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대극(Euphorbia jolkini Boiss)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uphorbia jolkini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8 no.5 = no.189, 2006년, pp.699 - 706  

김지영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이정아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윤원종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오대주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정용환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이욱재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박수영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약용식물로부터 특정성분을 추출하여 천연물이 가지는 2차 대사산물인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데,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중 식품의 기능 강화를 위해 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은 항산화항균활성에 관련된 물질들이다. 이러한 식품강화 물질을 발굴하고자 해안가에 자생하며 유독성 식물로 알려진 암대극(E. jolkini)의 전초를 대상으로 ethanol 추출 및 용매분획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항산화활성 및 식품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암대극 (E. jolkini)은 다른 대극속 식물과 마찬가지로 페놀성 화합물을 다수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난 ethylacetate 층에서 DPPH radical 소거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superoxide 소거활성 및 nitric oxide 소거활성의 $IC_{50}$ 값이 각각 $8.38\;{\mu}g/mL$, $466.01\;{\mu}g/mL$, $11.39\;{\mu}g/mL$, $332.11\;{\mu}g/mL$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여 주었다. 항균활성은 paper disc method, 미생물 생장곡선 그리고 최대억제농도(MIC)을 측정 비교하였다. Paper disc method에서는 조추출물인 80% ethanol 및 ethylacetate와 butanol 분획물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력을 나타내는 inhibition zone 크기도 같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여 주었다. 최대억제농도는 모든 균주에서 80% ethanol 추출물 및 ethylactate와 butanol 분획물에서 100 ppm 농도로 처리시 최소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암대극 추출물이 식품유해 미생물인 B. cereus, L. monocytogenes, E. coli 등 3 종의 균주를 대상으로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ethylacetate 분획물이 가장 효율적인 항균활성을 보여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uphorbia jolkini extracts were investigated. Total polyphenohc compounds extracted were approximately as follows: 162.08 mg/g from ethanol, 12.64 mg/g from n-hexane, 48.11 mg/g from dichloromethane, 544.08 mg/g from ethyl acetate, 176.42 mg/g from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개발되어진 항산화제 및 항균제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우수한 활성을 발현하는 기능성 식품을 천연물로부터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에 자생하며 한방약으로 사용되는 약용식물인 암대극을 극성에 따라 용매 추출하여 항산화능 및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 한방약으로 사용되어 왔던 약용식물인 임대극을 본 연구에서는 ethanol 및 극성에 따라 용매분획주줄하여 항산화능에 대한 생리 활성을 검정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1)No inhibity zone was formed.
  • 1)Diameter. 2)No inhibity zone was form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Tabance N, kirimer N, Demirci B, Demirci F, Baser KHC. Composo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of Micromeria cristata subsp. Phrygia and enantiomeric distribution of borneol. J. Agric. Food Chem. 49: 4300-4303 (2001) 

  2. Davies KJA. Free radicals and oxidative stress environment. pp. 1-31. In: Drugs and Food Additives. Rice-Evans C, Halliwell B, Lunt GC (eds). Portland Press, Portland (1995) 

  3. Ames BN. Dietary carcinogens and anticarcinogens, oxygen radicals and degenerative diseases. Science 221: 1256-1264 (1983) 

  4. Harman D. Free radicals in Biology V. Acemic Press. New York, USA. pp. 255-275 (1982) 

  5. Hatano T.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Natural Medicines 49: 357-363 (1995) 

  6. Masaki H, Sakaki S, Atsumi T, Sakurai H. Active 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1995) 

  7. Kim SM, Cho YS, Sung SK.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001) 

  8. Lee SH, Lim YS.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39-243 (1998) 

  9. Koh JH, Hwang MO, Moon SJ, Hwang SY, Son JY,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71-178 (2005) 

  10. Jeon YO, Kim SI, Han YS, Kim KH.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lantain (Plantago asiatica)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14: 498-502 (1998) 

  11. Seo KL, Kim DY, Yang SI.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wasabi extracts. Korean J. Nutr. 28: 1073-1077 (1995) 

  12. Park UK, Chang DS, Cho HR.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1: 91-96 (1992) 

  13. Shin DH, Kim MS, Han JS.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ir fractionates against food-born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08-816 (1997) 

  14. Lee CY, Oh SW, Hong HD. Antsmicrobial characteristics of edible medicinal herb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00-709 (2002) 

  15. Bae JH.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es extracts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Korean J. Nutr. 36: 147-153 (2003) 

  16. Hahn YS. Antimicrobial effects of Camellia janponica L. leaves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13-121 (2005) 

  17. Yang MS, Ha YL, Nam SH, Choi SU, Jang DS. Screening of domestic plant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J. Korean Soc. Appl. Bio. Chem. 38: 584-589 (1995) 

  18. Park SH, Kim JA, Hua XG, Lee CG, Choi JY. Isolation of 5 ${\alpha}$ -reductase Inhibitors from Euphorbia jolkinii. Korean J. Pharmacogn. 36: 9-16 (2005) 

  19. Lee TB.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12 (1999) 

  20.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981) 

  21.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958) 

  22. Cheng ZJ, Kuo SC, Chan SC, Ko FN, Teng CM. Antioxidant properties of butein isolated from Dalbergia odorifera. Biochim. Biophys. Acta. 1392: 291-299 (1998) 

  23. Green LC, Wagner DA, Glogowski J, Skipper PL, Wishnok JS. Tannenbaum SR.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15N)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 131-136 (1982) 

  24. Marcocci L, Maguire JJ, Droy-Lefaix MT, Packer L. The nitric oxide-scavenging properties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 748-755 (1994) 

  25. Amsterdam D. Susceptibility testing of antimicrobial in liquid media. Antibiotics in Laboratory Medicine. Williams and Wikins, MD, USA. pp. 52-111 (1996) 

  26. Kim JJ, Lee JS, Kim SY, Kim JA. Inhibitory effect of hydrolysable tannins isolated from the Euphorbia helioscopia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Yakhak Haeji 45: 214-219 (2001) 

  27. Ahn BT, Kang SS. Phenolic compounds from aerial parts of Euphorbia pekinensis (II). Korean J. Pharmacogn. 27: 142-145 (1996) 

  28. Ahn BT, Lee BT, No JS, Lee GS. Phenolic compounds from Euphorbia ebracteolata. Kor. J. Pharmacogn. 27: 136-141 (1996) 

  29. Aruoma OI. Nutrition and health aspects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Fd. Chem. Toxicol. 32: 671- 683 (1994) 

  30. Whang HJ, Han WS, Yoon KR. Quantitative analysis of total phenolic content in apple. Anal. Sci. Technol. 14: 377-383 (2001) 

  31. Kim HJ, Jun BS, Kim SK, Cha JY, Cho YS.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iori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27-1132 (200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