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혼가정 아동의 우울과 불안 판별 연구: 자기효능감, 또래애착,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Predicting internalizing problems of Korean children of divorce: The role of self-efficacy, peer attachment, parent-child communicatio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3 no.1 = no.73, 2005년, pp.99 - 111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김지현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이옥경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riminate important variables among general self-efficacy, peer attachment,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hat could predict internalizing problems(anxiety, depression) of Korean children of divorce. The participants were 101 children aged from 10 to 13. They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이혼가정 아 동의 우울과 불안을 한두 가지 요인으로만 설명하던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개인적 요인, 또래관계 요인, 가족관계 요인과 같은 개인과 환경의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임상적 사례가 아닌 일반적인 아동들을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혼가정 학령기 아동의 개인적 요인인 자기 효능감, 또래관계 요인인 또래애착, 가족관계 요인인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준거로 하여 아동의 우울과 불안 수준을 판별하고 이들 변수의 상대적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이혼가정 아동의 우 울과 불안 수준의 차이를 설명하는 변수로서 학령기 아동의 개 인적 요인인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요인인 또래애착, 가족관계 요인인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설정하고, 이 변수들의 상대적 중 요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들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 함으로써 이혼 가정 학령기 아동의 우울과 불안 성향을 다차원 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심리적 건강과 적응을 돕기 위한 시사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이혼가정 아 동의 우울과 불안을 한두 가지 요인으로만 설명하던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개인적 요인, 또래관계 요인, 가족관계 요인과 같은 개인과 환경의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임상적 사례가 아닌 일반적인 아동들을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이혼가정 아동의 우 울과 불안 수준의 차이를 설명하는 변수로서 학령기 아동의 개 인적 요인인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요인인 또래애착, 가족관계 요인인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설정하고, 이 변수들의 상대적 중 요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들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 함으로써 이혼 가정 학령기 아동의 우울과 불안 성향을 다차원 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심리적 건강과 적응을 돕기 위한 시사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권영미(2000).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남숙(1993).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서울시내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성태(1988). 발달심리학. 서울: 범우사 

  4. 김승경(2004). 이혼가정 아동의 탄력성에 대한 위험-보호요인들간의 경로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영교(1995). 부모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양식과 아동의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영석(2002). 사회조사방법론: SPSS WIN 통계분석. 서울: 나남출판 

  7. 김옥(2000). 부모의 이혼과 아동의 또래애착.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윤경. 이옥경(2000). 아동과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과 행동특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2), 35-82 

  9. 김은정, 오경자(1992). 발달적 관점에서 본 아동 및 청소년기 우울 증상. 소아청소년정신의학, 3(1), 117-128 

  10. 김지영(1997). 초등학교 아동의 불안수준과 대처방식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동승자(2000). 이혼가정 아동의 통제소재,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우울, 불안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문경주. 오경자(2002).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과 초기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1), 29-43 

  13. 박종배(1987). 이혼한 부모의 아동들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지영(2002).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연성 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5. 오복자(2000). 자기효능감과 우울. 류머티스건강학회지. 7(1), 189-194 

  16. 오은순(1998).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구조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이영미. 민하영(2004).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 및 학교적용에 따른 아동의 우울성향. 대한가정학회지 42(4), 1-10 

  18. 이영준(1993). 다변량분석. 서울; 도서출판 석정 

  19. 이은희. 최태산. 서미정(2000). 남녀청소년들의 우울에 미치는 학교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의 내재적 지원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69-84 

  20. 이혜승. 이순형(2003). 부모효능감 및 부모역할수행이 아동의 문제행동과 내면적 증세에 미치는 영향. 이혼가정과 양부모 가정의 학령기 아동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10(1), 11-29 

  21. 임영식(1997). 우울증이 가져오는 청소년기의 행위 양태. 오늘의 청소년, 117, 8-13 

  22. 전수정(2003). 양육 및 비양육 부모와의 관계와 사회적 지지가 이혼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용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전재순(1998) 심성계발 프로그램이 아동의 불안, 자아개념,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유미. 김득성(1998). 청소년의 환경적 변인 및 부모와의 의사 소통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부산시내 실업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3), 31-45 

  25. 정현숙(1992) 부모의 이혼에 따른 자녀들의 적응. 아동학회지, 14(1), 59-75 

  26. 주소희(1991). 이혼가정자녀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주소희(2004). 부모이혼 후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지은선(2002). 학령기 정상가정자녀와 이혼가정자녀의 건강상태와 학교생활적용정도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최선남(1995). 아동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동적 가족화에 의한 우울 판별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통계청(1990-2003). http://www.nso.go.kr/cgi-bin/sws-999.cgi 

  31. 홍순혜(2004).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육부모의 경제수준 및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7, 151-177 

  32. Ainsworth, M. D. S.(1989). Attachments beyond infancy. Ameriam Psychologist 44(4), 709-716 

  33. Armsden, G. C. & Greenberg, M. T.(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 427-454 

  34. Bandura, A.(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N.Y.: Prentice-Hall 

  35. Barnes, H. & Olson, D. H.(1982). Parent-Adolescent Cornmunication Scale. In Olson, D. H., McCubbin, H. I., Larsen, A., Muzen, M. & Wilson, M.(Eds.). Family inventories: Inventories used in a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cross the family life cycle, St. Paul, MN;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36. Benedek, R. S. & Benedek, E. P.(1979). Children of divorce: Can we meet their needs? Journal of Social Issues, 35(4), 155- 169 

  37. Bruch, M. A. & Heimberg, R. G.(1994).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parental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between generalized and non generalized social phobics. Journal of Anxiety Disorder, 8, 155- 168 

  38. Chandler, R.(1985). Stepparent-stepchild relationships in stepmother and stepfather families: A multimethod study. Family Relations, 33, 465-473 

  39. Cowen, E. L., Wyman, P. A,, Work. W. C. & Parker, G. R. (1990). The rochester cluld resilience project: Overview and summary of first year finding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 193-212 

  40. Emery, R. E.(1991). Marriage, Divorce, and children's adjustment. Newbury park, CA: Sage 

  41. Grych, J. H. & Fincham, F. D.(1932). Intervention for children's adjustment: A cognitive-contextual framework. Psychological Bulletin, 108, 267-290 

  42. Hetherington, E. M., Cox, M. & Cox, R.(1982). Effects of divorce on parents and children. In M. Lamb(Ed.). Nontraditional families(233-289), Hillsdale, NJ: Erlbaurn 

  43. Jacobson, S., Fasman, J. & Dimascio, A.(1975). Deprivation in the childhood of depressed women.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60, 5-14 

  44. Jaffe, L. M.(1997). Understanding parenting. MA: Allyn & Bacon 

  45. Kandel, D. & Davis, M.(1986). Adult sequences of adolescent symptom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2, 256-262 

  46. Kovacs, M.(1981). Rating scales to assess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Acta Paedapsychiatrim, 46, 305-315 

  47. Kuder, G. F. & Richardson, M. W.(1937). The theory of the estimation of test reliability. Psychometrika, 2, 151-160 

  48. Kurdek, L. A. & Berg, B.(1987). Children's beliefs about parental divorce scal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and concurrent validi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al Psychology, 55(5), 712-718 

  49. Masten, A. S. & Coatworth, J. D.(1988).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f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Lessons from research on successful children. American Psychologist, 53(2), 205-220 

  50. Parker, J. & Asher, S. R.(1993).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 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 357-389 

  51. Peterson, J. L. & Zill, N.(1986). Marital disruptio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behavior problem in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 295-307 

  52. Reynolds, C. R. & Richmond, B. O.(1978). What I think and feel: a revised measure of children's manifest anxiet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6, 271-280 

  53. Sander, I.(2001). Quality and ecology of adversity as common mechanism of risk and resilienc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 19-61 

  54. Schwarzer, R.(1997). The assessment of optimistic self-beliefs: Comparison of the Chinese, Indonesian, Japanese, and Korean versions of General Self -Efficacy Scale. Psychologia, 40(1), 1-13 

  55. Seligman, M. E. P.(1989). Why there so much depression today? In the G. Stanley Hall Lecture Serie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6. Silverman, W. K. & Ginsburg, G.(1995). Specific phobias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J. March(Ed.),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Y.: Guilford 

  57. Smilansky, S.(1992). 오은순 역(2002). 이혼가정아동. 서울: 학지사 

  58. Turner, S., Norman, E. & Zunz, S.(1996). Enhancing resiliency in girls and boys: A case for gender specific adolescent prevention programming. Journal of Primay Prevention, 16(1), 25-38 

  59. Wallerstein, J. S. & Kelly, J. B.(1980). Surviving the breakup: How children and parents cope with divorce. N.Y.: Basic Books 

  60. Werner, E. E. & Smith, R. S.(1992). Overcoming the odds: High risk children from birth to adulthood N.Y.: Cornell University Press 

  61. Wolchik, S. A., Wilcox, K. L., Tein. J. Y. & Sander, I. N.(2000). Maternal acceptance and consistency of discipline as buffers of divorce stressor on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problem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8(1), 87-95 

  62. Wolchik, S. A,, Sander, I. & Doyler, C. (2002). Fear abandonment as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divorce stressor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children's adjustment problem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0(4), 401-4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