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쪼그려 앉는 의자의 적절한 높이 평가와 착용의자의 인간공학적 디자인
Evaluation of Proper Height for Squatting Stool and the Ergonomic Design of Wearable Stool 원문보기

산업공학 = IE Interfaces, v.18 no.3, 2005년, pp.288 - 296  

정화식 (동신대학교 산업공학과) ,  정형식 (조선대학교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jobs and activities in our daily lives require squatting postures. The fore part includes housekeepers, farmers, and welders and the latter includes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housekeeping; planting, cultivating and harvesting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grinding, welding, etc. I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쪼그려 앉는 작업자세가 요구되는 각종 작업에 있어 작업 보조도구를 사용함으로써 부적절한 작업자세를 개선하여 노동강도를 경감시킴과 동시에 작업능률 향상과 요통 등 근골격계 질환을 감소시켜 작업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수행방법은 두 단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에서와 같이 착용의자의 좌판 높이를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의자의 다리부분에 탈․부착이 가능한 발굽을 고안하였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수행방법은 두 단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농작업에서 행해지는 쪼그려 앉는 여러 자세에 있어서 재배작물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의자의 높이를 실험을 통하여 작업자 부하관계를 규명한 다음, 이를 토대로 작업자용 착용의자를 고안하여 쪼그려 앉는 작업을 할 때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육체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쪼그려 앉아서 수행하는 작업에 있어서 작업위치에 따라 작업 시 편안함을 느끼는 의자의 적절한 높이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평가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자면 쪼그려 앉아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유사한 작업이라도 작업위치에 따라 쪼그려 앉는 의자의 적절한 높이는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하려는 쪼그린 작업자를 위한 착용의자의 제작목적은 작업보조도구를 사용함으로써 각종 산업체나 농업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에게 부과되는 육체적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작업안전 향상과 건강을 증진시키고 작업을 쉽고 빠르게 수행하게 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작업위치에 따른 3가지 높이의 의자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평가하는데 그 핵심기준은 사용자의 작업상 편안함이다. 이 같은 척도는 주관적일 수밖에 없으며 객관적인 수치로 측정하기는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적절한 작업자세와 관련된 위험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부적절한 작업자세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고찰해 보면 목과 어깨 부위와 관련되어 목의 굴곡과 신전(neck flexion and extension), 어깨의 외전(shoulder abduction), 팔꿈치가 들리는(elbow elevation) 자세; 손목과 손 부위와 관련되어 손목의 편향(radial and ulnar deviation), 손과 앞팔의 회내 및 회외(pronation and supination), 손바닥 굴곡과 배굴(palmar flexion and dorsiflexion) 등의 자세; 몸통 부위와 관련되어 몸통 굴곡과 신전(trunk flexion and extension), 몸통 측면 굴곡(trunk lateral flexion), 몸통 회전(trunk rotation) 등의 자세; 그리고 하지와 관련되어 쪼그려 앉는 자세(squatting posture) 등이 주요 위험요인으로 분석된다(NIOSH, 1997).
농작업의 작업특성은? 특히 최근에 농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은 고질적인 문제점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Pinzke, 1994). 농작업과 관련하여 몸의 과다한 비틀림, 굽힘, 과다한 반복 등의 작업특성은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에 따라 농작업자들에 발생하는 주요증상은 요통(lower back pain), 건염(tendonitis),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관절염(arthritis) 등으로 보고 되고 있다(Putz-Anderson, 1988; Hansson, 1990; Nemeth, 1990; Hildebramdt, 1995).
무릎 관절에 가장 큰 부담을 주는 자세는? 8배나 많다”고 하였고 무릎 관절염의 원인은 오랫동안 바닥에 양반 다리나 쪼그려 앉는 생활습관이나 비만 또는 직업적인 이유로 많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그림 1>에서 다리를 뻗고 누웠을 때와 각종 자세가 무릎관절에 걸리는 부담에 대한 비교분석에서 보듯이 오리걸음이나 토끼뜀, 그리고 쪼그려 앉는 자세가 무릎관절에 가장 큰 부담을 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uckle, P. W., Stubbs, D. A., and Baty, D. (1986),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discomforr) and Associared Work Facrors. In: Corlett, E. N., Wilson, j., Manenica, I. (Eds.), The Ergonomics of Working Postures: Models, Methods and Cases, Taylor & Francis, London, 19-30 

  2. Corlett, E. N., Wilson, j., and Manenica, I. (1986), The Ergonomics of Working Postures: Models, Methods and Cases, Taylor & Francis, London 

  3. Chung, M. K, Lee, I., and Kee, D. (2003), Effect of Srool Height and Holding Time on Postural Load of Squarring Pos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2(5), 309-317 

  4. Grandjean, E and, Hunting, W. (1977), Ergonomics of Postures Review of Various Problems of Standing and Sirring Postures, Applied Ergonomic, 8(3), 135-140 

  5. Hansson. J. E. (1990), Ergonomics Design of Large Forestry Machin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rstrial Ergonomics , 5(3), 255-266 

  6. Hildebrandt, V. H. (1995), Musculoskeletal Symproms and Workload in 12 Branches of Dutch Agriculture, Ergonomics, 38(2), 2576-2587 

  7. Lee, I. and Chung, M. K (1999), Workload Evaluation of Squarring Work Postures. In: Straker, L.., Pollock, C. (Eds.), CD-ROM Proceedings of CybErg 1999: The Second International Cyberspace Conference on Ergonomics, The International Ergonomics Association Press,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Perth, Australia, 597-607 

  8. Lee, S. C. (2004), hrrp://www.arthritiscenter.co.kr/. Unpublished clinical report 

  9. Li, G. and Buckle, P. (1999), Current Techniques for Assessing Physical Exposure r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Risks, with Emphasis on Posture-based Methods, Ergonomics, 42(5), 674-695 

  10. Meyers, j., Miles, J., Faucett, J., Janowitz, I., Tejeda, D., and KabashimaJ. (1997), Ergonomics in Agriculture: Workplace Priority Serring in the Nursery Industry,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58(2), 121-126 

  11. Nemeth, G., Arborelius, U. P., Svensson, O. K, and Nisell, R. (1990), The Load on the Low Back and Hips and Muscular Activity During Machine Mil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5(2),115-123 

  12.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981), Work Practice Guide jor Manual Lifting, Publication No. 81-122 

  13.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1997),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r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al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er Back, DHHS (NIOSH) Publication No. 97-141 

  14. Pinzke, S. (1994), A Computerized System for Analysing Working Postures in Agri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us, 13(4), 307-315 

  15. Putz-Anderson, V. (1988),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 Manual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of the Upper Limbs, Taylor & Francis, London 

  16. Sanders, M. S. and McCormick, E.J. (1992), Human Factor: in Engineering and Design, Seventh Edition, New York, McGraw-Hill, Inc 

  17. Westgaard, R. H. and Aaras, A. (1984), Postural Muscle Strain as a Causal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Musculoskeletal Illnesses. Applied Ergonomics, 15(3),162-1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