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창의성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Child and Creativity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3 no.3 = no.205, 2005년, pp.59 - 73  

장혜선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최보가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child, and creativity. The study subjects were 120 5th and 6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in Gyeongbuk.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were question s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에 따라 창의성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밝힘으로써 자기효능감과 창의성과의 관계를 단정적으로 결론 내리기 곤란하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한 김원경과 우남희(2002)의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내적 동기원으로서의 자기효 능감과 창의성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부모의 양육태 도와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러한 결과를 일반적 자기 효능감과 일반적 창의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것으로 확대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일반적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 아보고자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도형 창의성과 언어 창의성과의 관계를 모두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는 자기효능감과 언어 창의성 및 도형 창의성 모두 상관이 없으나 부분적으로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 조절 효능감과 도 형 창의성의 정교성이 과제 난이도 선호와 제목의 추상성이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 따라서 상반된 견해를 보고하고 있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창의성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은 의의가 있으며 아동이 지각하는 양 육태도와 창의성의 관계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이 개인과 환경의 상 호작용을 통해 결정 되어진다는 보다 확대된 최근 의 연구흐름(김혜숙, 1999; 송인섭과 김혜숙, 1999) 과 맥락을 같이하여 개인적 특성이 되는 아동의 자 기효능감과 아동의 인적 환경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봄으 로써 아동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 공하고,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의 방향을 제 시하여 아동이 창의적인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1)

  1. 강경옥(1996). 수학문제 해결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윤숙(1987).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대훈(1995).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이 학습방략과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학생지도 연구. 15, 33-69, 안동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4. 김경은, 김숙령(2001). 어린이를 위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아카데미 

  5. 김명숙(2001). 통합적 창의성 모형의 구성. 교육심리 연구. 15(4), 43-68 

  6. 김미경(1985). 아버지 역할과 유아의 지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민정(2000). 초등학생의 통제소재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과의 관계. 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선혜(1998).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 김애리(1999).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배려가 자녀의 시험 불안 및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남(1980). 부모 자녀관계 및 출생순위와 창의성에 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영채(2002).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12. 김영채(2002). 한국판. TTCT(언어, 도형)검사 표준화 창의력 검사. 토란스 창의력 한국 FPSP/현곡R&D 

  13. 김원경, 우남희(2002).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심리적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3(2) 

  14. 김유자(1996). 아동이 지각한 가정 환경에 따른 정체감 유형과 창의성과의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현순(1993). 부모의 양육방법과 학습흥미 및 학업 성취와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6. 박계도(1993).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 성취간의 관계 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7. 박성숙(1999).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 창의성과의 관계.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숙희(1997).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인지 양식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배진수, 이영만(2000).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창의적 성격과 창의성과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13(2), 43-61 

  20. 서영목(1982). 가정환경요인과 창의성 발달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신용배(1994). 자기효능감이 아동의 학습의욕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오성심, 이종승(1882).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서적 특성의 관계. 연구노트, 11(1) 

  23. 온경일(1999).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윤종건(1998). 창의력의 이론과 실제. 서울: 원미사 

  25. 윤지영(2001).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동영(1997).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가효능감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국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7.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지원(1997). 청소년 흡연과 환경적 요인. 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임기선(1994). 가정환경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임선하(1993). 창의성에의 초대. 서울: 교보문고 

  31. 장휘숙(1995). 일반적 자기효율성과 특정한 과제에 대한 자기 효율성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8(1), 120-135 

  32. 전경원(2000). 동. 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학문사 

  33. 조성연(1990). 아동의 창의성 발달 및 이에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4. 주순남(2002).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창의성과의 관계. 영남 대학교 교육대한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5. 차정은(1997).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6. 하대현(2002). T. Amabile의 창의성 이론에 근거한 동기와 창의성간의 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14(2), 111-142 

  37. 하주현(1999). 아동기에서 청년기까지의 창의적 인지와 창의적 인성의 발달경향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하주현(2001). 창의성 발달에 관한 이론적 연구. 교육심리연구, 15(2), 139-156 

  39. 한기숙(1995).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수행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Albert, R. S. (1996). Some reasons why childhood creativity often fails to make it as puberty into the real world, In M.A. Runco(Ed.),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Creativity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72, 3-29. San Francisco, US: Jossey-Bass Publishers 

  41. Amabile, T. M. 저, 전경원 역(1998). 창의성과 동기유발. 서울: 창지사 

  4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191-215 

  43.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147 

  44.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s: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45. Berk (2000). Child Develapment. Ally & Bacon 

  46. Bong, M. (1997). Generality of academic self-efficacy judgements: Evidence of hierarchical rel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 1043-1051 

  47. Chamber, J. A. (1964). Relating personality and biographical factors to scientific creativity. Psychological Monograps : General and Applied, 78, Whole, No.584 

  48. Dacey, J. S. (1989). Peak periods of creative growth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3, 224-247 

  49. Dreyer & Wells. (1996). Parental values, parental control, and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 Fine, M. J. (1977). Facilitat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for creativity. The Gifted Child Quarterly, 21, 487-500 

  51. Gardner, H. (1994). Creating minds. New York: Basic Books 

  52. Getzels, J. W. & Jackson, P. W. (1961). Family environment and cognitive style: a study of the sources of highly creative adolesce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6, 351-359 

  53. Goertzel, M. G. & Goertzel, V., (1962). Cradles of eminence. London: Constale 

  54. Goertzel, M. G., Goertzel, V., & Goertzel, T. G. (1978). Three hundred eminent personalities. San Francisco: Jowwey-Bass 

  55. Guilford, J. P. (1950). Address of the president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t Pennsylvania State College 

  56. Harrington,. D. M., Block, J. H., & Block, J. (1987). Testing aspects of Carl Roger's theory of creative environments: Child-rearing antecedents of creative potential in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Jwlogy, 52, 851-856 

  57. Hurlock, E. (1978). Child development(6th ed.). New York: McCraw-Hill, Inc 

  58. John, L. D. (1985). Creative thinking potential another example of u-shaped development?. The Creative Child and Quarterly, 10, 146-159 

  59. Koestner, R., Walker, M., & Fichman, L. (1998). Childhood Parenting Experience and Adult Creativ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3, 92-107 

  60. Lamb, M. E. (1977a). Father-Infant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in the First Year of Life. Child Development, 48, 167-181. 

  61. Lesner, W. J. & Hillman, D. (1983). A developmental schema of Crmtivity Behavior, 17, 103-114 

  62. Mackinnon, D. W. (1962). The nature and nurture of creative talent. American Psychologist, 17, 484-495 

  63. Martocchio, J. J. (1994). Effects of conceptions of ability on anxiety, self-efficacy, and learning in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6), 819-825 

  64. Owen, S. V. & Forman, R D. (1988). Development of a college academic self-efficiency scale.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65. Rejskind, F. G. (1982). Autonomy and Creativity in children.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6, 58-67 

  66. Roe, A. (1951b). A psychological study of physical scientists. Genetic Psychology Monographs, 43, 121-239 

  67. Rogers, C. (1959). Toward a theory of creativity. In H.H. Anderson,(ed.), Creativity and its cultivity, (pp. 69-52). New York: Harper & Brothers 

  68. Rosenbatt, E. & Winner, E. (1988). The art of children's drawings. Journal of Aestbetic Education, 22, 3-15 

  69. Runco, M. A. & Charles, R E. (1997). Developmental trends in creative potential and creative performance. In M. A. Runco(Ed.), The Creativity Research Handbook, Vol. 1, NJ: Hampton Press 

  70. Santrock, J. W. (1988). Adolescence. New-York: McGraw-Hill 

  71. Schunk, D. M. (1981). Modeling and attributional effects on children's achievement: A self-efficacy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3, 93-105 

  72. Schunk, D. H. (2001).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B. J. Zimmerman & D. H. Schunk (E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2nd ed.). Mahwah, NJ: Erlbaum 

  73.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1).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34, 1-31 

  74. Stiepek, D. J. (1996). Motivation and instruction In D. C. Berliner & R. C. Calfee(EDS.),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acmillan 

  75.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 Hall 

  76. Torrance, E. P. (1984). A retrospective view of the Minnesota and Georgia studies of creativity behavior. In New Directions in Creativity Research, 65-73. Ventura, Ca; Ventura Country Super intendent of Schools Office 

  77. Torrance, E. P., Ball, O. E., & Sutter, H. T. (1998).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Streamlined Scoring Guide Figural A & B. Bensenvill, Illinois: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78. Torrance, E. P. & Saffer, H. T. (1999). Making the creative leap beyond. Buffalo, NY; Creative Education Press 

  79. Wallas, M. A. & Kogan, N. (1965). Models of thinking in young children. NY: Holt 

  80. Weisberg, P. S. & Springer, K J. (1961). Environmental factors in creative function. Archioes of Gernal Psychiatry, 5, 64-74 

  81. Wright, C. (1987). Nurturing creative potential: An interactive model for home and school. The Creative and Quarterly, 12,31-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