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기관내 흡인 임상지침 수행 현황
Adherence to Clinical Guideline for Endotracheal Suction in ICU Nurse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53 - 62  

양은정 (경희의료원) ,  신현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dherence to the clinical guideline for endotracheal suction in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units (ICU)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urses with good adherence.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evaluate the pattern of adherenc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기관내 흡인 임상지침 수행현황과 수행률 및 수행률 관련특성을 질문지를 통해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1) 기관내 흡인에 대한 임상지침 수행 현황을 파악하고, 2) 기관내 흡인 임상지침 수행률과 관련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그러므로 흡인간호에 대한 구체적인 수행 정도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현재 중환자실에서 시행되는 기관내 흡인의 임상지침 수행 현황과 높은 수행율과 관련된 특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기초로 기관내 흡인과 관련된 간호 표준 및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기관내 흡인 임상지침 수행 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간 지속되는 기관내 흡인의 악영향은? 장기간 지속되는 기관내 흡인은 저산소증, 미세 무기폐, 기관 점막 손상 및 감염, 출혈위험성, 기관지경련 및 뇌내압 상승 등을 초래할 수 있고 심지어는 심부정맥, 심장정지까지 유발할 수 있다[5]. 이러한 기관내 흡인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기관내 흡인은 어떤 업무인가? 이러한 환자들은 효과적인 기침을 할 수 없어 기도 내에 축적된 분비물을 스스로 제거할 수 없으므로 기관내 흡인이 필요하게 된다[3]. 기관내 흡인은 기도 개방성 유지를 위해 호흡기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며 전체 중환자실 간호업무 중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업무 중 하나이고[4] 동시에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간호실무이다.
기관 내관을 사용하는 환자에게 필요한 조치와 그 조치가 필요한 이유는?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생명의 연장과 함께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도 유지를 위해 기관 내관(tracheal tube)을 사용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1,2]. 이러한 환자들은 효과적인 기침을 할 수 없어 기도 내에 축적된 분비물을 스스로 제거할 수 없으므로 기관내 흡인이 필요하게 된다[3]. 기관내 흡인은 기도 개방성 유지를 위해 호흡기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며 전체 중환자실 간호업무 중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업무 중 하나이고[4] 동시에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간호실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merican Association for Respiratory Care. AARC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Endotracheal suctioning of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with artificial airways 2010. Respiratory Care. 2010; 55: 758-764. http://rc.rcjournal.com/content/55/6/758.short 

  2. Chang SJ, & Song MS. Knowledge and Management of Tracheal Tube Cuffs Among ICU Nurs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9; 21(6): 270-279. 

  3. John RE, Seckel MA. AACN Protocols for Practice: Care of the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2nd ed.). Aliso Viejo, C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07 

  4. Paratz JD. Stockton KA. Efficacy and safety of normal saline instillation: A systematic review. Physiotherapy. 2009; 95(4): 241-250. 

  5. Rimensberger P. Pediatric and Neonatal Mechanical Ventilation: from basics to clinical practic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5 pp. 687-710. DOI 10.1007/978-3-642-01219-8_24 

  6. Hemida SA. Prevention of Endotracheal Suctioning-Related Complications: a Comparison between Manual and Ventilator Hyperinflation/Hyperoxyge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5;7(1): 241-248. DOI : 10.5958/0974-9357.2015.00050.1 

  7. Mohammadpour A, Amini S, Shakeri MT, Mirzaei S. Comparing the effect of open and closed endotracheal suctioning on pain and oxygenation in post CABG patients under mechanical ventilation.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2015;20(2):195-199. 

  8. Seo MS, Park KS. A Comparison of the Opened Versus Closed-System of Suctioning -In Oxygen Saturation, Vital Signs and Suction Tim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9; 21(2): 141-154. 

  9. Roberts FE. Consensus among physiotherapists in the united kingdom on the use of normal saline instillation prior to endotracheal suction: a Delphi study. Physiotherapy Canada. 2009; 61(2): 107-115. 

  10. Zahran, E. M., & Abd El Razik, A. A. (2011). Tracheal suctioning with versus without saline instillation. Journal of American Science, 7(8), 23-32. 

  11. Nakstad ER. Opdahl H, Heyerdahl F, Borchsenius F, & Skjonsberg OH. Can ventilator settings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endotracheal suctioning? Investigations in a mechanical lung model. BMC Anesthesiology. 2016; 16(1): 30. DOI: 10.1186/s12871-016-0196-z Opdahl H, Heyerdahl F, Borchsenius F, & Skjonsberg OH. Can ventilator settings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endotracheal suctioning? Investigations in a mechanical lung model. BMC Anesthesiology. 2016; 16(1): 30. DOI: 10.1186/s12871-016-0196-z 

  12. Overend TJ, Anderson CM, Brooks D, Cicutto L, Keim M, McAuslan D, et al. Updating the evidence base for suctioning adult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Canadian Respiratory Journal. 2009; 16(3): e6-e17. 

  13. Pedersen CM, Rosendahl-Nielsen M, Hjermind J, Egerod I. Endotracheal suctioning of the adult intubated patient-What is the evidenc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09; 25(1): 21-30. 

  14. Ansari A, Alavi NM, Adib-Hajbagheri M, & Afazel M. The gap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in standard Endo-tracheal suctioning of ICU nurses, Shahid Beheshti Hospital. Critical Care Nurse. 2012; 5(2): 71-76. http://inhc.ir/article-1-431-en.html 

  15. Jansson M, Ala-Kokko T, Ylipalosaari P, & Kyngas H. Evaluation of endotracheal-suctioning practices of critical care nurses - An observational correlation stud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2013; 3(7): 99-105. 

  16. Park HJ, Choi YA, Kim KM. A Study on Nurses' Ability to Perform Endotracheal Su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2001; 8(3): 379-390. 

  17. Kelleher S, Andrews T. An observational study on the open-system endotracheal suctioning practices of critical care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 17:: 360-3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