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내흡인에 대한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Endotracheal Suctioning(ET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2, 2005년, pp.292 - 302  

안영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oncep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behavioral concept of endotracheal suctioning (ETS), to identify the goal, to develop astandardized clinical protocol, to identify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and to differentiate the improper use of ETS. Method: Walker & Avant's concept analys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ETS의 사용에 대한 근거를 분석한 결과 거시적 목적에 비해 미시적 목적은 ETS가 사용되기 전에 선행되어야 하는 조 건들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나중에 나오는 개념분석의 선행조 건 및 결과 검증 단계에서 자세히 기술하였다. 결론적으로 ETS 사용에 대한 근거, 즉 거시적 사용목적은 기관내분비물 을 제거함으로서 기도개방성을 유지하고 체내 산소화를 돕는 것이다.
  • 개념 이란 특정 시대의 보편적 수용이란 점에서 그 사용에 있어 문화적 물리적 제한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 시도한 ETS의 개 념분석은 최신의 전공서적과 실무지침서 및 최근 20년 동안 의 종설 논문들을 대상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수행되는 ETS개 념을 분석한 것이다. 그러나 의학과 신기술의 계속적 발달은 새로운 형태의 호흡관리를 가능케 하고 이는 새로운 형태의 ETS를 요한다.
  • 본 논문은 ETS라는 행위개념에 대한 개념분석의 전 과정을 보여준다. 개념은 통용되는 범위와 내포하는 의미에 대한 암 묵적 동의수준에 따라 추상성과 구체성의 정도는 달라진다.
  • 그 결과, 현재도 임상실무에는 여러 가지의 ETS 프로 토콜이 존재하지만 ETS의 정의적 속성을 모두 포괄하면서도 불필요한 속성은 제거된 그러한 정의 혹은 프로토콜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개념분석을 통해 ETS의 효과를 가장 극대화하 면서도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임상프로토콜을 제시한다. 실천학문인 간호학은 인간의 건강문제에 개입한다는데 그 학문적 가치가 있다.
  • 이런 부가적 행위는 ETS의 효과를 극대화하며 그로 인한 부 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이고 좀더 발달된 의료기기나 현장의 자원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속성이므로 정의적 속성 의 실제적 지표로 볼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간호사에 의해 수행되는 ETS라는 행위개념에 대해 그 근본 목적에 따른 세 가지 정의적 속성을 분석해내었고 그 하부요인으로 각 속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실제적 지표를 확인하였다. 아래 <Figure 1>는 Walker와 Avant(1995)의 개념분석의 8단계 중 세 가지 정의적 속성과 실제적 지표를 포함한 개념분석의 전 과정과 그 결과를 보여준다.
  • 이 과정은, ETS에 대해 일부분 경계적이거나 유사한, 혹은 반대적이거나, 사실성이 결여된, 비논리적인 사례를 제공함으 로써 역설적으로 ETS라는 행위적 개념을 명료히 하는 단계이다. 이에 본 연구 자료인 임상지침서와 논문들을 분석하여 ETS의 세 가지 정의적 속성과 그 하부요인에 입각하여 모호 한 행위 경계를 가지고 수행되거나, 정확한 근거 없이 혼란스 럽aL 혹은 주관적으로 수행되는 ETS 현상을 기술하였다. 이에 ETS의 첫 번째 정의적 속성인 카테터의 크기와 깊이에 대한 부가적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임상실무이란 간 호가 발생하는 가장 보편적인 장이며, 간호중재는 간호학문의 외적 가치를 단적으로 드러나는 간호현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념분석을 통해 극히 침습적이고 행위적인 ETS라는 간호 중재의 목적, 속성, 실제적 지침, 평가에 대한 객관적 정의적 속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개념화된 간호중재를 통한 근거중심 간호실무를 위한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Y. M. (1999). National-wide survey on endotracheal suctioning in high-risk infant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5(2), 198-210 

  2. Akgul, S., & Akyolcu, U. (2002). Effects of normal saline on endotracheal suctioning. J Clin Nurs, 11(6), 826-30 

  3. Ahn, Y. M., & Hwang, T. S. (2003). The Effects of Shallow versus Deep Endotracheal Suctioning on the Cytological Components of Respiratory Aspirates in High-Risk Infants. Respiration, 70, 172-178 

  4. Bailey, C., Kattwinkel, J., Teja, K., & Buckley, T. (1988). Shallow versus deep ETS in young rabbit: Effects on the tracheobronchial wall. Pediatrics, 82(5), 745-751 

  5. Baun, M. (1984). Physiological determinants of a clinically successful method of endotracheal suction. West J of Nurs Research. 6(2), 213-225 

  6. Cereda, M., Villa, F., Colombo, E., Greco, G., Nacot, M., & Pesenti, A. (2001). Closed system endotracheal suctioning maintains lung volume during volume-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Intensive Care Med, 27(4), 648-654 

  7. Chinn, P., & Kramer, M. (1999). Theory and nursing. Integrated knowledge development(5th ed.). St. Louis: Mosby 

  8. Cho, Y. K. (2002). Comparison of nurses' knowledge and performance on the endotracheal suction(Master dissertation). Incheon: Inha University 

  9. Clark, A. P., Winslow, E. H., Tyler, D. O. & White, K. M. (1990). Effects of endotracheal suctioning on mixed venous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in critically ill adults. Heart & Lung, 19(5), 552-557 

  10. Cook, D. (2000).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perspectives on the burden of illness. Intensive Care Med, 26( 1), S31-S37 

  11. Cordero, L., Sananes, M., & Ayers, L. M. (2001). A comparison of two airway suctioning frequencies in mechanically ventilated, very-Iow-birthweight infants. Respir Care, 46(8), 783-788 

  12. Darlow, B. A., Sluis, K. B., Inder, T. E., & Winterbourn, C. C. (1997). Endotracheal suctioning of the neonates: Comparison of two methods as a source of mucus material for research. Pediatr Pulmonology, 23, 217-221 

  13. Evans, J. C. (1992). Reducing the hypoxemia. bradycardia, and apnea associated with suctioning in low birth weight infants. J Perinatol, 12(2), 137-142 

  14. Germma, M., Tommasino, C., Cerri, M., Giannotti, A., Piazzi, B., & Borghi, T. (2002). Intracranial effects of endotracheal suctioning in the acute phase of head injury. J Neurosurg Anesthesio, 14(1), 50-54 

  15. Jung, Y. J. (정용진) (1999). 보건의료법. 의료분쟁. 울림사 

  16. Kim, M.S., Ahn, Y. M., Park, I. O., Choi, S. J., & Yoo, M. Y. (1998). The effects of open endotracheal suctioning and close endotracheal suctioning on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in premature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J Korean Acad Nurs, 28(3), 529-539 

  17. Korean Association of Critical Care, (2004). Manual of critical care nursing(Unit I). Seoul: Koonja pub 

  18. Maggiore, S. M., Lellouche, F., Pigeot, J, Taille, S., Deye, N., Durrmeyer, X., Richard, J., Mancebi, J, Lemaire, F., & Brochard, L. (2003). Prevention of endotracheal suctioning -induced alveolar derecruitment in acute lung injury. Am J Respir Crit Care Med, 167(9), 1215-1224 

  19. Maggiore, S. M., Lacobone, E., Zito, G., Conti, C., Antonelli, M., & Proietti, R. (2002). Closed versus open suctioning techniques. Minerva anestesiol, 68(5), 360-364 

  20. Mehta, S., et al. (2004). High-frequency oscillatory ventilation in adults: the Toronto experience. Chest, 126(2), 518-27 

  21. Morrow, B. M., Futter, M. J. & Argent, A. C. (2004). Endotracheal suctioning: from principles to practice. Intensive Care Med, 30, 1167-1174 

  22. Oh, H. S. (2003).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pplied to preventing endotracheal suction induced hypoxemia. J Korean Acad Nurs, 33(1), 42-50 

  23. Runton, N. (1992). Suctioning artificial airways in children: appropriate technique. Pediatric Nurs, 18(2), 115-118 

  24. Ridling, D. A., Martin, L. D., & Bratton, S. L. (2003). Endotracheal suctioning with or without instillation of isotonic sodium chloride solution in critically ill children. Am J Crit Care, 12(3), 212-9 

  25.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At-Large. (2003). Manual of nursing practice(7th ed.). Lippincott 

  26. Spence, K., Gillie, D., & Waterworth, L. (2003). Deep versus shallow suction of endotracheal tubes in ventilated neonates and young infan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3), CD003309 

  27. Swartz, K., Noona, D. M., Edwards-Beckett, J. (1996). A national survey of endotracheal suctioning technique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Heart & Lung, 25(1), 52-60 

  28.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Neonatal Intensive Care Manual. 2004 

  29. Walker, L. O., & Avant, K. C. (1995).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3nd.). CT: Appleton & Lan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