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널말뚝 흙막이벽으로 시공된 굴착연약지반의 안정성
The Stability of Excavated Soft Ground Supported by Sheet-pile Walls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1 no.1, 2005년, pp.5 - 14  

홍원표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김동욱 (중앙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송영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천국제공항 공사현장의 흙막이 굴착단면에서 계측된 자료를 검토하여 연약지반에 설치된 강널말뚝 흙막이벽의 수평변위와 굴착주변지반의 변형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벽체의 지지방식에 따른 강널말뚝 흙막이벽의 수평변위는 앵커지지, 복합지지, 버팀보지지 순으로 작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지지방식에 따른 최대수평변위 발생위치도 서로 다르게 발생하였다. 흙막이벽의 최대수평변위 및 최대수평변위속도는 굴착지반의 안정수가 ${\pi}$이하일 경우 각각 굴착깊이의 $1\%$, 1mm/day이하로 발생되고, 안정수가 ${\pi}+2$ 이하일 경우 각각 굴착깊이의 $2.5\%$, 2mm/day이하로 발생되며, 안정수가 ${\pi}+2$ 이상일 경우 급격하게 증가한다. 또한, 굴착저면에서의 N치가 감소함에 따라 흙막이벽의 최대수평 변위는 증가하며, N치가 약 10이하일 경우 흙막이벽의 최대수평변위는 급격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Terzaghi(1943)에 의해 제안된 히빙에 대한 안전율이 감소함에 따라 흙막이벽의 최대수평변위는 증가하며, 히빙의 안전율이 2.0일 경우 흙막이벽의 최대수평변위는 급속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연약지반 강널말뚝 흙막이벽의 경우 히빙에 대한 안전율은 2.0으로 제안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the field measuring data obtained from excavation sections in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projec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sheet-pile walls and the deformations of soft ground around the excavation were investigated. The horizontal displacements of walls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하여 흙막이 벽의 지지형식에 따른 흙막이 벽의 변형 특성을 서로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흙막이 벽의 변형 거동과 굴 착 저면 지반에서의 융기에 대한 안정성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강널말뚝 흙막이 벽의 설계 및 시공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 14( 久+2) 이상이면 굴착 저 면에서는 저면 파괴로 계속적인 히빙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굴착지반의 안 정수를 이용하여 연 약지 반상 흙막이 벽의 안정성을 검토하여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흙막이 벽의 단계별 최대 수평 변위 및 단계별 굴착 완료 후 최대 수평 변위 증가속도와 굴착지반의 안정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 연약지반에서 굴착공사를 안전하고 합리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흙 막이 벽의 수평 변위와 연계하여 굴착 저면 지반의 융기에 대한 안정성을 반드시 검토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 굴착 시 지지형식에 따른 흙막이 벽의 거동을 조사하여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흙막이 벽의 지지형식에 따른 흙막이 벽의 변형 특성을 서로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총 44개 단면의 강널말뚝 흙막이 벽을 대상으로 계측기를 설치하여 흙막이 벽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이 가운데 버팀보지 지 강널말뚝 흙막이 벽은 19개 단면이고, 앵커 지지 강널말뚝 흙막이 벽은 7개 단면이며, 버팀보와 앵커의 복합지지 강널말뚝 흙막이 벽은 18개 단면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 굴착 시 지지형식에 따른 흙막이 벽의 거동을 조사하여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흙막이 벽의 지지형식에 따른 흙막이 벽의 변형 특성을 서로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흙막이 벽의 변형 거동과 굴 착 저면 지반에서의 융기에 대한 안정성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강널말뚝 흙막이 벽의 설계 및 시공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조기영, 정성교, 고광진, 배종견, 정진교 (1998), '연약점토지반의 깊은 굴착에 의한 지반거동의 예측 및 현장계측', 98년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245-248 

  2. 홍원표 (2000), 연약점성토지반 굴착시 흙막이벽의 거동에 관한 연구보고서, 중앙대학교 

  3. 홍원표, 송영석, 김동욱 (2004a), '연약지반에 설치된 버팀보지지 강널말뚝 흙막이벽의 거동'.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4권 제3C호, pp.183-191 

  4. 홍원표, 송영석, 김동욱 (2004b), '연약지반에 설치된 앵커지지 강널말뚝 흙막이벽의 거동',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20권 제 4호, pp.65-74 

  5. 홍원표, 김동욱, 송영석 (2004c), '연약지반에 설치된 복합지지 강널말뚝 흙막이벽의 거동'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4권 제6C 호, pp.317-325 

  6. Bjerrum, L. and Eide, O. (1956), 'Stability of strutted excavations in clay', Geotechnique, Vol.6, No.1, pp.32-47 

  7. Caspe, M. S. (1966), 'Surface settlement adjacent to braced open cut' Journal of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Div., ASCE, Vol.92, No.SM4, pp.51-59 

  8. Clough, G. W. and Hansen, L. A. (1981), 'Clay anisotropy and braced wall behavior', Journal of Geotechnical Division, ASCE, Vol.107, No.GT7, pp.893-913 

  9. Clough, G. W. and O'Rourke, T. D. (1990), 'Construction induced Movements of in-situ Walls', Design and Performance of Earth Retaining Structures,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No. 25, ASCE, pp.439-470 

  10. Finno, R. J. and Nerby, S. M. (1989), 'Saturated clay response during braced cut construction',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SCE, Vol.115, No.8, pp.1065-1084 

  11. Finno, R. J. Atmatzidis, D. K. and Perkins, S. B. (1989), 'Observed performance of a deep excavation in clay',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SCE, Vol.115, No.8, pp.1045-1064 

  12. Mana, A. I. and Clough, G. W. (1981), 'Prediction of movements for braced cuts in clay', Journal of Geotechnical Division, ASCE, Vol.107, No.GT6, pp.759-777 

  13. Peck, R. B. (1969), 'Deep excavations and tunnelling in soft ground', 7th ICSMFE, State-of-Art Volume, pp.225-290 

  14. Terzaghi, K. (1943), Theoretical Soil Mechanics,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pp.189-194 

  15. Wong, K. S. and Broms, B. B. (1989), 'Lateral wall deflections of braced excavation in clay',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SCE, Vol.115, No.6, pp.853-8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