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체이미지에 따른 성형욕구, 자아개념, 의복행동 -다중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The Effects of Body-image Measured by Multi Measurements on Body Modification, Self Concept, and Clothing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29 no.3/4 = no.141, 2005년, pp.391 - 402  

송경자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김재숙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l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any significant relations among body image, needs for body modification, self concept, and some selected clothing behaviors of two age group females using social comparison theory as the research background. The sampling method was a convenient sampl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적 비교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다양한 신체이미지 측정도구들을 사용하여 신체이미지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성형욕구, 자아개념,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들의 실제 신체크기와 타인과의 비교로부터 비롯되는 지각된 신체이미지를 측정하고 성형욕구, 자아개념,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비교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게 될 것이다.
  •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20대와 40대 여성을 대상으로 다양한 신체 이미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신체이미지를 측정하고, 신체이미지에 따른 성형욕구, 자아개념, 의복행동을 알아보는 것이다.
  • 연구문제 1: 신체이미지에 따른 성형욕구, 자아개념, 의복행동의 관계를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연령에 따른 신체이미지, 성형욕구, 자아개념, 의복행동의 차이를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구자명, 이명희, (1994). 남녀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사회 성 빛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5), 53-163 

  2. 김순구, 윤학자. (1986).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 녀 고교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0(1), 1-8 

  3. 김양진. (1992). 의복 및 신체 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양진 (1996). 유행의복이미지자 개인의 자아개녕과 의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은주 (2001).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송경자.(1999). 신체이미지.자아f존중감이 의복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태도적. 지각적 신체이미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안재훈, 김용운, 백무현, 김승홍, 민대홍, 이영식, 이철원 (1993). 성형수술환자들의 정신 의학적 측면에 관한 연구(II) . 대한성형학회지, 20, 945 

  8. 유영천, 이두형, 장충현. (1994). 미용성형수술을 받은 환자들 의 태도조사(I). 대한 성형외과학회지, 21(3), 452-459 

  9. 이미숙 (2000). TV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및 연예인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10. 이선재. (1991) . 한, 미 대학생 및 교포 대학생간의 의복태도 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2), 173-187 

  11. 이진호, 김용배, 방유현, 박종섭, 노명래. (1983). 미용성형수술 환자의 정신적 측면에 대한 고찰 대한성형외과회지; 10권, 279 

  12. 임경복.(1997). 신체만족도에 따른 의복행동에 대한 연구-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5(2), 195-205 

  13. 임숙자, 이미현, 이승희, 신효정. (2000). 바디이미지. 교문사 

  14. 전경란.(2002). 여성의 욕구. 자아존중감과 성형 및 의복 태도의 관련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진효정, 임숙자. (1997). 여대생 집단과 유행전문가 집단의 의복 동조성에 관한 연구- 자아개념변얀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5(3), 47-56 

  16. Askevold, R. (1975). Measuring body image: Preliminary report on a new method.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26, 71-77 

  17. Cash, T. F. (1990).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In Appendix.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Thomson, J. K.). Pergamon Press 

  18. Fallon, A. E. & Rozin, P. (1985). Short report: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desirable body shap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4, 102-105 

  19.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 117-140 

  20. Humphrey, C., Klassen, M. & Creekmore, A. M. (1971). Clothing and self concept of adolescent. Journal of Home Economics, 63, 246-250 

  21. Jacobi, L. & Cash, T. F. (1994). In pursuit of the perfect appearance: Discrepancies among self-ideal percepts of multiple physical sttribute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4(5), 379-396 

  22.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2th ed). New York: Macmillan 

  23. Kim, J. S., Koh, A. R., Lee, S. H. & Oh, K. Y (2001). Body image : Holistic perspective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 to apparel industry. 2001 Seoul KSCTIITAA Joint World Conference PROCEEDINGS, 58-59 

  24. MacGillivray, M. S. & Wilson, J. D. (1997). Clothing and appearance among early, middle and late adolescent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5(1),43-50 

  25. Secord, P. F. & Jourard, S. M. (1953). The apprisal of body cathexis: Body-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7, 343-3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