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지 소유역 유출곡선지수
Curve Number for a Small Forested Mountainous Catchment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8 no.8 = no.157, 2005년, pp.605 - 616  

오경두 (육군사관학교 토목공학과) ,  전병호 (육군사관학교 토목공학과) ,  한형근 (한국토지공사 연구개발처) ,  정성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조영호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  박수연 (한진정보통신 GIS 기술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정밀한 수문기상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설마천 시험유역의 강우유출자료를 이용하여 산지 소유역의 유출곡선지수(CN)를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내 산지 소유역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선행강우량(ARC)의 적용기준을 제시하였다. 설마천 시험유역은 $97\%$가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형적인 미개발 산지 소유역으로서 기왕의 10개 주요 호우사상을 분석하여 산정된 CN값은 $51{\sim}89$ 범위에 있었으며 중앙값(median)은 72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강우량과 CN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기한 가설인 ${\ulcorner}$5일 선행강우량 보다 1일 선행강우량이 산지 소유역에 대한 CN을 결정하는 데에 더욱 타당성이 높을 것${\lrcorner}$ 이라는 가설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1일 또는 5일 선행강우량으로부터 산지 소유역의 CN을 추정할 수 있는 회귀분석식을 제안하였다. 국내 산지 소유역의 유출곡선지수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거의 없는 실정에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산지 소유역에 대한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선행강우량을 반영한 CN 산정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특히 산악지역에서 실측강우에 따른 유출수문곡선 재현시 선행강우조건을 반영하는 예비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runoff curve numbers (CN's) for a small forested mountainous catchment are estimated using rainfall-runoff data measured at Sulma experimental catchment every 10 minutes and a new guideline for applying the antecedent rainfall conditions (ARC's) for small mountainous watersheds in K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밀한 수문기상자료를 보유 하고 있는 설마천 시험유역의 강우유출자료를 이용하여 산지 소유역의 유줄곡선지수를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내 산지 소유역에 적합한 선행강우량 적용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국내 산지 소유역에 대한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선행강우량을 반영한 CN 산정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특히 산악지역에서 실측강우에 따른 유출수문곡선 재현시 선행강우조건을 반영하는 기초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설마천 시험유역의 경우 배수특성이 비교적 좋지 않은 유역임에도 불구하고 강우유출자료를 이용하여 선행 강우량과 CN과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 검토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기한 가설인「5일 선행강우량 보다 1일 선행강우량이 산지 소유역에 대한 CN을 결정하는 데에 더욱 타당성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1일 또는 5일 선행강우량으로부터 산지 소유역의 CN을 추정할 수 있는 회귀분석식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식은 10개의 제한된 호우사상으로부터 도출된 결과이며 본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요소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앞으로 자료가 축적됨에 따라 더욱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논문에서는 경험적인 사실과 풍화잔적토에 대한 침투능 평가를 바탕으로 5일 보다 짧은 기간에 내린 선행강우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더욱 타당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가설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된 직접적인 배경이다.
  • 8로 보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역의 선행함수조건을 나타내는 AMC외에 선행강우의 적용 조건을 별도로 고찰하기 위하여 ARC(antecedent rainfall conditions) 라는 용어를 구분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정밀한 수문기상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설마천 시험유역의 강우유줄자료를 이용하여 산지 소유역의 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내 산지 소유역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선행강우량의 적용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마천 시험유역은 유역면적 8.

가설 설정

  • Δt를 24시간으로 하고 초기 표토층 토양수분량 SM0를 표토층이 완전 포화된 상태인 4.76 인치로 가정하여 강우가 그친 후 1일에서 5일까지의 토양수분량을 계산하면 Fig. 2에 제시한 바와 같다. Fig.
  • 그리고 지금까지 선행함수조건은 일괄적으로 5일 선행 강우량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가설은 5일 보다는 짧은 기간의 선행강우량이 유역의 CN을 판단하는데 보다 적합하리라는 것이다. 그 이유는 강우가 그친 후 토양의 침투능이 회복되는 과정을 지수함수적인 관계로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 검토하고자 한 가설은 선행강우량의 적용기준에 관한 것이다. 유역경사가 급하고 토심이 얕으며, 풍화잔적토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는 국내 산지 소유역들은 강우유출 응답이 빠르고 강우가 종료된 후 침투능을 회복하는 속도도 빠를 것으로 추정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박춘식 역 (1996) 풍화토의 특성 (원저: 風化 殘積土の工學的 性質, 西田一彦 著). 도서출판 엔지니어즈 

  2. 윤용남 (1998). 공업수문학. 청문각 

  3. 윤태훈 (1991). '유효우량산정을 위한 곡선번호방법의 적용성.' 한국수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 97-108 

  4. 임상준, 박승우 (1997). '논의 유출곡선번호 추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0권, 제4호, pp. 379-387 

  5. 정성원 등 (2000). 시험유역의 운영 및 수문특성 조사.연구-합성단위도 개발을 중심으로. 건기연 2000-092 연구보고서 6차년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6. 조홍제, 김정식 (1997) 'TIN을 이용한 SCS법에 의한 유효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0권, 제4호, pp. 357-366 

  7. Hawkins, R.H., Hjelmfelt, A.T. and Zevenbergen, A.W. (1985). 'Runoff probability, storm depth, and curve number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Division, ASCE, ViI. 111, No. 4, pp. 330-340 

  8. James, W. and Robinson, M. (1985). User Manual PCSWMM32 Executive Module, Combine Module, Statistics Module, Graphics Module, CHI Report: R142. Computational Hydraulics 

  9. Pilgrim, D.H., and Cordery I. (1993). Handbook of Hydrology: Chapter 9 Flood Runoff Edited by D.R. Maidment. McGraw-Hill Inc 

  10. US SCS (1985).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 Hydrology.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11. US SCS (1986).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Technical Release No. 55 (TR-55).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