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
An Advanced Methodology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3 no.3 = no.110, 2005년, pp.1 - 17  

김근호 (영국 맨체스터대학교 도시조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목적으로서 환경의 효과적 보호와 신중한 자연자원의 이용이 강조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도시화는 전통적인 농촌 경관 변화, 산림 손실과 단편화 등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산림이 높은 생물 다양성 가치를 갖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산림 손실과 단편화는 생태관점에서 보면 아주 치명적이다. 현재 개인 또는 공공 부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영향 평가의 일부분으로 시각 경관 영향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시각 경관 영향 평가는 단지 전체 경관의 일부분의 경관 정보만을 제공하고, 특히 현재 경관 평가에서는 경관의 생물 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종합 경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관 특성과 생물 다양성 가치 평가를 위한 생태 이질성 지수를 결합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방법론을 통해 경관 특성 평가에서 12가지 경관 특성 유형(type)을 분류하였고 그것의 분포, 경관 특성적 형태, 경관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 압력 등을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과 산업 단지 개발, 농지 형질 패턴 변경, 수변 공간 개발 등이 주요 개발 압력으로 나타났다. 경관 생태 이질성 평가 결과에서는 도시근교 지역과 농촌 경관 특성 유형 지역에서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높았다. 산림 지역 경관 특성 유형에서는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중간 수치로 나온 반면 도시 경관 특성 유형에서의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는 아주 낮았다. 비록 제한된 데이터와 경관 생태 이질성 지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스케일 종속적, 변화 패턴이 예측하기 힘든 지수, 자의적인 분류시 다른 결과 발생, 더 종합적인 생물 다양성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다른 경관 생태 지수 필요 등)이 제기되었지만, 이 연구에서 제시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통해 얻은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지속가능한 경관계획을 할 때 어떻게 잘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예로써 증명하였다. 그 결과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이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참고문헌 (50)

  1. Antrop, M.(2000) Changing patterns in the urbanized countryside of Western Europe. Landscape Ecology 15: 257-270 

  2. Antrop, M. and V. V. Eetvelde(2000) Holistic aspects of suburban landscapes: visual image interpretation and landscape metric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0: 43-58 

  3. Baker, W. L. and Y. Cai(1992) The r.le programs for multiscale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using the GRAS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Landscape and Ecology 7(4): 291-302 

  4. Bastian, O. and M. Rder(1998) Assessment of landscape change by land evaluation of past and present situ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1: 171-182 

  5. Briffett, C. (2001) Is managed recreational use compatible with effective habitat and wildlife occurrence in urban open space corridor systems? Landscape Research 26(2): 137-163 

  6. Cho, H. J.(2001) Urban forest landscape. In C. S. Lee, H. H. Won. and J. S. Song, eds., Landscape Ecology. Seoul: Dong Hwa, pp. 339-358 

  7. Cook, E. A. (2002) Landscape structure indices for assessing urban ecological network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269-280 

  8. Countryside Agency and Scottish Natural Herilage(1999) Interim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Guidance for England and Scotland. London: Land Use Consultants 

  9. Ehrlich, P. R. and E. O. Wilson(1991) Biodiversity studies: science and policy. Science 253: 758-762 

  10. Elvidge, C. D. and Z. Chen(1995) Comparison of broad-band and narrow-ban red and near-infrared vegetation index.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4: 35-48 

  11. Forman, R. T. T.(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Forman, R. T. T. and M. Godron(1986) Landscape Ecology, New York: John Wiley & Sons 

  13. German Federal Agency for Nature Conservation (BfN). undated, Landscape Planning for Sustainable Municipal Development. Brochure. Bonn, Germany 

  14. Goudie, A.(2000) The Human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Oxford: Blackwell 

  15. Gustafson, E. J.(1998) Quantifying landscape spatial pattern: what is the state of the art. Ecosystems 1: 143-156 

  16. Gwangju City(2002) Gwangju in Statistics. Gwangju: Gwangju City 

  17. Haber, W.(1990) Using landscape ecology in planning and management. In I. S. Zooneveld and R. T. T. Forman, eds., Changing Landscapes: An Ec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Springer-Verlag, pp. 217-231 

  18. Hansson, L.(1977) Landscape ecology and stability of population. Landscape Planning 4: 85-93 

  19. Hargis. C, D., J. A. Bissonette, and J. L. David(1998) The behavior of landscape metrics commonly used in the study of habitat fragmentation, Landscape Ecology 13: 167-186 

  20. Johnston, C. A.(2001) Methods in Ecolog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Ecology, Malden, MA: Blackwell Science 

  21. Lawton, R.(1989) The Rise and Fall of Great Cities. London: Belhaven 

  22. Lee, J. T., M. J. Elton, and S, Thompson(1999) The role of GIS in landscape assessment: using land-use-based criteria for an area of the Chiltern Hills Area of Outstanding Natural Beauty. Landscape Ecology 16: 23-32 

  23. Lee, S. W., E. J. Yoon, and I. S. Lee(2004) Review of issues and problems in using landscape ecology indic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 73-83 

  24. Li, H. and J. Wu(2004) Use and misuse of landscape indices. Landscape Ecology 19: 389-399 

  25. Makhzoumi, J. and G. Pungetti(1999) Ecological Landscape Design and Planning. London: E & FN SPON 

  26. McGarigal, K. and B. J. Marks(1995)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USDA Forest Service, Technical Report, PNW-351 

  27. McHarg, I.(1969) Design with Nature, New York: History Press 

  28. Meentemeyer. V. and E. O. Box (1987) Scale effects in landscape studies. In M. G. Turner, ed., Landscape Heterogeneity and Disturbance. New York: Springer-Verlag, pp. 15-34 

  29. Noss, R. F.(1983) A regional landscape approach to maintain diversity. BioScience 33: 700-706 

  30. Odum, E. P.(1959) Fundamentals of Ecology. Pennsylvania: W.B. Philadelphia 

  31. O'Neill, R. V., J. R. Krummel, G. Gardner, B. Sugihara, D. L. Jackson, B. T. DeAngelis, M. G. Milne, B. Turner, S. W Zygmunt, V. H Christensen, and R. L. Graham(1988) Indices of landscape pattern. Landscape Ecology 1: 153-162 

  32. Ong, B. L.(2003) Green plot ratio: An ecological measure for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3: 197-211 

  33. Opdam, P., R. van Apeldoorn, A. Schotman, and J. Kalkhoven(1993) Population responses to landscape fragmentation. In C. C. Vos and P. Opdam, eds., Landscape Ecology of a Stressed Environment. London: Chapman and Hall. pp, 96-108 

  34.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997)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Korea. Paris: OECD 

  35. Pivo, G.(1996) Toward sustainable urbanization on mainstreet Cascadia. Cities 13(5): 339-354 

  36. Planning Department(2001a) Landscape Value Mapping of Hong Kong: Inception Report. Hong Kong: Government Information Services 

  37. Planning Department(2001b) Landscape Value Mapping of Hong Kong: Technical Report No. 1. Hong Kong: Government Information Services 

  38. Rabinovitch. J. (1998) Global, Regional and Local Perspectives Towards Sustainable Urban and Rural Development. In E. Fernandes, ed., Environmental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Urban Areas: Lessons from Africa and Latin America. Alershot: Ashgate, pp. 16-44 

  39. Romme, V. H.(1982) Fire and landscape diversity in subalpine forests of Yellowstone National Park. Ecological Monographs 52: 199-221 

  40. Sklenika, P. and T. Lhota(2002) Landscape heterogeneity: a quantitative criterion for landscape reconstruc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147-156 

  41. Steiner, F.(1999) The Living Landscape. New York: McGraw-Hill 

  42. Swanwick, C.(1998) New forces for change. Landscape Design April: 8-11 

  43. Wanwick, C. and Land Use Consultants(2002)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Guidance for England and Scotland. Countryside Agency. Cheltenham and Scottish Natural Heritage 

  44. Turner, M. G.(1989) Landscape ecology: the effect of pattern on proces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0: 171-197 

  45. United Nations (1998)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The 1996 Revision. New York: United Nations 

  46. Vh-Piikki, I., A. Kurtto. and V. Hahkala(2004) Species number, historical elements and protection of threatened plants in Helsinki. Finland.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 357-370 

  47. White. R. R.(1994) Urban Environmental Management. Chichester: John Wiley & Sons 

  48. Wickham, J. D., R. V. O'Neill, K. H. Ritters, T. G. Wade, and K. B. Jones(1997) Sensitivity of landscape pattern metrics to land cover misclassification and differences in land-cover composition.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3: 397-402 

  49. World Bank(1992) World Development Report 1992.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50. Yoo, J. C.(1997)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in South Korea. 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nchester. Manchester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