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elucidate the effect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on serum lipids in normolipidemic and mildly hyperlipidemic postmenopausal period, 54 women residing in Seoul area were recruit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control group (n=13), isoflavone group (n=14), exercise g...
To elucidate the effect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on serum lipids in normolipidemic and mildly hyperlipidemic postmenopausal period, 54 women residing in Seoul area were recruit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control group (n=13), isoflavone group (n=14), exercise group (n=14), isoflavone + exercise group (n=13). The control group was given placebo capsules, isoflavone group was given soy isoflavone supplements (90 mg/day), exercise group was given placebo capsules and exercised 3 times/week, over 30 min/time, and isoflavone + exercise group took soy isoflavone supplement and exercised. The duration of study were 8 week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57.0 years, 56.0 years, 54.4 years, and 55.2 year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in terms of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in terms of seru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But the subjec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LDL-cholesterol (110.5 mg/day in before versus 74.6 mg/day in after) in the isoflavone + exercise group at the levels of p<0.05. In conclusion, the isoflavone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may be helpful to decrease serum lipids of normolipidemic and mildly hyperlipidemic postmenopausal women.
To elucidate the effect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on serum lipids in normolipidemic and mildly hyperlipidemic postmenopausal period, 54 women residing in Seoul area were recruit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control group (n=13), isoflavone group (n=14), exercise group (n=14), isoflavone + exercise group (n=13). The control group was given placebo capsules, isoflavone group was given soy isoflavone supplements (90 mg/day), exercise group was given placebo capsules and exercised 3 times/week, over 30 min/time, and isoflavone + exercise group took soy isoflavone supplement and exercised. The duration of study were 8 week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57.0 years, 56.0 years, 54.4 years, and 55.2 year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in terms of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in terms of seru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But the subjec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LDL-cholesterol (110.5 mg/day in before versus 74.6 mg/day in after) in the isoflavone + exercise group at the levels of p<0.05. In conclusion, the isoflavone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may be helpful to decrease serum lipids of normolipidemic and mildly hyperlipidemic postmenopausal wome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나 그 효과는 인종, 연령, 생활습관, 보충수준과 기간 등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이므로 우리나라 여성에 있어서 폐경기를 맞이하면서 변화되는 혈중 지질수준의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를 실행하고자 한다. 특히 고지혈증으로의 이행되기 전, 예방이 중요시 되는 정상이나 경계 수준의 혈중 지질 수준을 가진 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 보충과 운동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고지혈증 분류 기준에 따라 혈중 지질이 정상이거나 경계 수준에 해당되는폐경 후 여성 54명을 대조군, 이소플라본군, 운동군, 이소플라본 보충 + 운동군의 총 4군으로 분류한 후, 8주간 각 군별 처방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후의 신체계측, 식사섭취 조사, 혈중지질을 분석하고 각 처방군별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폐경 후 여성들의 고지혈증으로 인한 순환기계질환으로의 이행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소플라본 보충과 함께 프로그램에 따른 규칙적인 운동이 폐경 후 여성의 혈중 지질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지혈증 분류 기준에 따라 혈중 지질이 정상이거나 경계 수준에 해당되는폐경 후 여성 54명을 대조군, 이소플라본군, 운동군, 이소플라본 보충 + 운동군의 총 4군으로 분류한 후, 8주간 각 군별 처방을 실시하였다.
최근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와 활성을 가지는 식물성 에스트로겐 (phytoesterogen) 인 이소플라본이 심혈관계 위험요인을 개선하거나 LDL-콜레스테롤에 대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과 같은 보호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가.진행되고 있다.
제안 방법
(4~6 km/hr)< 선택 조절하면서 10~ 15분간 보행토록 하였다."洶 보행을 마친 후 다시 매트 위에서 약 15분간 신체 국소부위에 대한 스트레칭을 수행하였다. 근력트레이닝은 보행에 주로 관련하는 7개 근군들에 대하여 집중 실시하였다.
실험 1주차에 모든 운동수행 대상자들은 7부위 근군에 대하여 최대근력 (1 RM: repetition maximum weight)을 측정하고, 최대근력의 60% 수준에서 2주간 각 부위별 12회를 3세트 반복하도록 하였다. 3주 차부터 8주차까지는 최대근력의 80%로 3세트를 실행하였으며, 이후 운동부하증가는 매 3세트에서 10회 이상 최대반복을 시도하여 15회의 반복을 할 수 있게 되면 최대근력을 다시 측정하고, 측정된 최대근력의 80% 수준에서 근력운동 3세트를 실행토록 하였다. 운동 수행기간 중 운동 순응율이 낮은 피검자는 연구대상에서 탈락시켰다.
Atherogenic Index (AI, 동맥경화지수) 와 Cardiac Index (CI) 는 총콜레스테롤 함량과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지혈증 분류 기준에 따라 혈중 지질이 정상이거나 경계 수준에 해당되는폐경 후 여성 54명을 대조군, 이소플라본군, 운동군, 이소플라본 보충 + 운동군의 총 4군으로 분류한 후, 8주간 각 군별 처방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후의 신체계측, 식사섭취 조사, 혈중지질을 분석하고 각 처방군별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폐경 후 여성들의 고지혈증으로 인한 순환기계질환으로의 이행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洶 보행을 마친 후 다시 매트 위에서 약 15분간 신체 국소부위에 대한 스트레칭을 수행하였다. 근력트레이닝은 보행에 주로 관련하는 7개 근군들에 대하여 집중 실시하였다. 실험 1주차에 모든 운동수행 대상자들은 7부위 근군에 대하여 최대근력 (1 RM: repetition maximum weight)을 측정하고, 최대근력의 60% 수준에서 2주간 각 부위별 12회를 3세트 반복하도록 하였다.
대두 이소플라본 보충과 운동이 폐경 후 여성의 혈중 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혈중 지질 수준이 정상이거나 경계인 일부 폐경 후 여성 총 54명을 대조군 (옥수수 전분 0.3 g/day, 13명) , 이소플라본군 (이소플라본 90 mg/day, 14명), 운동군 (옥수수 전분 0.3 g/day + 운동 3회/주, 30 min이상国 14명), 이소플라본 + 운동군 (이소플라본 90 mg/day + 운동 3회/주, 30 n前n이상/회, 13명) 의 네 군으로 분류한 후, 8주 동안 각 군별 처방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후의 신체계측, 식사섭취조사, 혈청 지질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조군 (13명)은 위약을, 이소플라본군 (14명)은 대두 이소플라본 추출물을, 운동군 (14명)은 위약과 1회 30분 이상, 주 3회 운동을 하도록 하였고, 이소플라본 + 운동군 (13명) 은 대두 이소플라본 추출물과 1회당 30분 이상, 주 3회 운동을 하도록 하였다. 위약艳 옥수수 전분 0.
식이섭취조사는 조사원이 직접 인터뷰를 하면서 식기와 음식모형을 제시하여 3일간의 식사섭취를 회상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식이섭취조사 결과는 영양분석 프로그램 Can-pro 2.
신장과 체중은 신체 자동계측기 (DS—102, JENIX, Korea) 를 사용하여 가벼운 옷차림 상태에서 신발을 벗고 직립한 자세로 측정하였다.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 (BMI, body mass index = 체중 (kg)/신장 (m)?) 를 산출하였다.
근력트레이닝은 보행에 주로 관련하는 7개 근군들에 대하여 집중 실시하였다. 실험 1주차에 모든 운동수행 대상자들은 7부위 근군에 대하여 최대근력 (1 RM: repetition maximum weight)을 측정하고, 최대근력의 60% 수준에서 2주간 각 부위별 12회를 3세트 반복하도록 하였다. 3주 차부터 8주차까지는 최대근력의 80%로 3세트를 실행하였으며, 이후 운동부하증가는 매 3세트에서 10회 이상 최대반복을 시도하여 15회의 반복을 할 수 있게 되면 최대근력을 다시 측정하고, 측정된 최대근력의 80% 수준에서 근력운동 3세트를 실행토록 하였다.
3 g/day + 운동 3회/주, 30 min이상国 14명), 이소플라본 + 운동군 (이소플라본 90 mg/day + 운동 3회/주, 30 n前n이상/회, 13명) 의 네 군으로 분류한 후, 8주 동안 각 군별 처방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후의 신체계측, 식사섭취조사, 혈청 지질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운동은 체력센터에서 운동군과 이소플라본 + 운동군은 중력부하운동을 개인별로 처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운동실행 프로토콜 (Table 1) 은 운동군과 이소플라본 + 운동군 모두 동일하게 실행하도록 하였다. 운동시 트레이너의 지도로 10개 종목의 스트레칭을 5분 정도 실행한 뒤, 위밍업을 위하여 트레드밀에서 각자 적절한 보행속도.
연구대상자들은 각 군의 연령분포, 혈중 지질 수준 및 이소플라본 섭취량과 운동량 등을 고려하여 대조군, 이소플라본군, 운동군, 이소플라본 + 운동군으로 분류하였다.
하였다. 운동시 트레이너의 지도로 10개 종목의 스트레칭을 5분 정도 실행한 뒤, 위밍업을 위하여 트레드밀에서 각자 적절한 보행속도. (4~6 km/hr)< 선택 조절하면서 10~ 15분간 보행토록 하였다.
하도록 하였다. 위약艳 옥수수 전분 0.3 装대두 이소플라본 추출물 (국내 렉스진바이오텍)은 이소플라본을 90 mg 함유하도록 하여 각각 캡슐화 하였고, 이상의 실험을 8 주간 수행하였다.
혈청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HDL-콜레스테롤 측정용 kit (BOringer Mannhein, Germany)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혈청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직접효소법에 의한 LDL-콜레스테롤 측정용 kit인 LDL-R, R2 (Daichii, JA- PAN)를 이용하여 자동 생화학 분석기 (HITACHI 747, Japan) 로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严>을 이용하여 일반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이소플라본 섭취는 주요 이소플라본인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을 분석한 국내외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2002년 10월 서울에 거주하는 44~68세의 폐경 후 여성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지원한 70명 중 갑상선질환과 신장질환이 없는 폐경 후 여성으로서, 특별한 식사요법이나 약물치료를 6개월 동안 받지 않은 자, 혈액 검사 후 고지혈증 분류 기준踰에 따라 혈청 총콜레스테롤 240 mg/dl 미만과 HDL-콜레스테롤 35 mg/dl 이상, LDL-콜레스테롤 160 mg/dl 미만을 모두 만족하는 54명을 대상으로 최종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후 여성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지원한 70명 중 갑상선질환과 신장질환이 없는 폐경 후 여성으로서, 특별한 식사요법이나 약물치료를 6개월 동안 받지 않은 자, 혈액 검사 후 고지혈증 분류 기준踰에 따라 혈청 총콜레스테롤 240 mg/dl 미만과 HDL-콜레스테롤 35 mg/dl 이상, LDL-콜레스테롤 160 mg/dl 미만을 모두 만족하는 54명을 대상으로 최종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지원자에게는 사전에 연구내용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으며, 참가 동의서를 받았다.
데이터처리
본 연구에서 실험결과로 얻어진 각 분석치는 이소플라본 보충여부와 운동실시에 따른 각 군별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계산하였고, SAS 프로그램 (Version 8.1)을 이용하였다.
식이섭취조사 결과는 영양분석 프로그램 Can-pro 2.( 严>을 이용하여 일반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이소플라본 섭취는 주요 이소플라본인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을 분석한 국내외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소플라본 보충과 운동에 따른 요인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 (ANOVA, 2-way Analysis of vari- ance) 을 하였으며, 각 군의 평균치 간의 비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a = 0.05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효소법에 의한 총콜레스테롤 측정용 kit (BOringer Mannhein, Germany)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HDL-콜레스테롤 측정용 kit (BOringer Mannhein, Germany)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혈청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직접효소법에 의한 LDL-콜레스테롤 측정용 kit인 LDL-R, R2 (Daichii, JA- PAN)를 이용하여 자동 생화학 분석기 (HITACHI 747, Japan) 로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1)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대조군 57.0세, 이소플라본 56.0세, 운동군 54.4세, 이소플라본 + 운동군 55.2세로네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체질량지수, 폐경기간, SBP, DBP도 네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 실험 전과 후 각각 3일간 식이섭취조사 결과, 대조군, 이소플라본, 운동군, 이소플라본 + 운동군으로 네 군 간의 식이 중 영양소 섭취량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일상식이 중의 이소플라본 섭취량은 대조군이 25.3 mg, 이소플라본군이 23.2 mg, 운동군이 24.3 mg, 이소플라본 + 운동군이 23.7 mg으로 네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이소플라본 + 운동에 따른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은 모든 군에서 이소플라본 보충에 따른 효과와 운동에 따른 효과 그리고 이소플라본 보충과 운동의 교호작용에 따른 효과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4) 이소플라본 + 운동 후의 혈중 LDL-콜레스테롤은 이소플라본 + 운동군에서만 실험 전 110.5 mg에서 실험 후 74.6 mg으로 32.5%가 감소했다 (p<0.05).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폐경 후 여성에게 있어서 8주간의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복합적인 운동만으로는 혈중 지질 수준의 개선을 보이지 않았으나, 운동과 함께 이소플라본을 보충하였을 때 LDL-콜레스테롤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2 g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단백질 섭취량은 대조군 59.8 g (권장량의 108.7%), 이소플라본군 65.4 g (권장량의 118.9%), 운동군 66.4 g (권장량의 93.0%), 이소플라본 + 운동군 58.5 g (권장량의 107.2%)으로 권장량 (55 g/일)의 93.0-118.9% 섭취 비율을 보였으며,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방 섭취량은 대조군이 26.
전체 대상자의 군별 연령, 신장, 체중, BMI는 네 군 간에 유의적인 차可가 없었다. 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57.0세, 이소플라본군이 56.0세, 운동군이 54.4세, 이소플라본 + 운동군이 55.2세였으며, 평균 신장과 체중은 각각 대조군이 154.1 cm, 58.6 kg으로 BMI가 24.6 kg/m2, 이소플라본군이 154.8 cm, 59.1 kg으로 BMI가 24.7 leg/m2, 운동군이 155.0 cm, 59.5 kg으로 BMI가 24.8 kg/m2, 이소플라본 + 운동군이 155.2 cm, 62.8 kg으로 BMI가 26.1 kg/n?이었다.
모든 영양소에서 실험전과 8주 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네 군 간에 실험 전과 8주 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서 식이에 의한 이소플라본 보충과 운동의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실험 전 대상자의 평균 열량 섭취량은 대조군 1521.
본 연구의 이소플라본 보충 수준 (90 mg/day) 은 대상자의 평균 이소플라본 섭취량 (24.2 mg/day)의 약 3.7배이었다.
실험 전 L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 105.8 mg/dl, 이소플라본 124.9 mg/dl, 운동군 106.7 mg/dl, 이소플라본 + 운동군이 110.5 mg/dl로 네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모든 영양소에서 실험전과 8주 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네 군 간에 실험 전과 8주 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서 식이에 의한 이소플라본 보충과 운동의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실험 전 대상자의 평균 열량 섭취량은 대조군 1521.3 kcal (권장량의 81.6%), 이소플라본군 1658.0 kcal (권장량의 88.5%), 운동군 1591.9 kcal (권장량의 84.2%), 이소플라본 + 운동군 1600.2 kcal (권장량의 85.8%)로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들의 에너지 섭취량은 2001년 국민건강 .
4와 Table 5에 나타나 있다. 실험 전 일상식이를 통한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은 대조군 25.3 mg (다이드제인 11.5 mg, 제니스테인 13.8 mg), 이소플라본군 23.2 mg (10.8mg, 12.4 mg), 운동군 24.3 mg (11.1 mg, 13.2 mg), 이소플라본 + 운동군 23.7 mg (10.8 mg, 13.2 mg) 으로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일상식이를 통한 이소플라본 섭취량과 실험기간 동안 이소플라본군과 이소플라본 + 운동군에 매일 90 mg의 이소플라본을 보충 (Table 5)으로 대조군 18.
0 mg/dl로 모든 군에서 공급 전 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실험 전과 후의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각각 대조군이 55.7 mg/dl, 54.9 mg/dl, 이소플라본군이 54.6mg/dl, 53.3 mg/dl, 운동군이 48.9 mg/dl, 51.6 mg/dl, 이소플라본 + 운동군이 47.8 mg/dl, 46.8 mg/dl로 네 군 모두 실험 전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에 나타내었다. 실험 전과 후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수준은 각각 대조군이 188.2 mg/dl, 188.9 mg/dl, 이소플라본군은 191.8 mg/dl, 189.1 mg/dl, 운동군은 182.2 mg/dl, 181.2 mg/dl, 이소플라본 + 운동군은 174.3 mg/dl, 170.0 mg/dl로 모든 군에서 공급 전 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실험 전과 후의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각각 대조군이 55.
실험 후에 LDL-콜레스테롤은 이소플라본 + 운동군이 110.5 mg/dl에서 74.6 mg/dl로 32.5%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p < 0.05) (Fig. 1), 다른 군에서는 유의적인 감소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단독으로 이소플라본을 보충하거나 운동을 수행하는 것 보다 이소플라본 보충과 동시에 운동을 수행했을 때 혈중 LDL-콜레스테롤의 감소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ST다.
이상을 종합하면 혈중 지질이 정상 또는 경계 수준의 폐경 후 대상자에게 있어서 이소플라본 보충과 운동을 동시에 실시하였을 때 LDL-콜레스테롤에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보임 点써 전반적2로 혈중 지질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폐경 후 여성의 혈중 지질 대사 이상을 예방하기 위해 더 많은 대상자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일상 식이 중 이소플라본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두 식품을 이용한 다양한 식단개발과 운동 기간과 종류, 그리고 운동 강도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2로 본다.
감소하였다. 이소플라본 보충과 프로그램에 의한 규칙적인 운동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고지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연구들이 대부분이나, 본 연구에서는 혈중 지질이 모두 정상 또는 경계 수준의 폐경 후 대상자에게이소플라본 보충과 운동의 단독수행 보다는 운동과 함께 이소플라본의 보충이 이루어졌을 때 LDL-콜레스테롤이 더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전반적으로 혈중 지질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1), 다른 군에서는 유의적인 감소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단독으로 이소플라본을 보충하거나 운동을 수행하는 것 보다 이소플라본 보충과 동시에 운동을 수행했을 때 혈중 LDL-콜레스테롤의 감소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ST다.
이와 같이 혈중 지질 수준이 정상인 폐경 후 여성에게 있어서 8주 동안 일상식이와 함께 1일 이소플라본 90 mg의 보충과 프로그램에 의한 규칙적인 운동을 하였을 때 대조군, 이소플라본 보충과 운동을 단독으로 수행한 이소플라본군, 운동군보다는 L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소플라본 보충과 프로그램에 의한 규칙적인 운동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고지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연구들이 대부분이나, 본 연구에서는 혈중 지질이 모두 정상 또는 경계 수준의 폐경 후 대상자에게이소플라본 보충과 운동의 단독수행 보다는 운동과 함께 이소플라본의 보충이 이루어졌을 때 LDL-콜레스테롤이 더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전반적으로 혈중 지질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mg) 으로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일상식이를 통한 이소플라본 섭취량과 실험기간 동안 이소플라본군과 이소플라본 + 운동군에 매일 90 mg의 이소플라본을 보충 (Table 5)으로 대조군 18.5 mg, 이소플라본군 107.9 mg, 운동군 20.9 mg, 이소플라본 + 운동군 109.8 mg으로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전체 대상자의 군별 연령, 신장, 체중, BMI는 네 군 간에 유의적인 차可가 없었다. 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57.
후속연구
알 수 있었다. 또한 폐경 후 여성의 혈중 지질 대사 이상을 예방하기 위해 더 많은 대상자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일상 식이 중 이소플라본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두 식품을 이용한 다양한 식단개발과 운동 기간과 종류, 그리고 운동 강도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2로 본다.
것으로 본다. 또한 폐경 후 여성의 혈중 지질 대사 이상을 예방하기 위해 혈중 지질 수준이 경계 수준에 있는 좀 더 많은 대상자의 연구가 필요하며, 일상 식이 중 이소플라본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두 식품을 이용한 다양한 식단개발과 운동 기간과 종류, 그리고 운동 강도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폐경 후 여성들의 고지혈증으로 인한 순환기계질환으로의 이행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이소플라본 섭취수준과 규칙적인 운동습관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또한 폐경 후 여성의 혈중 지질 대사 이상을 예방하기 위해 혈중 지질 수준이 경계 수준에 있는 좀 더 많은 대상자의 연구가 필요하며, 일상 식이 중 이소플라본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두 식품을 이용한 다양한 식단개발과 운동 기간과 종류, 그리고 운동 강도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46)
2002년 사망원인 통계참고표. 통계청. 2003
Kannel AB. Metabolic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perspective from the Framingham Study. Atherosclerosis 99: 207-217, 1993
Kim HY, Eo WK. The effects of low dose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on the lipid profile on postmenopausal women. Kor J Obst Gyn 45 (8): 1360-1366, 2002
Tikkamen MJ, Adlercreutz H. Dietary Soy-Derived Isoplavone Phytoestrogens Could they have a role in coronary heart disease prevention, Biochemicology 60: 1-5, 2000
Potter S. Soy protein and serum lipids. Curr Opin Lipidol 7: 260-265, 1996
Nagata C, Takatsuka N, Inaba S, Kawakami N, Shimizu H. Effect of soymilk consumption on serum estrogen concentrations in premenopausal Iapanese women. J Natl Cancer Inst 90: 1830-1835, 1998
Potter SM, Baum JA, Teng H, Stillman RJ, Shay NF, Erdman Jr JW. Soy protein and isoflavones: Their effects on blood lipids and bone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Am J Clin Nutr 68 (suppl): 1375S-1379S, 1998
Ho SC, Woo JL, Leung SSF, Sham ALK. Intake of soy products is associated with better plasma lipids profiles in Hong Kong Chinese population. J Nutri 130 (10) : 2590-2593, 2000
Albertazzi P, Coupland K.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s there a role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preventation? Maturitas 42: 13-22, 2002
Seo YL. Effect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plasma lipids and apolipoprotein in hyperlipidemic postmenopausal women. Thesis. Sookmyung Women Graduate School, 2002
Iekins DJ, Kendall CW, Jackson CJ, Connelly, PW, Parer T, FauIker D, Vidgen E, Cunnane SC, Leiter LA, Josse RG. Effects of hight-and low-isoflavone soyfoods on blood lipids, oxidized LDL, homocystein, and blood pressure in hyperlipidemic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76: 365-372, 2002
Crouse JR, Morgan T, Terry JG, Ellis J, Vitolins M, Burke GL. A randomized trial comparing the effect of caein with of soy protein containing varying amounts of isoflavones on plasma concentrations of lipids and lipoproteins. Arch Intern Med 159 (17) : 2070-2076, 1999
Suter E, Bernard M. Little effect of long term, self-monitored exercise on serum lipid levels in middle-aged women. J Sports Med Phys Fitness 32: 400-411, 1992
Motoyarna M, Sunami Y, Kinoshita F, Irie T, Sasaki J, Arakawa K, Kiyonaga A, Tanaka H, Shindo M. The effects of long-term low intensity aerobic training and detraining on serum lipid and lipoprotein concentrations in elderly men and women.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70(2): 126-131, 1995
Wood PJ, Haskell WL, Blair SN, Williams PT, Krauss RM, Lindgren FT, Albers JJ, Farquhar JW. Increased exercise level and plasma lipoprotein concentrations: a one-years. randomized, controlled study in sedentary middle-aged men. Metabolism 32: 31, 1983
Griffin BA, Skinner ER, Maughan RJ. The acute effect of prolonged walking and dietary changes on plasma lipoprotein concentrations and high-density lipoprotein subfractions. Metabolism 37(6): 535-541, 1988
Hinldeman LL, Nieman DC. The ,effects of a walk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in overweight women. J Sports Med Phys Fitness 33 (1): 49-58, 1993
Rubinstein A, Burstein R, Lubin F, Chetrit A, Dann EJ, Levtov O, Geter R, Deuster PA, Dolev E. Lipoprotein profile changes during intense training of Israeli military recruits. Med Sci Sports Exerc 27 (4) : 480-484, 1995
류근림, 이유산,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이 혈장 지질 및 지단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학논문집, 제 21호, 43-51, 1993
Park HC. the effects of weight-training on body composition plasma lipids and bone density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Thesis. Wonkwang Graduate School, 1997
Seo HK, Lee SW, Na JC, Kang SB, Kim JM. The effects of muscle enduranceweight training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and lipoprotein in middle aged-women. Korean J Sports Med 17 (2): 224, 1999
Vmcent KR, Vmcent HK, Booth RW, Lennon SL, Lowenthal DT.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attenuates exercise-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the elderly. Eur J Appl Physiol 87 (4-5) : 416-423, 2002
Lee GY, Lee EK. The effects of treadmill running resistance exercise on %fat, serum lipid and lipoprotein responses in middleaged women. J Sport Leisure Stuliies 14: 211-219, 2000
Farrell PA, Wilmore JH, Coyle: EF. Exercise heart rate as a predictor of running performance. Res Q Exerc Sport 51 (2): 417-421, 1980
Hill JO, Thiel J, Heller PA, Markon C, Fletcher G, Digirolamo M. Differences in effect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 in men and women. Am J Cardiol 63: 254-256, 1989
Stefanick ML, Mackey S, Sheehan M, Ellsworth N, Haskell WL, Wood PD. Effects of diet and exercise in men and postmenopausal women with low levels of LDL Cholesterol. N Engl J Med 339(1): 12-20,1998
Tymchuk CN, Tessler SB, Bamard RJ. Changes in sex hormonebinding globulin, insulin, and serum lipids in postmenopausal women on a low-fat, high-fiber diet combined with exercise. Nutr Cancer 38 (2): 158-162, 2000
Haddock BL, Marchak HP, Mason JJ, Blix G. The effect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exercise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postmenopausal women. Sports Med 29 (1) : 39-49,2000
Korean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1998
Karvonen M, Kentala K, Musta O. The effects of training heart rate: A longitudinal study. Ann Med Exp Bio Fenn 35: 307, 1957
Byeon JO, Tchai Ester, Kim NI, Choi KS, Seong K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xygen uptake and heart rate for the establishment of exercise -targeted heart rate. J Korean Soc Aerobic Exercise 3 (1) : 23-32, 1999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2000
Franke AA, Hankin JH, Yu MC, Maskarinec G, Low SH, Custer LJ. Isoflavone levels in soy foods consumed by multiethnic populations in Singapore and Hawaii. J Agric Food Chem 47 (3) : 977-986, 1999
Lee SK, Lee MJ, Yoon S, Kwon DJ. Estimated isoflavone intake from soy products in Korean middle-aged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 : 948-956, 2000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port. Ministry of Health and Walfare, 2002
Choi SH. A study on bone metabolism and urinary isoflavones concentration associated with dietary intake of soybeans and soy products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Thesis. Sookmyung Women Graduate School, 1999
Maskarinec J, Singh S, Meng L, Franke AA. Dietary soy intake and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among women from a multiethnic population.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Prevention 7: 613, 1998
Steinberg FM, Guthrie NL, Villablanca AC, Kumar K, Murray MJ. Soy protein with isoflavones has favorable effects on endothelial function that are independent of lipid and antioxidant effects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Am J Clin Nutr 78: 123-130, 200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