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새만금 방조제 내측 해수면에 의한 심포항 연안의 간석지 지형 변화 탐지
Monitoring of the Changes of Tidal Land at Simpo Coast with Sea Surface inside Saemangeum Embankment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8 no.1, 2005년, pp.13 - 22  

이홍로 (군산대학교 컴퓨터정보과학과) ,  이재봉 (전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무감독 ISODATA 기법을 이용하여 Landsat TM 위성영상에 기반한 새만금 간석지의 지형을 분류하고, 이 분류된 지형의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각각의 퇴적 지형은 새만금 방조제 공사 진행에 따른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며, 퇴적 변화와 분포를 입증한다. Landsat TM 7개의 band 중에서 밴드 4가 간석지와 해수면의 구분, 그리고 밴드 5는 간석지에 대한 세부적인 지형의 분류에 이용한다. 각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구분함으로써 간석지의 지형변화에 따른 검토는 간척 계획수립과 간척된 이후의 토지 이용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classifies the topography of the Saemangeum Tidal flats based on Landsat TM satellite images by unsupervised ISODATA method, and analysis of the spatiotemporal changes of the classified shapes. The sedimental topography represents various properties according to the Saemangeum Tidal Emb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하여 퇴적물의 분포특성 및 이동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갯벌의 퇴적상, 퇴적작용 및 지형 특성 등을 위성영상을 통하여 모니터링하여 침식/퇴적/이동에 대한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정밀 위성영상자료 분석을 통하여 장기적이고 광역적인 간석지 퇴적환경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 그리고 영역 통합 기법은 영상 통합 기법은 유사한 분광특성을 가진 부분 영역을 목적하는 바의 전체 영역으로 합치는 기법으로 영역 간 위상관계(topological relationships)를 설정하고 영역간 화소들의 밴드별 DN(digital number)에 대한 통계 자료(평균, 분산 등)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통합하는 기법이다(이종렬, 2004). 본 논문에서는 ISODATA 무감독 분류 기법, 최대우도 감독 분류 기법, 영역 기반 영상분할, 그리고 영역 통합 기법을 이용하고자 한다(한국해양연구원, 2003),(이상훈, 2001). 본 연구는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전처리, 갯벌지형 분류(무감독, 감독)와 영상 통합 처리를 위해서 ERDAS IMAGINE 8.
  • 이 감독 기법은 평행육면체기법, 최소거리기법 및 최대우도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갯벌 지형과 수면 및 육지를 분류하기 위해 최대 우도법을 채택하여 이용하고자 한다.
  • 영역 기반 영상 분할은 중심화소의 분광 분석을 주위 화소의 분광 특성을 비교하여 영역을 분할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은 영역 기반 영상 분할 기법을 분광 유클리드 거리(spectral Euclid distance)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한다(한국해양연구원, 2003).
  • 본 논문에서는 ISODATA 무감독 분류 기법, 최대우도 감독 분류 기법, 영역 기반 영상분할, 그리고 영역 통합 기법을 이용하고자 한다(한국해양연구원, 2003),(이상훈, 2001). 본 연구는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전처리, 갯벌지형 분류(무감독, 감독)와 영상 통합 처리를 위해서 ERDAS IMAGINE 8.3(http://www.leica-geosystems.com)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시공간적 변화를 영상 대해 영역별로 분류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새만금 방조제 내해역 만경강 하구 심포항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새만금 방조제 축조에 따른 간석지 및 물골 지형의 퇴적 및 침식에 대한 시공간적 지형 변화를 위성영상의 DN 값의 특성을 통한 처리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아울러 Landsat TM 7개의 band 중에서 밴드 4가 간석지와 해면의 구분, 그리고 밴드 5는 간석지에 대한 세부적인 지형의 분류에 이용하였으며, 시공간적 퇴적변화에 대한 영상처리에 효율적임이 밝혀졌다.
  • 새만금 간석지(tidal flat)를 대상으로 Landsat TM 영상으로 간석지의 지형을 추출을 위해 변화된 부분에 대한 해수 면적을 계산하고자 한다. 동일 영역의 해수 면적의 변화는 간석지 지형 변화를 의미한다.
  •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영상처리와 분류 기법에 대해 기술하고, 영상처리 결과와 평가 및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한다.
  • 또한 흑백 정전 모드 영상에서도 히스토그램의 조정을 통하여 지형지물(feature)간의 대조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영상 강조기법은 영상 판독을 용이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조합을 통하여 물골(water channel)과 갯벌 등이 밴드 조합을 강조될 수 있다.
  • 새만금 방조제 건설이라는 인위적 영향에 대하여 해양 퇴적학적 현상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앞으로 전개될 퇴적환경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퇴적물의 분포특성 및 이동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갯벌의 퇴적상, 퇴적작용 및 지형 특성 등을 위성영상을 통하여 모니터링하여 침식/퇴적/이동에 대한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정밀 위성영상자료 분석을 통하여 장기적이고 광역적인 간석지 퇴적환경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상의 무감독 분류란 무엇인가? 무감독 분류는 영상에 대한 군집화(clustering)하는 기법으로 순차분류기법, K-means 군집 분류, ISODATA 기법, 그리고 Fuzzy C-means 군집 기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영상의 4번, 5번 밴드를 이용하여 ISODATA 기법에 기반하고 있으며(Guangxue 등, 2001) (Assefa, 2004) (정종철, 2002), 분류될 클래스를 60개로 하고, 최대 반복수를 6번으로 정하여 처리한다.
본 연구가 새만금 방조제 건설의 인위적 영향에 대해 해양 퇴적학적 현상 규명 및 퇴적환경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한 것은 무엇인가? 새만금 방조제 건설이라는 인위적 영향에 대하여 해양 퇴적학적 현상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앞으로 전개될 퇴적환경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퇴적물의 분포특성 및 이동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갯벌의 퇴적상, 퇴적작용 및 지형 특성 등을 위성영상을 통하여 모니터링하여 침식/퇴적/이동에 대한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정밀 위성영상자료 분석을 통하여 장기적이고 광역적인 간석지 퇴적환경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의 위성영상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류기법으로 무엇이 있는가? 기존의 위성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분류 기법은 평형육면체기법(PPL: parallel-piped classif ication), 최소거리 기법(MDC: minimum distance classification), 최대우도법(MLC: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등의 감독 분류기법과 순차군집분류기법, K-Means 군집 분류 기법, ISODATA 기법(interactive self organizing data analysis technique), 그리고 Fuzzy C-means 군집 기법 등의 무감독 분류 기법이 있다. 영상 분할 기법은 경계 기반 영상분할과 영역 기반 영상분할로 나누어진다(Fjortoft,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