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문학적 조건 등급에 따른 우리나라 산림의 유출곡선지수 재산정
Redetermining the curve number of Korean forest according to hydrologic condition clas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10, 2017년, pp.653 - 660  

박동혁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유지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안재현 (서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건축공학과) ,  김태웅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한 유효우량은 대부분 미국에서 개발된 SCS-CN 방법으로 계산된다. 이때 사용되는 토지이용상태에 따른 유출곡선지수 또한 미국의 기준을 토대로 결정된 것이다. 그러나 미국과 우리나라의 토지이용상태는 많은 차이가 있다. 특히 미국의 기준에는 우리나라의 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산림(forest)과 담수재배하는 논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 논의 경우, 이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이 홍수기에 담수상태인 것을 고려하여 토양형에 관계없이 CN값을 79로 사용하고 있다. 산림의 경우 미국 SCS의 목적이 농작물 증산에 있었기 때문에 SCS의 분류 기준은 조성림에 해당하는 수림(woods)에 대한 기준만 제시하였다. 따라서 수자원 실무에서 산림에 대한 유출곡선지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미국 산림청에서 개발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것은 수문학적 조건 등급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대안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굴운, 방림, 왕성동 지역의 실측된 강우-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산림의 유출곡선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산림의 CN값은 HC=1의 등급이 적당하며, 그때의 유출곡선지수는 AMC-II 기준으로 수문학적 토양군 A는 54와 55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CS-CN (Soil Conservation Service-Curve Number) method has been practically applied for estimating the effective precipitation. The CN is used to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and use condition based on the US standard. However, there are two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U.S. and Korean l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6)이 제시한 토지이용상태에 따른 유출곡선 지수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12개의 토지이용상태에 대해 제시된 것이지만, 대상유역의 토지이용상태가 고르지 못하여 각각의 토지이용에 따른 경중을 고려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산지지형으로 이루어진 대상유역을 선정하고 산지지형에 대한 유출곡선지수만을 분석했기 때문에 보다 명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 설계홍수량산정요령은 산림의 CN값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토양조건을 제대로 반영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문학적 토양군 A의 CN값을 변화 시키면서 대상 유역에서 산정된 최적화 전후의 CN과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토양군 A를 변화시키면서 나머지 B, C, D 의 값은 CN aligner 공식(Eq.
  • 본 연구에서는 뚜렷한 공학적 근거없이 제시된 수문학적 조건등급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관측된 강우-유출을 기반으로 하여 최적화 전후의 유출곡선지수와 비교·평가하 였다.
  • 관측된 강우-유출 자료를 이용해 유출수문곡선의 최적화를 실시하기 위해 HEC-HMS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CN의 변화에 따른 유출수문곡선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도달시간(Tc)과 저류상수(K)는 변화시키지 않고 유출곡선지수만을 변화시켜 최적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유출곡선지수의 변화에 따라 최종 적인 대상유역의 유출곡선지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산림의 CN을 0~100까지 변화시키면서 최적화 전후의 CN값들을 비교 ․ 평가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산림지역의 CN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도달시간과 저류상수는 고정하고 관측된 강우-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CN값을 재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계홍수량 산정과정에서 직접유출량은 어떻게 계산되는가? 설계홍수량 산정과정에서 직접유출량은 총강우량에서 손실량을 제외한 유효강우량을 강우-유출 모형에 적용하여 계산된다. 우리나라 수자원 실무에서는 주로 미국의 NRCS-CN (U.
설계홍수량산정요령에서 제시한 유출곡선지수가 측정된 강우-유출 자료와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설계홍수량산정요령(MLTM, 2012a)에서는 우리나라의 토지이용에 따른 유출곡선지수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 기준을 사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하여 측정된 강우-유출 자료와 비교해보면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 그 이유는 SCS가 제안한 유출 곡선지수가 유역의 물리적인 특징에 따라 변하지만 강우사상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Kim and Ahn, 2012). 같은 대상유역이라도 관측된 강우-유출 자료를 통해 최적화 분석을 실시하면 유출곡선지수는 다르게 나타난다.
우리나라가 미국 산림청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산림에 대한 유출곡선지수를 결정하고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 산악지형의 형태는 관목(shrub)이나 수림(woods)이 아닌 하천유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산림(forest) 으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MLTM, 2012a). 그러나 미국의 SCS에서 제시한 기준에는 수림에 대한 유출곡선지수만을 제시하고 있어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산림에 대한 유출곡선지수는 미국 산림청(U.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Enderlin, H. C., and Markowitz, E. M. (1962). "The classification of the soil and vegetative cover types of California watersheds according to their influence on synthetic hydrographs." Presentation at Second Western National Meeting of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at Stanford University, Dec 27-29, 1962. 5 pp with attachments. 

  2. Im, S. J., and Park, S. W. (1997). "Estimating runoff curve numbers for paddy fields."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0, No. 9, pp. 379-387 (in Korean). 

  3. Kim, J. H., Yoo, C. S., Park, M. J., and Joo, J. G. (2014). "Evaluation of problems to apply runoff curve number to mountain area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4, No. 5 (Oct. 2014), pp. 293-298 (in Korean). 

  4. Kim, J. S., and Ahn, J. H. (2012). "A study on the selection of AMC of curve number."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4, No. 4 (2012. 11) pp. 519-535 (in Korean). 

  5. KWRA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02). River standards for design.explanation (in Korean). 

  6. KWRA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05). River standards for design.explanation (in Korean). 

  7. KWRA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09). River standards for design.explanation (in Korean). 

  8. 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a). Nakdong River mater plan (in Korean). 

  9. 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b). Youngsan River mater plan (in Korean). 

  10.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Geum River Basin comprehensive flood mitigation plan (in Korean). 

  11.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Nakdong River Basin comprehensive flood mitigation plan (in Korean). 

  12.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a). Design flood estimation methods (in Korean). 

  13.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b). Han River Basin comprehensive flood mitigation plan (in Korean). 

  14. Park, D. H., Kang, D. S., Ahn, J. H., and Kim, T. W. (2016). "Redetermination of curve number using genetic algorithm and CN aligner equation."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9, No. 5, pp. 373-380 (in Korean). 

  15. USDA-NRC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2004).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Part 630 Hydrology, Chapter 10: Estimation of direct runoff from storm rainfall, Washington DC. 

  16. Yoon, Y. N. (2008). Elementary hydrology, Chungmunga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