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해상도 KOMPSAT 시리즈 이미지를 활용한 서해연안 습지 변화 모니터링
West seacoast wetland monitoring using KOMPSAT series imageries in high spatial resolu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6, 2017년, pp.429 - 440  

선우우연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  김다은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  김성균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  최민하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한민국 서해안의 4개 갯벌에 대한 변화 탐지를 위해 다중분광 고해상도 다목적 위성인 KOMPSAT 시리즈 영상 자료를 분석하였다. 무감독 분류법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위성 이미지에서 생성된 토지이용 및 토피피복 지도의 활용성과 연안 습지 변화의 경향을 결정할 때 시간 궤적 분석과 통합된 변화 탐지 방법론을 평가했다. 자연 현상과 인위적 활동에 대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분석을 통해 갯벌면적을 추출하고, 양질의 주제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고해상도 KOMPSAT 데이터의 실질적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경기도와 전라북도의 갯벌 지역은 조석 차에 영향으로 면적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새만금 지역의 갯벌지역은 대규모 매립 및 도시화로 인한 인위적 활동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라남도 증도 갯벌지역의 경우 연안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연안 갯벌 보전에 대한 사회적, 환경적 정책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해상도 KOMPSAT를 이용한 습지변화 모니터링은 연안환경 관리 및 정책결정을 위해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ries of multispectral high-resolution Korean Multi-Purpose Satellite (KOMPSAT) images were analyzed to detect the geographical changes in four different tidal flats i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The method of unsupervised classification was used to generate a series of land use/land cover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자연 현상과 인위적 활동의 영향으로 인한 연안 습지 변화의 동향 파악이 가능하며, 지역 규모에서의 연안 습지의 정량적 모니터링에 기여할 수 있는 통합적인 변화 감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안 습지대를 정확하게 매핑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위성인 다중분광 고해상도의 KOMPSAT 위성 시리즈 이미지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 2013). 본 연구에서는 KOMPSAT 시리즈의 원본 데이터에 포함된 고해상도 panchromatic 밴드 이미지를 기반으로 Ground-truth Region of Interest(ROI)를 구성하여 분류된 영상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새만금 갯벌 등 황해와 한국의 해안선 사이에 위치하는 4개 지역에 대한 고품질의 KOMPSAT 시리즈 영상을 이용하여 연안 습지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은 2008년부터 2015년으로 Post-classification 변화 탐지 방법과 시간적 궤도 분석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로 다른 독립적인 변수를 나타내는 다른 날짜의 이미지들을 활용하여 각각의 시간 변동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서해안을 따라 위치한 경기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새만금에 위치한 4개 갯벌에 대한 연안 습지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고해상도 KOMPSAT 시리즈 영상의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ISODATA 무감독분류를 적용하여 다중시간 원격으로 감지된 KOMPSAT 시리즈에서 생성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시계열지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습지 변화 역학을 분석하기 위해 시간적 궤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지 피복 변화의 궤적은 자연 현상과 인위적인 개발 활동을 포함하여 변화를 형성하는 요인들과의 관계에서 2개 이상의 관측비교를 통해 나타나는 결과를 각 토지 피복 유형의 추세로 정의하였다(Merten and Lambin, 2000; Petit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감독 분류이란? 무감독 분류는 영상자료에 대하여 표본자료와 같은 사전정보 없이 파장별, 공간별 특성에 의해서 분류하는 방법으로, 최소한의 입력자료로부터 군집화(Clustering)가 시작되어 분류되는 등급별(Class)로 평균과 공분산을 선택하여 계산된다. 분류하고자 하는 모든 지표 대상물은 빛의 반사 및 흡수 등으로 인해 각 파장에 대해서 고유한 밝기 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같은 종류의 지표 대상물은 비슷한 분광반사 패턴을 가지게 된다(Sohn and Rebello, 2002).
연안 습지를 황폐화시키는 요인은? 연안 습지는 조석변화와 같은 해양 환경 변화뿐 아니라 대규모의 매립과 도시화 같은 지역개발 활동으로 인해 계속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연안 습지를 황폐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Syphard and Garcia, 2001; Baker et al., 2007).
공중사진을 이용한 전통적인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장려되는 방법은? , 2004). 이러한 한계성 때문에 최근에는 시간과 비용이 적게 소요될 뿐 아니라, 정확한 지리 정보와 함께 높은 시간적 범위에 따라 해안 습지를 조사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위성 이미지를 통한 다중 스펙트럼 원격 감지의 적용이 장려되고 있다(Ozesmi and Bauer, 2002; Davrache et al., Nyark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dam, E., Mutanga, O., Odindi, J., and Abdel-Rahman, E. M. (2014). "Land-use/cover classification in a heterogeneous coastal landscape using RapidEye imagery: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machines classifier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5, No. 10, pp. 3440-3458. 

  2. Alrababah, M. A., and Alhamad, M. N. (2006). "Land use/cover classification of arid and semi-arid Mediterranean landscapes using Landsat ETM."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7, No. 13, pp. 2703-2718. 

  3. Anderson, J. R., Hardy, E. E., Roach, J. T., and Witmer, R. E. (1976). A land use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 system for use with remote sensor data.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964. 

  4. Bahadur, K. C. K. (2009). "Improving Landsat and IRS image classification: evaluation of unsupervised and supervised classification through band ratios and DEM in a mountainous landscape in Nepal." Remote Sensing, Vol. 1, No. 4, pp. 1257-1272. 

  5. Baker, C., Lawrence, R. L., Montagne, C., and Patten, D. (2007). "Change detection of wetland ecosystems using Landsat imagery and change vector analysis." Wetlands, Vol. 27, No. 3, pp. 610-619. 

  6. Baker, C., Lawrence, R., Montagne, C., and Patten, D. (2006). "Mapping wetlands and riparian areas using Landsat ETM+ imagery and decision-tree-based models. Wetlands, Vol. 26, pp. 465-474. 

  7. Ball, G. H., and Hall, D. J. (1965). ISODATA, a novel method of data analysis and pattern classification. Technical Report. 

  8. Cho, J. Y., Son, J. G., Song, C. H., Hwang, S. A., Lee, Y. M., Jeong, S. Y., and Chung, B. Y. (2008).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 for environmental-friendly rice production in salt-affected paddy fields of Saemangeum reclaimed land of South Korea." Paddy Water Environment, Vol. 6, No. 263-273. 

  9. Choi, M., and Han, S. (2013). "Remote sensing imageries for land cover and water quality dynamics on the west coast of Korea."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Vol. 185, pp. 9111-9124. 

  10. Cohen, W. B., Spies, T. A., Alig, R. J., Oetter, D. R., Maiersperger, T. K., and Fiorella, M. (2002). "Characterizing 23 years (1972-95) of stand replacement disturbance in Western Oregon forests with Landsat imagery." Ecosystems, Vol. 5, No. 2, pp. 122-137. 

  11. Congalton, R. G. (1991). "A review of assessing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s of remotely sensed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37, pp. 35-46. 

  12. Coppin, P., Jonckheere, I., Nackaerts, K., Muys, B., and Lambin, E. (2004). "Digital change detection methods in ecosystem monitoring: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5, No. 9, pp. 1565-1596. 

  13. Davrache, A., Lefebvre, G., and Poulin, B. (2010). "Wetland monitoring using classification trees and SPOT-5 seasonal time seri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4, pp. 552-562. 

  14. Dechka, J. A., Franklin, S. E., Watmough, M. D., Bennett, R. P., and Ingstrup, D. W. (2002). "Classification of wetland habitat and vegetation communities using multitemporal IKONOS imagery in southern Saskatchewan." Canadi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8, No. 5, pp. 679-685. 

  15. Deng, J. S., Wang, K., Deng, Y. H., and Qi, G. J. (2008). "PCA-based land-use change detection and analysis using multitemporal and multisensor satellite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9, No. 16, pp. 4823-4838. 

  16. Foody, G. M. (2000). "Estimation of sub-pixel land cover composition in the presence of untrained classes." Computers and Geosciences, Vol. 26, pp. 469-478. 

  17. Funkenberg, T., Binh, T. T., Moder, F., and Dech, S. (2014). "The Ha Tien Plain - wetland monitoring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5, No. 8, pp. 2893-2909. 

  18. Hahm, H., Jeong, S., Jeong, M., and Park, S. (2014). "Cultural resources and management in the coastal regions along the Korean tidal flat." Ocean and Coastal Management, Vol. 102, pp. 506-521. 

  19. Jang, D. H., Kim, C., and Park, J. H. (2010). "Assessment of flood risk under rise of sea level in chungnam coastal area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ry data." Journal of Photo Geography, Vol. 20, pp. 71-83. 

  20. Jang, H. J., and Lee, G. G. (2013). "A study on national wetland evaluation for the selection of priority control target wetlands in South Korea."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17, No. 7, pp. 1603-1613. 

  21. Kim, S. G. (2010). "The evolution of coastal wetland policy in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 Ocean and Coastal Management, Vol. 53, pp. 562-569. 

  22. Koh, C. H., Jin, D., and Ha, S. R. (2008). "An analysis of suitable site of constructed wetland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GIS in Kyoung-An stream."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Vol. 10, pp. 115-128. 

  23. Lee, H. J., and Ryu, S. O. (2007). "Role of the giant Saemangeum dyke in sedimentation at the mouth of an estuarine complex." Marine Geology, Vol. 239, pp. 173-188. 

  24. Lee, Y. K., Ryu, J. H., Choi, J. K., Lee, S., and Woo, H. J. (2015). "Satellite-based observations of the unexpected coastal change due to the Saemangeum Dyke construction,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97, pp. 150-159. 

  25. Lie, H. J., Cho, C. H., Lee, S., Kim, E. S., Koo, B. J., Noh, J. H. (2008). "Change in marine environment by a large coastal development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n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0, No. 4, pp. 475-484. 

  26. Liu, H., and Zhou, Q. (2005). "Developing urban growth predictions from spatial indicators based on multi-temporal image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Computer, Vol. 29, pp. 580-594. 

  27. Lu, D., Mausel, P., Brondizio, E., and Moran, E. (2004). "Change detection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5, No. 12, pp. 2365-2401. 

  28. Mertens, B., and Lambin, E. F. (2000). "Land cover change trajectories in Southern Cameroon."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the American Geographers, Vol. 90, pp. 467-494. 

  29. Michishita, R., Jiang, Z., Gong, P., and Xu, B. (2012). "Bi-scale analysis of multitemporal land cover fractions for wetland vegetation mapping."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72, pp. 1-15. 

  30. Monteys, X., Harris, P., Caloca, S., and Cahalane, C. (2015). "Spatial prediction of coastal bathymetry based on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ry and multibeam data." Remote Sensing, Vol. 7, No. 10, pp. 13782-13806. 

  31. Munyati, C. (2000). "Wetland change detection on the Kafue Flats, Zambia, by classification of a multitemporal remote sensing image datase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1, No. 9, pp. 1787-1806. 

  32. Nam, J. H., Ryu, J. S., Fluharty, D., Koh, C. H., Dyson, K., Chang, W. K., Choi, H. J., Kang, D. S., Khim, J. S., and Lee, C. H. (2010). "Designation processes for marine protected areas in the coastal wetlands of South Korea." Ocean and Coastal Management, Vol. 53, pp. 703-710. 

  33. Nielsen, E. M., Prince, S. D., and Koeln, G. T. (2008). "Wetland change mapping for the U.S. mid-Atlantic region using an outlier detection techniqu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2, pp. 4061-4074. 

  34. Nyarko, B. K., Diekkruger, B., Giesen, N. C. V. D., and Vlek, P. L. G. (2015). "Floodplain wetland mapping in the White Volta river basin of Ghana." GI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52, No. 3, pp. 374-395. 

  35. Ordoyne, C., and Friedl, M. A. (2008). "Using MODIS data to characterize seasonal inundation patterns in the Florida Everglad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2, No. 11, pp. 4107-4119. 

  36. Ozesmi, S. L., and Bauer, M. E. (2002). "Satellite remote sensing of wetlands."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Vol. 10, No. 5, pp. 381-402. 

  37. Parihar, S. M., Sarkar, S., Dutta, A., Sharma, S., and Dutta, T. (2013). "Characterizing wetland dynamics: a post-classification change detection analysis of the East Kolkata Wetlands using open source satellite data." Geocarto International, Vol. 28, No. 3, pp. 273-287. 

  38. Pavri, F., and Aber, J. S. (2004). "Characterizing wetland landscapes: a spatiotemporal analysis of remotely sensed data at Cheyenne Bottoms, Kansas." Physical Geography, Vol. 25, pp. 86-104. 

  39. Peacock, R. (2014). Accuracy assessment of supervised and unsupervised classification using Landsat imagery of Little Rock, Arkansas. Dissertation, Northwest Missouri State University. 

  40. Petit, C., Scudder, T., and Lambin, E. (2001). "Quantifying processes of land cover change by remote sensing: resettlement and rapid land cover changes in south eastern Zambi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2, No. 17, pp. 3435-3456. 

  41. Ramsey III, E. W., Chappell, D. K., Jacobs, D. M., Sapkota, S. K., and Baldwin, D. G. (1998). "Resource management of forested wetlands: hurricane impact and recovery mapped by combining Landsat TM and NOAA AVHRR dat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64, No. 7, pp. 733-738. 

  42. Rundquist, D. C., Narumalani, S., and Narayanan, R. M. (2001). "A review of wetlands remote sensing and defining new considerations." Remote Sensing Reviews, Vol. 20, pp. 207-226. 

  43. Ryu, J. H., Won, J. S., and Min, K. D. (2002).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a case study in Gomso Bay, Kore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3, pp. 442-456. 

  44. Sawaya, K. E., Olmanson, L. G., Heinert, N. J., Brezonik, P. L., and Bauer, M. E. (2003). "Extending satellite remote sensing to local scales: land and water resource monitoring using highresolution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8, No. 1-2, pp. 144-156. 

  45. Singh, A. (1989). "Digital change detection techniques using remotely sensed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10, No. 6, pp. 989-1003. 

  46. Sohn, Y., and Rebello, N. S. (2002). "Supervised and unsupervised spectral angle classifier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68, No. 12, pp. 1271-1282. 

  47. Syphard, A. D., and Garcia, M. W. (2001). "Human and beaver induced wetland changes in the Chickahominy River watershed from 1953 to 1994." Wetlands, Vol. 21, pp. 342-353. 

  48. Trisurat Y., Eiumnoh, A., Murai, S., Hussain, M. Z., and Shrestha, R. P. (2000). "Improvement of tropical vegetation mapping using a remote sensing technique: a case of Khao Yai National Park, Thai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1, No. 10, pp. 2031-2042. 

  49. Wilson, E. H., and Sader, S. A. (2002). "Detection of forest harvest type using multiple dates of Landsat TM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0, No. 3, pp. 385-396. 

  50. Zhao, B., Yan, Y., Guo, H., He, M., Gu, Y., and Li, B. (2009). "Monitoring rapid vegetation succession in estuarine wetland using time series MODIS-based indicators: an application in the Yangtze River Delta area." Ecological Indicators, Vol. 9, pp. 346-356. 

  51. Zhou, H., Jiang, H., Zhou, G., Song, X., Yu, S., Chang, J., Liu, S., Jiang, Z., and Jiang, B. (2010). "Monitoring the change of urban wetland using high spatial resolution remote sensing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1, No. 7, pp. 1717-1731. 

  52. Zhou, Q., Li, B., and Kurban, A. (2008). "Trajectory analysis of land cover change in arid environment of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9, No. 4, pp. 1093-11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