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경관유형 분류기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Landscape Type for Urban Landscape Planning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2, 2009년, pp.78 - 89  

방재성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양병이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경관계획의 효율적 실행수단 확보 차원에서 도시경관 유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학술지 논문과 경관계획 보고서 중 경관유형과 분류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기존 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현행 도시계획의 근간이 되는 용도지역지구제에서 활용 가능한 도시경관 유형화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과 평가 관점의 경관유형화 방식은 생태학적 접근과 형식미학적 접근에 기반하여 경관요소들의 특성을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경관을 유형화하는 것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 경관계획에서 보여지는 경관유형은 분석을 위한 경관유형과 계획을 위한 경관유형의 혼용에 의해 논리적인 경관유형 분류체계가 확립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경관관리대상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경관관리를 위한 경관제어요소와 관리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 부족으로 연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계획 과정상의 효용성을 고려하여 활용 가능한 경관유형 분류기준을 크게 경관구성의 1차적 기준과 2차적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1차적 기준은 지형과 용도지역지구, 경관자원의 성격, 경관요소가 있고 2차적 기준은 경관계획 대상지 외부에서 경관을 구성하는 조망점, 조망점과 경관대상과의 거리, 도시공간의 형태적 특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한 도시경관 유형화는 도시 전반에 대한 경관관리가 가능하게 할 것이며, 향후 도시경관유형을 토대로 한 용도지역지구의 운용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fundamental data for th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type as a base for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practices. To do this, prior dissertations and landscape plan reports were analyzed, which present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landscape type. Based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대현 등(2005)의 연구에서는 도시의 토지이용형태 즉, 용도지역별로 경관을 구분한 후, 시각적 평가를 통한 경관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도시경관의 유형과 특성의 관계 파악을 위한 연구로서, 토지이용 형태에 따라 경관을 유형화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도시의 용도지역에 따라 경관을 구분하고, 각 용도지역별 경관을 촬영하여 경관평가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경관계획의 효율적 실행수단의 확보 차원에서 도시경관 유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관을 유형화하는 관점과 목적에 따라 변화해 온 경관유형 방식과 분류기준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현행 도시계획의 근간이 되는 용도지역지구제하에서 가능한 경관유형 분류방안의 기초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현실적 문제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경관관리의 법적 수단의 국토계획법과 경관법의 실행 수단을 활용할 수 있는 경관유형화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경관계획의 효율적 실행수단의 확보 차원에서 도시경관 유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관을 유형화하는 관점과 목적에 따라 변화해 온 경관유형 방식과 분류기준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현행 도시계획의 근간이 되는 용도지역지구제하에서 가능한 경관유형 분류방안의 기초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도시경관계획 수립의 기반인 도시경관유형화의 객관화된 방법론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성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도시경관계획의 대상과 규모의 구체화를 가능하게 하는 도시경관 유형화를 위한 방법론 구축의 기초자료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 내부, 외부의 기준은 경관관리를 위한 규제 대상지역과 직접적 연관 유무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현 단계에서 경관유형 분류기준을 구분하는 것이 객관적 타당성 측면에서 적절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 부분에 대한 논의는 향후 관련 연구에서 풀어야 할 부분으로 남겨 놓고 논지를 전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우리나라 경관계획에서 보여지는 경관유형 분류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일관된 경관유형 분류체계가 없다는 것이다. 이는 분석과 평가관점의 경관유형과 계획을 위한 경관유형의 이해 부족에서 비롯한 경관유형의 혼용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 첫째, 일관된 경관유형 분류체계가 없다. 지자체 경관계획에서 보여지는 경관유형은 논리적이지 못한 획일적인 나열과 선택에 의존하고 있으며, 지역의 경관자원, 특성, 경관구성요소에 대한 정확한 이해없이 비체계적인 경관유형 분류방식을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토계획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그러나 현재의 경관법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계획법')과의 상호보완적 차원에 머물러 있다. 국토계획법이 용도지역지구제에 기반하여 도시 내에 필요한 공간을 양적으로 공급하고 관리하는 것이 주목적이라면, 경관계획은 입체적 관점에서 경관과 관련된 물적, 비물적 요소들의 계획 및 관리가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경관법의 실태는 어떠한가? 이러한 흐름은 2007년 경관법의 제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경관법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계획법')과의 상호보완적 차원에 머물러 있다. 국토계획법이 용도지역지구제에 기반하여 도시 내에 필요한 공간을 양적으로 공급하고 관리하는 것이 주목적이라면, 경관계획은 입체적 관점에서 경관과 관련된 물적, 비물적 요소들의 계획 및 관리가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2007년 경관법의 제정을 통해 무엇을 확인할 수 있는가? 최근 도시경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경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효율적인 도시경관계획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2007년 경관법의 제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건설교통부(2004) 신도시 경관계획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 

  2. 김대현, 김대수, 주신하, 오세래(2005) 도시의 토지이용형태별 경관특성과 유형. 한국조경학회지 33(4): 1-10 

  3. 김용성, 이희정(2005) 외국 용도지역 사례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용도지역제 제도개선방향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97-108 

  4. 김용수, 박찬용(2006)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지표의 연구경향과 유형. 국토계획 41(5): 117-129 

  5. 김한배(2003) 도시경관계획의 작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 국토계획 38(5): 213-230 

  6. 대한주택공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조경학회(2006) 경관법 제정을위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7. 방재성, 송병화, 양병이(2008) 조망점의 선정기준과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1): 70-79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3)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연구 I 

  9.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연구 II 

  10. 서울특별시(2005) 서울시 경관관리 기본계획 

  11. 서주환, 윤재남(1999) GIS와 군집분석을 이용한 경관자원 평가와 관리. 한국조경학회지 27(3): 88-97 

  12. 유재형, 박상필, 김기호(2005) 서울 강북 도심부 경관유형별 특성과 학습 영향매체의 관계.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5-34 

  13. 이규목(2004) 한국의 도시경관. 열화당 

  14. 이형복, 임윤택, 사토세이지(2004) 서울시 도시경관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3): 247-259 

  15. 인천경제자유구역청(2005)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지구경관기본계획 

  16.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7. 임승빈, 안동만(1996) 제주도 중산간지역 현황조사. 서울대학교 농업개발연구소 

  18. 임승빈, 서정희, 박향춘, 정윤희(2007) 경관유형 분류지표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3(1): 41-50 

  19. 정순오, 한표환(1996) 도시경관보전을 위한 토지이용규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8(3): 17-34 

  20. 정태일, 오덕성(2003) 우리나라 경관관련 법, 제도 및 계획 속에 나타난 경관유형과 제어요소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19(10): 111-120 

  21. 최봉문, 이재준, 백운수, 구자훈, 강병수, 심상욱, 정태일(2002) 경관우수지역 보전 및 관리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240: 3-14 

  22. 최유리, 변연수, 황재훈(2007) 도시위계별 경관 유형과 제어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54-163 

  23. 한갑수(2003)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경관유형의 특성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 117-128 

  24. 홍승길, 서명철, 정필균, 손연규, 박광래, 강기경(2006) GIS기법을 이용한 농촌지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경관유형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9(1): 1-7 

  25. 화성시(2005) 화성시 경관관리 기본계획 

  26. 황기원(1984) 문화경관론에 의한 도시경관의 해석이론 및 기법. 환경논총 15: 94-107 

  27. 황기원(1989) 경관의 다의성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1(3): 135-140 

  28. 황재훈(2003) 청주시 경관유형별 특성 및 평가연구. 건설기술연구소논문집 22(2): 281-294 

  29. Antrop, M.(2006) Sustainable landscape: Cotradiction, fiction or utopi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5(3-4): 187-197 

  30. Arthur, L. M., T. C. Daniel, R. S. Boster(1977) Scenic assessment: an overview.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 109-129 

  31. Barbyn, L. K.(1996) Landscape classfication using GIS and national digital database. Landscape Research 21(3): 277-300 

  32. T. C. Daniel, and J. Vining(1983)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assessment of Landscape Quality In Altman I., Wohlwill, J. F.,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New York: Plenum Press: 39-84 

  33. Meinig, D. W., et al(1979) The Interpretation of Ordinary Landscap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34. Norberg-Shulz, C.(1980) Genius Loci: Towards a Phenomelogy of Architecture, London: Academy Editions 

  35. Swanwick, C. (2002) Landscape character assesment: Department of landscape university of sheffield and landuse concultations 

  36. Zube, E. H., J. L. Sell, and J. Taylor(1982) Landscape perception: Research, application, and theo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 1-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