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 군현지도의 유형 연구 - 동래부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Types of Old County-Maps in the Case of Dongrae-Bu(동래부)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0 no.1 = no.106, 2005년, pp.1 - 26  

김기혁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  윤용출 (부산대학교 역사교육과) ,  배미애 (부산대학교 부산지리연구소) ,  정암 (부산대학교 부산지리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조선 후기 동래부를 그린 군현지도 26종의 유형화를 시도하였고, 지명을 이용하여 대축척 전국지도와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지도의 내용과 수록된 지명 등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네 유형으로 분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해동지도) 유형은 홍문관에서 주도하여 편찬된 지도인 $\ulcorner$해동지도$\lrcorner$에서 높은 완성도를 보이며, 이후 이를 모사한 지도로서, 7종의 지도가 이에 속한다. (2) $\leqq$(비변사인)영남지도$\geqq$ 유형은 비변사에서 주도하여 편찬된 지도와 이를 모사하며 부분 수정되는 5종의 지도들이다. (3) $\leqq$방안식군 현지도$\geqq$ 유형은 지도위에 20리 방안이 그려진 동일한 축척의 지도로서 4종이 이에 해당된다. 군현을 연결하여 전국 혹은 도별 지도의 제작을 목적으로 편찬된 것으로 사료된다. (4) (지방군현지도) 유형은 7종으로, 지방의 화원들이 그린 지도로 각 지역마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실경으로 묘사되는 것이 특징이다. 유형별 대표지도에 수록된 지명을 분석한 결과 (방안식군현지도)에 수록된 지명이 $\ulcorner$청구도$\lrcorner$ $\ulcorner$대동여지도$\lrcorner$와 거의 일치한다는 점에서, 이 유형의 지도들은 조선 후기 대축척 전국지도의 제작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to classify old county-maps of Dongrae-bu(東萊府), Busan in late-Chosun dynasty and to analyze place names in maps comparatively. 26 maps covering Dongrae-bu were collected from the old county-map atlas(郡縣地圖帖) and Eupji(邑誌). By e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those maps can be classif...

주제어

참고문헌 (31)

  1. 김기혁, 1991, '조선후기 지도책 요람집 분석,' 한국문화 연구, 4, 609-631, 부산대학교 

  2. 김기혁, 2002, '부산지역 고지도 연구,' 항도부산, 18, 393-455, 부산광역시 

  3. 김기혁 . 김성희, 2002, '동래읍성의 경관변화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7(4), 317-336 

  4. 김두일, 1994, '大東與地圖의 도법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29(1), 39-45 

  5. 노정식, 1997, '한국고지도 자료 및 그 연구 성과와 새 방향 모색을 위한 연구,' 대구교대논문집, 13, 249-259 

  6. 박관섭, 1980, '대동여지도의 도법 및 계보에 관한 역사지리적 연구,' 송수기념논문집, 23-62 

  7. 박인호, 1996, 조선후기 역사지리학 연구, 이회문화사 

  8. 배우성, 2000, '서구식 세계지도의 조선적 해석,' 한국과학사학회지 22, 51-79 

  9. 서정철, 1991, 서양고지도와 한국, 서울, 대원사 

  10. 한영우 . 안희준 . 배우성, 1999, 우리 옛지도와 그 아름다움, 효형출판 

  11. 양보경, 1992, '18세기 備邊司地圖의 고찰-규장각소장 도별 군현지도집을 중심으로-,' 규장각, 15, 93-123 

  12. 양보경, 1995, '대동여지도를 만들기까지,' 한국시민강좌, 16, 84-121 

  13. 양보경, 1999, '일본 대판부립도서관 소장 조선도의 고찰,' 서지학연구, 17, 421-435 

  14. 오상학, 1994, '정상기의 동국지도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24, 133-155 

  15. 원경렬, 1992, '대동여지도 : 현대지도학적인 고찰,' 지리학(대한지리학회지),44. 151-163 

  16. 이기봉, 2004, '김정호의 청구도 제작 과정과 지도적 특정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9(3), 473-493 

  17. 이상태,1999, 한국 고지도 발달사, 모악실학회총서, 혜안 

  18. 이찬, 1981, '한국 고지도에서의 좌표체계,' 한국과학사학회지, 3(1), 3-11 

  19. 이찬,1992, '해동제국기의 일본 및 유구국 지도,' 문화역사지리, 4(1), 1- 8 

  20. 全映雨,1968, '?華閣 所藏의 小華與圖,' 考古美術, 9(1), 365-366 

  21. Ledyard, G, 1994, Cartography in Korea, in Harley, J. B. (ed.), The History of Cartography, Vol 2.2,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http://www.e-kyujanggak.snu.ac.kr 

  23. 世宗實錄地理志 

  24. 新增東國輿地勝覽 

  25. 東萊府誌 

  26. 與地圖書 

  27. 東萊府邑誌 

  28. 嶺南鎭誌 

  29. 東萊府邑誌 

  30. 釜山地名總攬 

  31. 朝鮮地誌資料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