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우울에 따른 자가간호 이행, 대사조절 및 심혈관계 위험지표
Self Care Activity, Metabolic Control,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s of Depression of Cl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2, 2005년, pp.283 - 291  

이해정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경연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형숙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vels of depression experienced by clients (N=152)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DM), and to compare the levels of self care activity, metabolic control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etween depressed and non-depressed clients. Method: Part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당뇨 환자의 우울 유무에 따른 자가간호, 대사조절 및 심혈관합병증 정도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한 횡단적 조사 연구로 우울과 당뇨 관리 그리고 당뇨 합병증에 대한 명확한 인과관계는 설명할 수 없다. 그러나 본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이들 변수 간의 상관성에 대한 좀 더 상세하고 다각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저)2형 당뇨병 환자의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CES-D 점수에 의한 우울 군과 비우울군에서 자가간호 이 행정 도와 대사조절 및 심혈관 합병증 위험지수를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의 우울 정도는 평균 16.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 정도에 따른 자가간호 이행, 당 대사, 지질대사 및 심혈관 합병증 위험 정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 당뇨 환자의 우울과 관련되는 대상자 특성으로는 성별, 교육 수준, 수입 정도 및 직업 유무로 남성보다 여성이, 나이가 적을수록,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수입이 적을수록, 직업이 없는 사람이 직업이 있는 사람보다 더 높은 수준의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Egede, Zheng, & Simpson, 2002; Roy & Roy, 2001). 우울과 당뇨 환자의 특성과의 관련성 역시 국내에 서는 보고된 바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우울과 당뇨 환자의 특성과의 상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 국내에서는 Kim과 Park(2003)이 시각적 상사 척 도를 사용하여 우울과 혈당측정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정 상 혈당치를 가진 당뇨 환자가 고혈당 치를 나타내는 당뇨 환자보다 더 우울한 것으로 보고하였고, Lee와 Song(2002)은 Zung의 우울척도를 이용하여 당뇨 환자의 우울과 신체 상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으나 이들 연구에서는 우울 유무에 대한 임상적 cut-point가 제시되지 않은 도구를 사용하여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의 우울을 경험하는 당뇨 환자의 빈도 파악이 힘들며 우울 유무에 따른 당뇨 환자의 자가간호, 대 사조 절 및 심혈관 위험지표와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국내 당뇨 환자의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 유무에 따른 당뇨 환자의 자가간호, 대사조절 및 심혈관 위험지표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arney, R. M., Freedland, K. E., Lustman, P. J., & Griffith, L. S. (1994). Depression and coronary disease in diabetes patients: a 10-year follow-up(Abstract). Psychosom Med, 56, 149 

  2. Ciechanowski, P. S., Katon, W. J., & Russo, J. E. (2000). Depression and diabetes: impact of depressive symptoms on adherence, function, and cost. Arch Intern Med, Nov 27, 60(21), 3278-3285 

  3. Ciechanowski, P. S., Katon, W. J., Russo, J. E., & Hirsch I. B. (2003).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s to symptom reporting, self-care and glucose control in diabetes. Gen Hosp Psychiatry, 25, 246-252 

  4. Clouse, R. E., Lustman, P. J., Freedland, K. E., Griffith, L. S., McGill, J. B., & Carney, R. M. (2003). Depress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with diabetes. Psychosom Med, May-Jun, 65(3), 376-383 

  5. Cohen, S. T., Welch, G., Jacobson, A. M., De Groot, M., & Samson, J. (1997). The association of lifetime psychiatric illness and increased retinopathy in patients with type I diabetes mellitus. Psychosomatics, 38, 98-108 

  6. Dong, C., Sanchez, L. E., & Price, R. A. (2004). Relationship of obesity to depression: a family -based stud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Jun, 28(6), 790-795 

  7. Egede, L. E., Zheng, D. (2003).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a national sample of individuals with diabetes. Diabetes Care, 26(1), 104-111 

  8. Egede, L. E., Zheng, D., & Simpson, K. (2002). Comorbid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health care use and expenditures in individuals with diabetes. Diabetes Care, 25, 464-470 

  9. Fisher, L., Skaff, M. M., Chesla, C. A., Kanter, R. A., & Mullan, J. T. (2001). Contributors to depression in Latino and European-Americ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4(10), 1751-1757 

  10. Forrest, K. Y. Z., Becker, D. J., Kuller, L. H., Wolfson, S. K., & Orchard, T. J. (2000). Are predi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lower-extremity arterial disease in type I diabetes the same? A prospective study. Atherosclerosis, 148, 159-169 

  11. Gary, T. L., Crum, R. M., Cooper-Patrick, L., Ford, D., & Brancati, F. L. (2000). Depressive symptoms and metabolic control in African-American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Jan, 23(1), 23-29 

  12. Golden, S. H., Williams, J. E., Ford, D. E., Yeh, H. C., Paton, S. C., Nieto, F. J., & Brancati, F. L. (2004). Depressive symptoms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Diabetes Care, Feb, 27(2), 429-435 

  13. Kihasa. (2000). http://www.Healthguide.kihasa.re.krlkor/healthin foI2000/04/ contents/theme.html 

  14. Kim, C. J. (2002). Proces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and self-efficacy correspon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 Adult Acad Nurs, 14(1), 83-92 

  15. Kim, H. S., & Park, J. S. (2003). Depression and blood glucose testing in women type2 diabetes pati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9(4), 432-438 

  16. Korean Academy of Neuropsychiatric Medicine. (1998). Neuropsychiatric Medicine. Seoul:Hana Med. Pub 

  17.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3). http://www. kosso.or.kr/ 

  18. Lee, H. A., Lim, N. Y., & Park, H. A. (1998). Nursing, medical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3th. edi. Seoul: Soomoonsa 

  19. Lee, H. J., & Song R. Y. (2000). Coping strategies utilized in the caregiving situation and predictors of health responses among informal caregivers of older adults. J Korean Acad Nurs, 30(4), 893-904 

  20. Lee, M. H., & Song, M. S. (2002).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epression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J Korean Rehabil Nurs, 5(1), 49-59 

  21. Lustman, P. J., Griffith, L. S., & Clouse, R. E. (1988). Depression in adults with diabetes: results of a 5-year follow-up study. Diabetes care, 11, 605-612 

  22. Lustman, P. J., Griffith, L. S., Freedland, K. E., & Clouse, R. E. (1997). The course of major depression in diabetes. Gen Hosp Psychiatry, 19, 138-143 

  23. Lustman, P. J., Griffith, L. S., Freedland, K. E., Kissel, S. S., & Clouse, R. E. (1998).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depression in type 2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 Intern Mal, Oct 15, 129(8), 613-621 

  24. Peyrot, M., & Rubin, R. R. (1999). Persist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diabetic adults. Diabetes Care, 22, 448 - 452 

  25.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o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 Measurement, 1, 385-401 

  26. Roy, A., & Roy, M. (2001). Depressive symptoms in AfricanAmerican type 1 diabetes. Depress Anxiety. 13(1), 28-31 

  27. Shin, H. S. (1998). Development of a self-management training program of insulin dependent diabetic adolescent. A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8. Song, R. Y., & Lee, H. J. (2000). Effects of the inpatient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behavioral modific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 Korean Acad Nurs, 30(2), 463-475 

  29. Toobert, D. J., Hampson, S. E., & Glasgow, R. E. (2000).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Diabetes Care, 23(7), 943-950 

  30. Weinger, K., Jacobson, A. M., Draelos, M. T., Finkelstein, D., & Simonson, D. C. (1995). Blood glucose estimation and symptoms during hyperglycemia and hypoglycemia in patients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m J Med, 98, 2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