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사회적 자아개념과 의복행동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s among Body Image, Social Self Concept and Clothing Behaviors of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3 no.3, 2009년, pp.433 - 443  

이미숙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body image, social self concept, and clothing behaviors of adolescent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three variables by adolescents' sex and age variables. The research method was survey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급격한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고 자신의 외모와 의복에 지대한 관심을 지니며, 신체이미지와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는 남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신체이미지와 사회적 자아개념, 의복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며, 이들 변인이 청소년의 성과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비교분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신체이미지, 사회적 자아개념과 의복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청소년의 성과 연령에 따라 비교분석해보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신체이미지, 사회적 자아개념과 의복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청소년의 성과 연령에 따라 비교분석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측면의 하나인 사희적 자아개념을 주요 연구변인으로 청소년들의 신체 이미지, 사회적 자아개념과 의복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청소년의 성과 연령에 따른 집단별로 구체적으로 분석 해봄으로써 청 소년들의 신체 이 미지 , 사회적 자아개념과 의복행동간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고애란, 김양진. (1996).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대한 자아중 심성, 자의식, 신체만족도의 영향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4), 667?681 

  2. 고은주, 장남경. (2003).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신체 만족도와 의복행동 연구를 통한 패션마케팅 전략제안. 대한가정학회지, 41(12), 13-26 

  3. 김광경, 이금실, 정미실. (2001). 다차원적 신체이미지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2), 358?365 

  4. 김승현. (1996). 교우관계 개선을 위한 집단 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양진, 강혜원. (1992). 의복 및 신체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6(2), 197?211 

  6. 송경자, 김재숙. (2005). 신체이미지에 따른 성형요구, 자아개념, 의복행동-다중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한국의류학회지, 29(3/4), 391?402 

  7. 송인섭. (1994). 자아개념 진단검사. 서울: 한국심리적성연구소 

  8. 심정은, 고애란. (1997).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체중조절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8), 1334?1345 

  9. 윤진. (1993). 청소년심리학. 서울: 도서출판 서원 

  10. 이금룡. (1998). 외모가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11, 1?18 

  11. 이미숙. (2000).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및 연예인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이미숙. (2008).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관의 내면화가 청소년들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복식학회, 58(6), 96?109 

  13. 이부희, 고애란, 김양진. (1996). 남녀 중.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4(5), 131?144 

  14. 이송자, 곽인숙, 이수정. (2004). 남.녀 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4), 467?474 

  15. 이은미. (1985). 여자 중학생의 성격특성 및 또래집단 수용에 따른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은희. (2005).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4(6), 1007?1015 

  17. 이은희. (2007).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 외모와 의복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10(1), 49?58 

  18. 이희남. (1985). 여대생의 신체적 만족도 및 신체충실지수와 의복행동과의 관계. 상지대 논문집, 6, 387?408 

  19. 임경복. (1997). 신체만족도에 따른 의복행동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5(2), 195?205 

  20. 임경희. (2005). 신체이미지 수용과 여학생의 외모 가꾸기. 보건과 사회과학, 17, 107?132 

  21. 임수진. (2002). 학생들의 외모에 대한 인식과 자아개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장기영. (2006).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스포츠참여 형태와 자아개념과의 관계.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정미자, 김구자. (2000). 중학생의 반사회성과 남성·여성 특성에 따른 의복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4(8), 1276?1287 

  24. 정해자, 박찬부. (1989). 여고생의 의복행동에 대한 남녀 고등학생의 반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7(4), 11?20 

  25. 최윤미. (1999). 현대 청소년 심리학. 서울: 학문사 

  26. 하주연, 고애란, 정미실. (2005). 여고생의 감각추구성향과 신체이미지에 따른 의복행동 및 헤어스타일 태도. 한국의류학회지, 29(5), 715?726 

  27. 한상철. (1998). 청소년학 개론.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8. 한준상, 이춘화, 윤옥경. (2000). 청소년의 신체적 자아상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29. Francis, S. K. (1992). Effect of perceived clothing depriv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social participatio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9(2), 29?33 

  30. Hendricks, S. H., Kelly, E. A., & Eicher, J. A. (1963). Senior girl's appearance and social acceptance. Journal of Home Economics, 10(3), 167?172 

  31. Hendry, L. B. (1978). School, sports and Leisure. London: Falmer Press 

  32. 최윤미. (1999). 현대 청소년 심리학. 서울: 학문사 

  33.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3rd ed.). Boston: Houghton Miffin Co 

  34. Hurlock, E. B. (1976). The psychology of dress: An analysis of fashion and its motives. NY: Aron Press 

  35. MacGillivary, M. S. & Wilson, J. D. (1997). Clothing and appearance among early, middle, and late adolescent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5(1), 43?49 

  36. Richards, M. H., Boxer, A., Peter, A. C., & Albrecht, R. (1990). Relations of weight to body image in public girls and boys from two communities. Developmental Psychology, 26, 313?321 

  37.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Y.: Holt Reinhart & Winston Inc 

  38. Steinberg, L. (1993). Adolescence. New York: McGraw Hil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