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경천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Rhodiola dumulos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2 no.5, 2005년, pp.496 - 500  

박경욱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  윤재호 (순천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김재용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창호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  박채규 (KT& G 중앙연구원) ,  송원섭 (순천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서권일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홍경천(Rhodiola dumulosa)을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홍경천(뿌리)을 80% 메탄올로 열수 추출하여 용매 분획한 후 이들에 대한 항산화, 암세포 성장 억제 및 대식세포의 면역활성 등과 같은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홍경천 메탄올 추출물의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메탄올 및 물 분획물의 수소공여능은 100 ${\mu}g/mL$의 농도에서 각각 28.30, 53.21, 35.48, 42.64 및 21.14% 로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A549 및 SW480 와 같은 암세포에 용매 분획물 1, 10 및 100 ${\mu}g/mL$의 농도로 48시간 처리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암세포주의 성장을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그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100 ${\mu}g/mL$의 농도로 48시간 동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암세포에 처리시 처리구에서의 암세포는 뚜렷한 세포수의 감소와 함께 심한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대식세포주(RAW 264.7)에 1, 10 및 50 ${\mu}g/mL$의 농도로 용매 분획물을 처리한 후 NO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1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메탄올 분획물에서 NO 생성을 강하게 유도하였다. 따라서 본 결과는 홍경천의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functional food material using Rhodiola dumulosa(RD), th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on, antiproliferation in the cancer cells and immuno-activity in macrophage cells were investigated with hexane, ethylacetate, n-butanol, methanol and water fractions of RD 80% methanol ex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경천(Rhodiola dumulosa)을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홍경천 메탄올 추출물을용매의 극성 증가순으로 계통분획한 후 이들에 대한 항산화, 항암 및 면역활성과 같은 생리활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ung, T.H. (1974) Korean Flora(Herb part). Academy-book, Seoul. p. 283 

  2. Lee, Y.N. (1997)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Seoul., p. 277 

  3. Choi, D.Y., Ahn, S.Y., Lee, S.G., Han, J.S., Kim, E.C., Lee, H.B., Shin, J.H, Kim, E.K. and Row, K.H. (2004) Separation and performance test of whitening agent in Rhodiola sachalinensis. J. Kor. Biotechnol. Bioeng., 19, 169-173 

  4. Bae, K.H. (2000)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 Publishing, Seoul., p. 200 

  5. Lee, U.C.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Seoul, p. 144 

  6. Kurkin, V.A., Zapesochnaya, G.G. and Klyazinka, V.G. (1982) Flavonoids of R. rosea. Khim Prir Soedin., 13, 581-584 

  7. Zapesochaya, G.G. and Kurkin, V.A. (1983) The flavonoids of the rhizomes Rhodiola rosea. II. A flavonolignan and of herbacetin. Khim Prir Soedin., 19, 23-32 

  8. Ryu, K.Y., Kang, W.S., Kim, Y.H., Jang, H.D., Hong, J.H., Yoo, H.S. and Yun, Y.P. (1998)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rhizomes Rhodiola sachalinensis. Yakhak Hoeji, 42, 312-318 

  9. Salikhovw, R.A., Alesandrova, I.V., Mazuric, V.K., Mikhailov, V.F., Ushenkova L.N. and Poroshenko, G.G. (1997) Effect of Rhodiola rosea on the yield of mutation alterations and DNA repair in bone marrow cells. Patol. Fiziol. Eksp. Ter., 22, 4-8 

  10. Shim, C.J., Lee, G.H., Jung, J.H., Yi, S.D., Kim, Y.H. and Oh, M.J.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from Rhodiola sachalinensis. J. Kor. Food Preserv., 11, 63-70 

  11. Yoshikawa, M., Shimada, H., Horikawa, S., Murakami., T, Shimoda., H., Yamahara, J. and Matuda, H. (1997) Bioactive constituents of Chinese natural medicines. IV. Rhodiolae radix. (2) : On the histamine release inhibitors from the underground part of Rhodiola sacra(Prain ex Hamet) S. H. Fu(Crassulaceae): chemical structures of rhodiocyanoside D and sacranosides A and B. Chem. Pharm. Bull., 45, 1498-1503 

  12. Spasov, A.A., Mandrikov, V.B. and Mironova, I.A. (2000) The effect of the preparation rodakson on the psychophysiological and physical adaption of students to an academic load. Eksp. Klin. Farmakol., 63, 76-78 

  13. Kelly, G. (2001) Rhodiola rosea : a possible plant adaptogen. Altern. Med. Rev., 6, 293-302 

  14. Zhang, Z., Feng, S., Hu, G., Cao, Z. and Wang, L. (1989) Effect of Rhodiola kirilowii (Regel.) Maxim on preventing high altitude reactions ; A comparison of cardiopulmonary functions in villagers at various altitudes. Zhongguo Zhong Yao Za Zhi, 14, 687-690 

  15. Maimeskulova, L. and Maslov, L. (2000) Anti-arrhythmic effect of phytoadaptogens. Eksp. Klin. Farmakol., 63, 29-31 

  16. Cheng, Z., Ki, L., Wu, Y., Zhao, Q., Du, G. and Liu, Y. (1993) Studies on the hypoglycemic effect of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polysaccharides. Zhongguo Zhong Yao Za Zhi, 18, 557-559 

  17. Pae, H., Seo, W., Oh, G., Kim, N., Kim, Y., Kwon, T., Shin, M., Chai, K. and Chung, H. (2001) Rhodiola sachalinensis induces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gene by murine fetal hepatocytes (BNLCL.2).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3, 25-33 

  1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Skehan, P., Storeng, R. and Scudiero, D. (1990) New colorimetric cytotoxicity assay for anticancer-drug screening. J. Natl. Cancer Inst., 82, 1107-1112 

  20. Yee, S.T., Jeong, Y.R., Ha, M.H., Kim, S.H., Byun, M.W. and Jo, S.K. (2000) Induction of nitric oxide and $TNF-{\alpha}$ by herbal plant extract in mouse macrophage. J. Kor. Soc. Food Sci. Nutr., 29, 342-348 

  21. Cui, C.B., Lee, D.S. and Ham, S.S. (2003)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extract. J. Kor. Soc. Food Sci. Nutr., 32, 211-216 

  22. Lee, H.K., Shin, M.K., Pae, H.O., Seo, W.G., Oh, G.S., Ahn, B.S. and Chung, H.T. (2000)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on nitric oxide synthesis by macrophages, hepatocytes, and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Kor. J. Immunol., 22, 229-2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