전하는 것을 원칙으로 설정하였던 2m 폭 이상의 하천의 면적을 포함할 경우, 보전해야할 면적 및 비율은 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대상지역에서 최종 도출된 보전지역과 생태 자연도 및 녹지자연도를 비교해보면 생태자연도의 경우, 기존의 녹지 및 서식처 현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광범위한 스케일을 대상으로 하는 생태 자연도의 경우 소규모 지역에 대한정보까지를 담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향후 개발계획 등에서 생태 자연도를 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해당 지역에 대한 확인 및 검증 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따른 수정 .
후속연구
최종적으로 1차 보전지역, 2차 보전지역 및 3차 보전지역 등 3단계의 보전가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계획 수립 전에 세운 보전계획의 목표에 따라 어느 단계까지를 보전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 도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자연도는 현장조사 결과 농경지가 생태자연도 1등급으로 지정되어 있는등 본 대상지내에서의 현황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연보전 가치평가의 절대적 자료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 었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광범위한 스케일을 대상으로 하는 생태 자연도의 경우 소규모 지역에 대한정보까지를 담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향후 개발계획 등에서 생태 자연도를 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해당 지역에 대한 확인 및 검증 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따른 수정 . 보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36)
강원도개발공사(2004) 대관령 알펜시아 리조트 조성사업에 따른 사전환경성검토서. p. 112
김귀곤(2002) 습지와 환경. 서울: 아카데미 서적. pp 173-196
김귀곤, 조동길(2004) 자연환경.생태복원학 원론. 서울: 아카데미서적
김영숙(2003) 보전성을 중심으로 한 토지적성 평가 개선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한주택공사(2003a) 파주운정 2지구 택지개발예정지구 사전환경성 검토서
대한주택공사(2003b) 청주 성화 2지구 택지개발예정지구 사전환경성 검토서
대한주택공사(2004) 수원 호매실지구 택지개발 예정지구 사전환경성 검토서
류상림(2002) 도시지역의 생태자원 보전을 위한 평가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소현(2000) 자연자원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 자연환경감사의 적용: 파주시 민통지역 및 비무장지대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107
SH공사(2004) 서울 신내 2지구 택지개발 예정지구 사전환경성 검토서
한국토지공사(2003a) 청주 율량지구 택지개발 예정지구 사전 환경성 검토서
한국토지공사(2003b) 김포 양촌지구 택지개발 예정지구 사전 환경성 검토서
환경부(1998) 인공위성 영상자료와 GIS를 이용한 녹지자연도 등급판정 기법 개발. pp. 2-3
환경부(2004) 생태.자연도작성지침
Adams, L. W. and L. E. Dove(1989) Wildlife Reserves and Corridors in the Urban Environment: a Guild to Ecological Landscppe Planning and Resource Conservation. Maryland: National Institute for Urban Wildlife
Adams, L. W.(1994) Urban Wildlife Habitats: a Landscape Perspective. Minnesot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Anonymous(1997-98) Ecological Evaluation. Leeds Metropolitan University Faculty of Design & Built Environment School of Art, Architecture and Design 'BA(Hons) Landscape Architecture: Level 2'. p. 6
City of Redmond(2000) City of Redmond Draft Wildlife Habitat Plan. Seattle: Adolfson Associates Inc
Cook, E. A., and H. N. van Lier(1994)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s: an introduction, In E. A Cook and H. N. van Lier, eds.,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s. Amsterdam: ELSEVIER. pp, 1-11
Dlugosch, K. M.(1998) Effects of English Ivy (Elsevier) Invasions on Forested Plant Communities in Pacific Northwest Urban Parks. Honors Thesis. University of Washington
Eagles, P. F. J. (1984)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 London and New York: Longman Inc. p. 40, 45-46
England Field Unit Nature Conservation Agency (1990) Handbook for Phase 1 Habitat Survey-a Technique for Environmental Audit. p. 96
English Nature(1997) Nature Conservation Objectives in Shoreline Management Plan 'Suggested Approach'. p. 30
Kelleher, G.(1999) Guidelines for Marine_Protected Areas.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p. 107
Kliji, F., ed. (1994) Ecosystem Classification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12, 43, 56, 323
London Ecology Unit.(1994) Policy, Criteria and Procedure for Identifying Nature Conservation Site in London Ecology Unit. p .9
Sutherland, W. J. and D. A. Hill, eds,(1995) Managing Habitats for Conserv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5-28, 59-83
Tilghman, N. G. (1987). Characteristics of urban woodlands affecting breeding bird diversity and abundanc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4: 481-495
Spellerberg, I. F.(1992) Evaluation and Assessment for Conservation Ecological Guidelines for Determining Priorities for Natural Conservation. Lndon: Champman & Hall
Quinn, T. and R. Milner(1999) Great blue heron (Aedea herodiss). In E. M. Larsen and N. Nordstrom. eds., Management Recommendations for Washington's Priority Species IV. Olympia: Was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Usher, M. B.(1980) An assessment of conservation value within a large site of special scientific interest in North Yorkshire. Field Studies 5(2): 323-348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