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솔잎, 깻잎 및 녹차분말이 함유된 유화형 소시지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 Containing Pine Needle, Perilla Leaves and Green Tea Powder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4, 2005년, pp.667 - 678  

김일석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진상근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하경희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  류현지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박기훈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능성 물질인 솔잎분말(T1), 깻잎분말(T2), 녹차분말(T3)을 각각 0.4% 첨가하여 제조된 유화형 기능성 소시지를 $9{\pm}1^{\circ}C$에서 40일간 저장하면서 10일 간격으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는 증가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보수력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저장 40일 보수력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조직감 측정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경도, 씹힘성, 검성과 파쇄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BARS는 저장 1일에는 T3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저장 40일에는 T1이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육색은 T2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들은 저장기간에 따라 L*값이 다소 감소하였고, a*값은 대조구가 가장 높게, T2와 T3는 월등히 낮게 나타났다. 잔존 아질산염은 저장 전 기간 동안 법적 규정이내를 유지하였다. 저장 40일차에 대조구가 가장 높은 유산균수(107CFU/g)를 나타내어 모든 처리구들 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저장 30일차까지 C가 5.5-6.5, T1은 4.8-6.0, T2는 4.8-5.8, T3는 4.3-4.8 범위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들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육제품 생산 시에는 솔잎, 깻잎, 녹차분말의 첨가수준이나 첨가형태 및 사용되는 향신료 등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functional material(T1; pine needle powder, 0.4%, T2; perilla leaves powder, 0.4%, T3; green tea powder, 0.4%)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The samples were stored at $9{\pm}1^{\circ}C$ for 4...

주제어

참고문헌 (49)

  1. Bartholmew, D. T. and Blumer, J. N. 1977. Microbial interactions in country-style harns. J. Food Sci. 42:498 

  2. Buchanan, R. L. and Solberg, M. 1972. Interaction of sodium nitrate, oxygen and pH on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J. Food Sci. 37:81 

  3. Buege, J. A. and Aust, J. 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52:302 

  4. Choi, M.Y., Choi, E. J., Lee, E., Rhim, T. J., Cha, B. C. and Park, H. J. 1997.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seibet Zucc.) Kor. J. Appl. Microbial Biotechnol. 25:293-297 

  5. Choi, O. J. 1991. Yeuakcho seungbun. iyon. Illwelulgak. Seoul. pp. 114-116 

  6. Davies M. J., Judd, J. T., Baer, D. J., Clevidence, B. A., Paul, D. R, Edwards, A. J., Wiseman, S. A., Muesing, R. A. and Chen, S. C. 2003. Black tea consumption reduces total and LDL cholesterol in mildly hypercholesterolemic adults. J. Nutr. 133:3298S-3302S 

  7. Demeyer, D. I. and Vandekerckhove, P. 1979. Compounds determining pH in dry sausage. Meat Sci. 34:351 

  8. Forrest, J. C., Aberle, E. D., Hedrick, H. B., Judge, M. D. and Merkel, R A. 1975. Principles of meat science. H. freeman & Co. San Francisco. p. 179-180 

  9. Fox, J. B. Jr. and Thomson, J. S. 1964. Formation of bovine nitrosylmyoglobin. Biochem. 2:465 

  10. Graham, H. N. 1992. Green tea composition, consumption and polyphenol chemistry. Prev. Med. 21 :334-350 

  11. Jeong, H. G. and Kim, Z. U. 1986. A study on the effects of sodium nitrite on lipid oxidation of pork during cooking. J. Korean Agric. Chem. Soc. 29:148 

  12. Khokhar, S. and Magnusdottir, S. G. M. 2002. Total phenol, catechin, and caffeine contents of teas commonly consumed in the United Kindom. J. Agric. Food Chem. 50:565-570 

  13. Lamkey, J. K., Leak, F. W., Tiley, W. 8., Johnson, D. D. and West, R. L. 1991. Assessment of sodium lactate addition to fresh pork sausage. J. Food Sci. 56:220 

  14. Lee, K. I., Rhee, S. H. and Park, K. Y. 1999. Anticancer activity of phytol and eicosatrienoic acid identified from perilla leaves. Kor. J. Soc. Food Sci. Nutr. 28: 1107-1112 

  15. Lee, S. K. and Song, K. W. 1983.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sodium nitrite, ascorbic acid and sodium chloride on characteristics of ground meat. J. Anim. Sci. & Technol.(Kor) 25:288-295 

  16. Melton, S. L. 1983. Methodology for following lipid oxidation in muscle foods. Food Technol. 37:105 

  17. Mercurio, K. C. and Behrn, P. A. 1981. Effect of fiber type and level on mineral excretion transit time and intestinal history. J. Food Sci. 46:14621463 

  18. Moon, J. J., Han, Y. B. and Kim, J. S. 1993. Studies on antitumor effects of pine needless,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Kor. Vet. Res. 33:701-710 

  19. Nam, J. H., Song, H. I., Park, C. K., Moon, Y. H. and Jung, I. C.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prepared with mugwort, pine needle and fatsia leaf extracts, Kor. J. Life Sci. 10:326 

  20. Park, C. S., Kwon, C. J., Choi, M. A., Park, G. S. and Choi, K. H.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nvenging activity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Kor. J. Food Preservation. 9:248-252 

  21. Park, D. S., Lee, K. I. and Park, K. Y. 2001. Quantitative analysis of dietary fibers from Perilla fruteuscens seeds and antimutagenic effect of its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rt. 30:900-905 

  22. Park, J. K. 1984. Hanbang daewejeun. Dongyang jonghab tonsingyoykweon. Daegu. p. 134-136 

  23. Robak, J. and Gryglewski, R. J. 1998. Flavonoids are scanvengers of superoxide anions. Bicochemical Pharmacology. 37:837-841 

  24. SAS. 1999.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w 6.11, SAS Institute, Cary, Nc, U. S. A 

  25. Shi, J. 2002. Bioavailability and efficiency of tea catechins as an antioxidant. Neutraceut. Food. 7:327-331 

  26. Tada, M., Matsumpto, R, Yamaguchi, H. and Chiba, K. 1996. Novel antioxidants isolated from Perilla fruteuscens Britton var. crisp (Thunb.) Biosci. Biotech. Biochem. 60:1093-1095 

  27. Tarladgis, B. G., Watts, B. M., Younathan, M. T. and Dugan, L. R. Jr. 1960. A distill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lonaldehyde in rancid food. J. Am. Oil Chem. Soc. 37:44 

  28. Toyoda, M., Tannk, K., Hoshimo, K., Akiyama, H., Tanimura, A. and Saito, Y. 1997. Profiles of potentially antiallergic flavonoids in 27 kinds of health tea and green tea infusions. J. Agric. Food Chem. 45:2516-2564 

  29. Wesley, R. L., Marion, W. W. and Sebrandek, J. G. 1982. Effects of sodium nitrite concentration sodium erythorbate and storage time on the quality of Franks Manufactured from Mechanically Deboned turkey. J. Food Sci. 47:1626 

  30. Yang, C. S. and Landau, J. M. 2002. Effects of tea consumption on nutrition and health. J. Nutr. 130:2127-2130 

  31. Yang, T. T. and Koo, M. W. 1997.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Chinese tea. Pharmacol Res. 35:505-512 

  32. Yoon, S. O., Yoo, S. J. and Oh, J. S. 1997. A study on the pharmacological and nutritional values of needle of pinus densiflora S. et Z. Research Bulletin of the Experiment Foresta. 5:63-81 

  33. 김소영, 정석문, 이승철. 2004. 원적외선 처리가 녹차의 항산화능과 카테킨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753-756 

  34. 김수민, 조영석, 성상경, 이일구, 이신호, 김대곤. 2002. 솔잎 및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시지개발.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2:20-29 

  35. 김수민, 조영석, 성삼경, 이일구, 이신호, 김대곤. 2002. 솔잎 및 녹차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2:13-19 

  36. 김은성, 김미경. 1999. 감잎, 녹차, 솔잎의 건분 및 에탄올추출물이 흰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과학회지. 32:337-352 

  37. 박금순, 이선주, 정외숙. 2002. 당의 종류와 녹차가루 첨가량에 따른 육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1 :230-235 

  38. 백태홍, 이민수, 이준흥. 1991. 송엽중의 항산화성 물질이 리놀산의 광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화학회지. 4:25-30 

  39. 오승희, 김용욱, 김명애. 2004. 율피, 솔잎, 호프의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399-406 

  40. 이 은. 2003 솔잎분말이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흰쥐의 혈장 및 간장의 지질구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926-930 

  41. 이 은, 최무영. 2000. 솔잎분말이 고 콜레스테롤 급여 흰쥐의 체지질구성과 TBARS 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과학회지. 32:337-352 

  42. 이종섭, 박경옥. 1996. 송엽 추출물을 이용한 카드뮴 독성의 해독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2:88-97 

  43. 정인철, 강세주, 김종기, 현재석, 김미숙, 문윤희, 2003. 깻잎 분말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도육 소시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350-355 

  44. 진현화, 양정례, 정종화, 김양하. 2004. 고 콜레스테롤 식이 투여 흰쥐에 있어서 녹차의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47-51 

  45. 최성희, 권혁추, 안덕준, 박정로, 오동환. 2003. 녹차분말 첨가 소시지의 아질산염 잔유량과 저장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3:299-308 

  46. 한국식품연구소. 1991. 식품위생관련 국제식품규격 및 제외국의 규격기준에 관한 연구: p. 1056-1062 

  47. 허승원, 배수미, 한찬희, 최지향, 김종국, 박은경, 노덕영, 이준모, 남궁석은, 안웅식. 2004. 난소암 세포주에서 녹차 추출물의 항암작용. 대한산부인과학회지. 47:634-649 

  48. 현광옥, 김재호, 송기진, 이종복, 장정호, 김영선, 이종수. 2003. 온실재배와 노지 재배한 금산 깻잎의 생리기능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5:975-979 

  49. 홍근택, 이용림, 임무현, 정낙현. 2004. 솔잎발효 추출물의 효소적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94-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