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MPLS 네트워크를 위한 간략화된 QoS 모델
A Simplified QoS Model for MPLS Networks 원문보기

한국통신학회논문지. The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네트워크 및 서비스, v.30 no.4B, 2005년, pp.235 - 245  

석승준 (경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차세대인터넷 연구실) ,  강철희 (고려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과 광대역통신 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MPLS 기반의 백본 망에서 손쉽게 구현될 수 있는 서비스 차별화 방안을 제안한다. MPLS에서 QoS를 구현하기 위해 지금까지 가능성 있게 고려되고 있는 방안으로는 IETF 차등 서비스 모델을 MPLS 망에 그대로 구현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는 지금의 MPLS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변화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서 논문에서는 백본 MPLS 네트워크를 위한 가상 링크(Virtual Link)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사용해서 MPLS 서비스 차별화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음을 보인다. 제안하는 가상 링크는 입구와 출구 MPLS 라우터간에 설정된 LSP들의 집합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가상 링크의 업스트림(입구) 라우터에서는 LSP별로 입력 트래픽에 대해서 PHB를 적용한다. 하지만 기존 방안과는 달리 망 내부의 코어 라우터에서는 Behavior Aggregation별 서비스 품질이 아닌 LSP별 대역폭만을 보장하도록 한다. 이러한 LSP대역폭 보장 서비스는 기존 CR-LDP가 적용된 기존 MPLS 네트워크에서 이미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이다. 논문에서는 가상 링크의 구현을 위해 두 라우터간에 입력되는 플로우들을 가상 링크를 구성하는 여러 LSP들에 적절하게 할당하기 위한 Flow Allocation Mechanism을 정의 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하는 방안이 백본 MPLS 망에서 서비스 차별화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서 입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 simplified QoS model of MPLS-based backbone network. Conventional scheme proposed by IETF(IETF schem) is to embed a DiffServ model in MPLS network. However, this approach results in overall upgrade of MPLS system and so it is difficult to deploy this approach. Our proposed model, h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MPLS 네트워크 상에서 논리적으로 완정연결형(Full-Mesh) DiffServ 네트워크를 오버레이 모델로 구성하려고 한다. 제안되는 가상의 DiffServ 네트워크는 LER에 가상 DiffServ 노드 기능을 구성하다.
  • MPLS 망에서 QoS를 제공하기 위한 기존의 기법 (MPLS+DiffServ)과 제안하는 가상 링크를 이용하는 기법에 대해서 논리적으로 장. 단점을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0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이 시뮬레이션의 목적은 MPLS+DiffServ 모델과의 성능 비교가 아니라 제안하는 가상 링크 모델도 의미 있는 서비스 차별화 기법이 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에 있다. 이를 위해 2가지 모델을 가지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 본 논문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백본 MPLS 에서 네트워크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간략하게 QoS를 제공하는데 그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서 가상 링크 모델을 제시하고, 가상 링크를 구성하는 각 LSP의 입구에서만 PHB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8) 가상 링크를 구성하는 각 LSP의 입구에서만 PHB 기능이 수행된다. 즉, 각각의 LSP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 1) 가상 링크를 구성하는 LSP에게는 트래픽 메트릭스에서 요구하는 대역폭이 적절히 나누어서 할당된다.
  • 2) MPLS 네트워크의 효율(Performance)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최적의 LSP set이 설정된다.
  • 3) 하나의 가상 링크를 구성하는 LSP의 개수(R) 는 최대값(K)를 넘지 않도록 한다.
  • 5) 만약 하나의 가상 링크에 여러 개의 LSP가 존재한다면 각 LSP에 존재하는 서비스 클쾌 스들의 분포가 유사하도록 한다.
  • 1. 입구 LER i와 출구 LER j 사이에 대역폭 k와 서비스 s를 요구하는 새로운 SLA(i, e心)가 1노드에 도착함.
  • 2. 모든 LSP에 대한 SLA 할당을 초기화 함.
  • 10. 각 LSP들이 같은 수의 BE SLA를 갖도록 BE SLA 를 할당함.
  • 11. 트래픽 분배를 완료하고 각 LSP의 서비스 트래픽 비율에 따라서 LSP PH町를 설정함.
  • K - The Maximum number of LSPs between ingress i node and egress e node.
  • 또한 모델에서는 9개의 트래픽 소스를 두고 이중에서 가상 링크를 통하여 전달되는 트래픽(SI, S2, S3)을 포워그라운드 트래픽 그리고 네트워크의 혼잡 발생을 위해 생성된 트래픽(S4, S5, S6, S7, S8, S9)을 백그라운드 트래픽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전체 링크 자원의 80%가 예약된 상태로 가정한다. 예약된 자원에 대하여 포워그라운드 트래픽과 백그라운드 트래픽 비율은 2:8로 설정하였다 또한 예약된 트래픽의 서비스 비율은 2:5:3 (EF: AF:BE)의 비율로 가정하였으며 최선형 서비스의 트래픽은 설정된 양보다 1.
  • 여기서 전체 링크 자원의 80%가 예약된 상태로 가정한다. 예약된 자원에 대하여 포워그라운드 트래픽과 백그라운드 트래픽 비율은 2:8로 설정하였다 또한 예약된 트래픽의 서비스 비율은 2:5:3 (EF: AF:BE)의 비율로 가정하였으며 최선형 서비스의 트래픽은 설정된 양보다 1.5배 많게 발생시켰다. 이것은 설정된 LSP내에서 예약하지 않는 최선형 서비스의 트래픽을 초과하여 보냄으로써 다른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서이다.
  • 세 곳의 LSP들이 지나는 링크의 총 대역폭은 각각 3Mbps이며 각 LSP의 자원 예약은 첫 번째 모델에서 단 일 경로에서 예약된 자원을 1:2:3의 비율로 예약되었다. 또한 다중 경로로 전달되는 포워그라운드 트 래픽도 앞 모델에서 단일 경로에서 전달되던 포워그라운드 트래픽을 1:2:3의 비율로 나누어 각 LSP 로 전달된다고 가정하였다. 각 LSP에 할당된 트래 픽을 구성하는 서비스 클래스 분포는 단일 경로를 가진 실험 모델에서와 마찬가지로 2:5:3의 분포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다.
  • 또한 다중 경로로 전달되는 포워그라운드 트 래픽도 앞 모델에서 단일 경로에서 전달되던 포워그라운드 트래픽을 1:2:3의 비율로 나누어 각 LSP 로 전달된다고 가정하였다. 각 LSP에 할당된 트래 픽을 구성하는 서비스 클래스 분포는 단일 경로를 가진 실험 모델에서와 마찬가지로 2:5:3의 분포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LSP 1의 자원 예약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S. Blake, D. Blake, M. Carlson, E. Davies, Z. Wang, W. Weiss, 'An Arichitecture for Differentiated Services,' RFC 2475, Dec. 1998 

  2. E. C. Rosen, A. Viswanathan, R. Callon,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Architecture,' RFC 3031, Jan. 2001 

  3. F. L. Faucheur, L. Wu, B. Davie, S. Davari, P. Vaananen, R. Krishnan, P. Cheval, J. Heinanen,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MPLS) Support of Differentiated Services,' RFC 3270, May 2002 

  4. T. Nadeau, M. Tatham, T. Telkamp, J. Boyle, L. Fang, 'Requirements for support of Diff-Serv-Aware MPLS Engineering' Internet Draft , Nov. 2000 

  5. M. Moh, B. Wei and J. Huijing Zhu, 'Supporting Differentiated Services with Per-Class Traffic Engineering in MPLS,' Computer Communications and Networks, Jan. 2001, pp.354-360 

  6. O. Aboul-Magd, P. Ashwood-Smith, F. Hellstrand, K. Sundell, L. Andersson, R. CalIon, R. Dantu, L. Wu, P. Doolan, T. Worster, N. Fredette, M. Girish, E. Gray, J. ?Halpern, J. Heinanen, T. Kilty, A. Malis, P. Vaananen, 'Constraint-Based LSP Setup using LDP,' RFC 3212, Jan. 2002 

  7. D. Awduche, J. Malcolm, J. Agogbua, M. O'Dell and J. McManus, 'Requirements for Traffic Engineering over MPLS,' RFC 2702, Sept. 1999 

  8. E. Crawley, R Nair, B. Jajagopalan and H. Sandick, 'A Framework for QoS-based Routing in the Internet,' RFC 2386, Aug.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