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6, 2014년, pp.185 - 200  

권화숙 (수성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보호자 296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즉, 개인 내적요인(유아의 문제행동과 자기조절능력)과 보호자 요인(보호자의 양육효능감과 보호자 양육 스트레스)으로 구분하여 이들 변인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자신의 자기평가, 우울, 정서성 및 행동억제 요인이, 보호자 요인에서는 보호자의 자녀양육효능감 및 보호자의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요인 모두의 설명력은 50.5%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자녀의 자기평가와 정서성 및 행동억제력 및 보호자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자기존중감은 높으며, 유아의 우울과 보호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녀의 자기존중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 보호자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 및 보호자의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 방법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esteem of children. For this purpose, 296 fosterers (those who use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were targe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esteem of children. The factors can be categorized as the personal internal f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개인 내적변인으로 유아의 문제행동과 자기조절능력 변인을, 보호자 변인으로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변인을 설정하여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자기존중감의 총점과 그 하위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아의 자기존중감은 다양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단현국, 이미숙, 2006; Harter & Pike, 1984),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의 자기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둘째로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변인들로는 부모, 교사 및 또래관계 등을 주장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보호자 변인으로 한정시켜 살펴보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건강한 유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의 대표적인 것이 가족요인의 보호자 요인이기 때문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개인 내적변인으로 유아의 문제행동과 자기조절능력 변인을, 보호자 변인으로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변인을 설정하여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자기존중감의 총점과 그 하위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왜냐하면 건강한 유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의 대표적인 것이 가족요인의 보호자 요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호자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아는 출생과 동시에 가족의 일원이 되어 성장하게 된다.
  • 또한 친사회적 행동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유은정, 2010; 최경숙, 2004)을 고려할 때 유아의 문제행동이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문제행동에 대한 개념은 학자와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Kaiser와 Rasminsky(2007)의 유아의 학습이나 발달에 방해가 되거나 본인이나 다른 유아 혹은 성인들에게 해를 가할 수 있으며, 향후 학교나 사회에서 실패를 초래할 수 있는 일체의 행동 즉, 과잉-산만행동, 적대-공격행동, 걱정-불안 행동을 기초로 하여 과잉행동, 불안 및 우울을 문제행동으로 정의하고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유아 보호자 296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즉, 개인 내적요인(유아의 문제행동과 자기조절능력)과 보호자요인(보호자의 양육효능감과 보호자 양육스트레스)으로 구분하여 이들 변인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기 위해 유아의 개인 내적변인으로는 유아의 문제행동과 자기조절능력을, 보호자 요인으로는 양육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 변인을 설정하여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존중감을 정의하면? 유아들은 가정뿐 아니라 유아교육기관에서도 또래나 교사와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면서 자아 평가를 통해 자기존중감의 토대를 마련하게 된다(김보람, 2013). 자기존중감(self-esteem)은 자신에게 부여한 가치뿐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입장에서 유아 자신이 자랑스럽고 유능하며 가치 있는 존재로 느끼며 가족과 친구를 사랑하고, 또한 자기가 사랑을 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는 의식 상태로 정의되고 있다(김영숙, 1997). 즉, 매사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모든 일에 즐거움을 느끼고 명랑하고 밝은 마음으로, 남을 존중하며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신념과 능력감, 가치감을 가지고 삶의 현장에서 긍정적이며 의욕적으로 생활해 가는 태도로(김보람, 2013),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고 예언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사회인지 이론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개념 중의 하나이다.
자기존중감이 낮은 유아의 특징은? 또한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 기본적인 학습활동에 대한 자신의 수행 능력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며 또래들에게 더 잘 수용되어 유능하고 유아교육기관에 잘 적응하며(우수정, 2001; 이진경, 2004; 임성은, 2004; Shaffer, 2005), 이타적이고 협동적인 친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영희, 2006; 유은정, 2010). 반면 자기존중감이 낮은 유아는 열등감과 자신을 무가치한 사람으로 여기게 되어 결국 정서적 불편감과 다양한 심리적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Damon, 1991). 이런 이유로 많은 연구자들은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김보람, 2013; 최혜순, 2004; Thorne, 2007).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내적 변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개인 내적변인과 환경적 변인으로 구분하여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김이영, 오성숙, 이시진, 이우언, 이은미, 채혜선, 2014). 전자는 유아의 성별(김영희, 2006; 민정원, 2000; Crain, 1996), 기질(김이영 외, 2014), 사회적 유능감(최희정, 2011), 친사회적 행동(유은정, 2010) 등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며, 후자는 유아의 부모(김은영, 2007; 한은희, 2009; Verschueren, Marcoen, & Schoefs, 1996), 교사(김은영, 2007; 신수희, 이완정, 2014) 및 또래관계(김미경, 2004; 김은영, 2007; Goleman, 1995) 등이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국형윤 (2012).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3. 김미경 (2004).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기존중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보람 (2013). 연령집단구성에 따른 협동학습이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영숙 (1997).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 주는 가정환경의 제 변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영옥 (2008).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영희 (2006). 유아의 성역할 선호성에 따른 자기존중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은영 (2007).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조망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이영 (2014). 유아의 문제행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1), 135-153. 

  10. 김이영, 오성숙, 이시진, 이우언, 이은미, 채혜선 (2014). 유아발달. 파주: 양서원. 

  11. 김이영, 이우언, 배기효, 김병찬, 정선화, 정왕용 (2013). 정신건강론. 파주: 양서원. 

  12. 김태희 (2013).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단현국, 이미숙 (2006). 교사용 유아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81-104. 

  14. 민정원 (2000).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자아지각 및 사회적 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미리 (201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또래 유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선미 (2011).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배수진 (2009).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신수희, 이완정 (2014). 어머니,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인식과 자아개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47-62. 

  19. 안숙희 (2010). 유아의 기질,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안지영 (200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엄미진 (2012). 유아의 자기효능 수준에 따른 자기조절력 및 생명사랑의 차이.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우희정 (1993). 가정환경과 아동의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모형 탐색.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유은정 (2010).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기존중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윤석빈 (1999). 경험하는 정서의 종류와 선행사건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재일 (200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성 아동의 귀인양식 및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진경 (2004). 사회적 유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현정 (1996).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임성은 (2004).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정혜진 (2009).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에 따른 문제행동.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조영숙 (2008).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련성탐색.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2. 최경순 (1994). 아동의 사회능력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논문집, 38, 263-291. 

  33. 최혜순 (2004). 유아사회교육. 서울: 동문사. 

  34. 최희정 (2011).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한미림 (2013).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한은희 (2009). 유아의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홍성임 (2005).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홍성희, 탁정화, 강현미 (2014). 부모의 행복감이 양육스트레스와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73-91. 

  39.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PSI): Manual pediatric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40. Block, J. H., & Kreman, A. M. (1996). IQ and ego 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41. Brown, J. D. (1998). The self. New York: McGraw-Hill. 

  42. Chetwynd, J. (1985). Factors contributing to stress on mothers caring for an intellectually handicapped child.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15, 295-304. 

  43. Crain, M. R. (1996). Age, race, and gender difference in child and adolescent self-concept: Evidence from a behavioral acquisition, context-development model. School Psychology Review, 23(3), 496-512. 

  44. Damon, W. (1991). Self-concept, adolescent. Encyclopedia of adolescence(Vol. 2). NY; Garland. 

  45. Deater-Deckard, K., & Scarr, S. (1996). Parenting stress among dual-earner mothers and fathers: Are there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 45-59. 

  46. Eisenberg, N., Fabes, R., & Murphy, B. (1996).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ccuracy. In W. Ickes (Ed.), Empathic accuracy(pp. 73-116). New York: Guilford. 

  47. Floyd, F., Gilliom, L. A., & Costigan, C. L. (1998). Marriage and the parenting alliance: Longitudinal prediction of change in parenting perception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9(5), 1461-1479. 

  48.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Why is can matter more than IQ. New York: Bantam book. 

  49. Harter, S. (1988). Cause, correlates and function: role of global self-worth: A life-span perspective. In J. Kolligan & R. Sternberg (Eds.), Perceptions of competence and incompetence across the life-span(pp. 67-97). New York: Yale University Press. 

  50. Harter, S., & Pike, R. (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4), 1969-1982. 

  51. Kaiser, B., & Rasminsky, J. S. (2007).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effectively. Pearson Education, Inc. 

  52. Shaffer, D. R. (2005). 발달심리학(김수정, 송길연, 양동규, 이지연 공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저 2002 출판). 

  53. Thorne, B. (2007). 칼 로저스: 인간중심 치료의 창시자(이영희, 박외숙, 고향자 공역). 서울: 학지사(원서 1992 출판). 

  54. Verschueren, K., Marcoen, A., & Schoefs, V. (1996). The internal working model of self, attachment, and competence in five-years-olds. Child Development, 67(3), 2493-2511. 

  55. Vohs, K. D., & Baumeistre, R. F. (2004). Understanding self-regulation. In R. F. Baumeister, & K. D. Vohs(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s(pp. 1-9). NY: The Guilford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