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출산력 가정치의 설정
Development of Fertility Assumptions for th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29 no.2, 2006년, pp.53 - 88  

전광희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래인구추계를 위하여 논리적이고 상대적으로 정확한 연령별 출산율의 가정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먼저 코호트별 출산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의 추정과 추계를 위하여 Coale-McNeil 모형을 일반화한 로그감마분포모형을 선택한다. 다음은 보정형의 연령별 출산율 모형을 재생산을 완료하지 않은 상대적으로 젊은 출생코호트를 포함하는 실적치 자료에 맞추기 위하여, 출산력 파라메터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일련의 출생코호트의 출생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을 역출하여, 장래의 특정연도 대하여 연령별 출산율을 추계한다. 가령, 2010년의 20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90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0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이고, 2010년의 21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89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1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에 해당한다. 결국 2010년에 태어난 코호트까지의 연령별 출산율의 추계치를 얻게 되면, 2055년도 까지의 기간별(연도별_령별 출산율에 대한 가정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와 통계청의 2005년 장래인구 특별추계의 가정치 사이에 차이가 나는 것은 털 연구의 출산예측모형에서 혼인연령의 상승과 독신여성의 증가로 인한 출산력 저하의 최근 추세를 제대로 반영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래인구추계와 관련하여, 출산력 가정치 설정을 위한 출산예측모형의 본질적 과제는 어떻게 기간효과(를 슬기롭게 다루느냐 하는 것이다. 코호트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최근의 실적치를 바탕으로 약간의 기간적 수정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간효과를 별도로 취급하기는 쉽지 않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jor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hypothetical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are logically derived and reasonably accurate in the projection of future population. The first procedure is to select a generalized log-gamma distribution model, which includes Coale-McNeil nuptiality...

주제어

참고문헌 (22)

  1. 김동회 (2004a), '장래인구추계,' 김태헌 등(편), , 한국인구학회 보고서 

  2. 김동회 (2004b), '장래연구추계-한국' 김태헌 등(편), , 한국인구학회 보고서 

  3. 전광희 (2002), '출산력,' 김두섭. 박상태. 은기수(편), 통계청 

  4. 전광희 (2004a), '코호트분석,' 김태헌 등 (편), , 한국인구학회 보고서 

  5. 전광희 (2004b) '조정 합계출산율,' 김태헌 등 (편), , 한국인구학회 보고서 

  6. 전광희 (2004c) '혼인력의 지표와 측정' 김태헌 등(편), , 한국인구학회 보고서 

  7. 통계청 (2005a), 2005. 1. 통계청 연구분석과 

  8. 통계청 (2005b), 통계정보시스템(KOSIS) 자료. 통계청. http://kosis.nso.go.kr/ 

  9. 高橋重椰 외 (2002) '日本の 將來人口推計' 日本人口問題硏究 58(1): 78-84 

  10. 金子隆日 (1993), '年?別出生率の將來推計システム,' 日本人口問題硏究 49(1): 12-38 (평성 5년 4월) 

  11. 日本國立社會保陣. 人口問題硏究所 (2002) <日本の將來人口推計-平成13 (2001) -62年(2050) (평성14년 1월 추계). 東京: 國立社會保障. 人口問題硏究所 

  12. Bell, William (1988), 'Applying Time Series in Forecasting Age-Specific Fertility,' Bureau of Census Statistics Research Division. Washington, D.C 

  13. Bongaarts, J. (1998), 'Fertility and Reproductive Preferences in Post-Transitional Societies,' Policy Research Division Working Paper No. 114, New York: Population Council 

  14. Bongaarts, J. (1999), 'The Fertility Impact of Changes in the Timing of Childbearing in the Developing World,' Population Studies 53: 277-289 

  15. Bongaarts, J. and G. Feeney (1998), 'On the Quantum and Tempo of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4: 271-291 

  16. Coale', A. and D. R, McNeil (1972), 'The Distribution by Age of the Frequency of First Marriage in Female Cohort.,' Journal of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36: 743-749 

  17. Coale, A. and Jim Trusell (1974), 'Model Fertility Schedules: Variations in the Age Structure of Childbearing in Human Population,' Population Index 40: 185-258 

  18. Kaneko, Ruichi (2003), 'Elaboration of the Coale-McNeil Nuptiality Model as the Generalized Log Gamma Distribution: A New Identity and Empirical Enhancements,' Demographic Research 9, Article 10. (www.demographic-research.org) Max Planck Institute for Demographic Research 

  19. Kohler, H.-P., F. G. Billari, and J. A, Ortega (2002), 'The Emergence of Lowest-Low Fertility in Europe During the 1990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8: 641-680 

  20. Ortega. J. A and H.-P. Kohler (2002), 'Measuring Low Fertility: Rethinking Demographic Methods,' Max-Planck Institute for Demographic Research, Rostock, Germany Working Paper #2002-001. (available at http://www.demogr.mpg.de) 

  21. Preston, S. H., Heuveline, Patrick & Guilot, Michel (2001), Demography: Measuring and Modeling Population Process 

  22. Schoen, Robert. (2004), 'Timing Effects and the Interpretation of Period Fertility.' Demography 41(4): 801-8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