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동래부 객사 일곽의 소멸 과정
The Disappearance Process of Dongnaebu Gaeksa Block under the Rule of Japanes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4 no.2, 2015년, pp.17 - 26  

송혜영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  서치상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version of Dongnaebu Gaeksa block to public market during Japan's Colonial Period. The block of Gaeksa was converted into the elementary school for the first time and afterwards occupied by the public market. Dongnae Traditional Market(五日場) had kept up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제강점기에 시내 전차가 부설된 곳은? 시내 전차는 일제강점기 통틀어 경성, 부산, 평양 세곳 밖에 부설되지 않았다. 당시 전차의 최종 종착지는 동래읍성과 지척거리였던 溫泉場이었지만7) 남문지 바로 앞에 정거장을 두어 차후 부산부의 일본인들이 동래지역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동래 읍내장은 언제의 명칭인가? 동래 읍내장은 오늘날 동래시장이 재래의 五日場일 때 일컬어진 명칭이다. 오늘날 부산광역시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5일장을 살펴보면 고종 8년(1871)에 편찬된 『東萊府邑誌』의 場市條에는 邑內場(매월2.
[東萊邑市場施設費起債の件]으로 알 수 있는, 동래 읍내장이 이전되며 부지 이전비와 시장 공사비로 든 금액은? 그러나 식민통치권력에 의해 동래 읍내장은 기존 질서의 해체를 전제로 1937년 동래부 객사 부지로 이전되면서 동래공설시장이 되었다. 부지 이전비와 시장 공사비 등 총 35,000円의 거금이 일시에 투입되었던 동래공설시장 설치 과정을 [東萊邑市場施設費起債の件]으로 살필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2. Yeojidoseo(輿地圖書, 1765), 

  3. Dongraebueupji (東萊府邑誌, 1871) 

  4. Dongraebueupji (東萊府邑誌, 1899) 

  5. Jubon(奏本, 奎17703) 

  6. A Cadastral Map(地籍圖) 

  7. A Closed Cadaster(閉鎖土地臺帳) 

  8. Busandaegwan(釜山大觀, 1926) 

  9. Hwangseong-sinmun(皇城新聞) 

  10. Gongrip-sinmun(共立新聞) 

  11. Donga-ilbo(東亞日報) 

  12. , 邑面起債認可綴, 1936, National Archives of Korea, CJA0003171. 

  13. 朝鮮總督府 編, 公設市場槪況, 1924. 

  14. 朝鮮總督府 編, 朝鮮に於ける公設市場, 1930. 

  15. 善生永助, 市場稅에 關한 考察, 朝鮮, 1926. 

  16. http://kosis.kr 

  17. http://gb.nl.go.kr 

  18. http://theme.archives.go.kr 

  19. Professor Kim, Dong-Chul (Pusan National University), Private holdings photo. 

  20. Park, Il-Hyang, A Study on the Site and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Public Retail Markets in Seou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ster's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21. Song, Hye-Young. Seo, Chi-Sang, The Process of Dissolution on the Lots-Subdivision at Gaeksa of Dongnae-bu by Japanese Imperialism,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2 n.3,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