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적 하천복원을 위한 식생 및 식물상 분석
Analysis on the Vegetation and Flora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iver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9 no.4, 2006년, pp.471 - 479  

유주한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동산 내 형성되어 있는 소하천 주변의 식생정보와 식물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자연형 하천복원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과 더불어 복원용 소재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지역의 식물상은 33과 84속 81종 14변종 등 총 9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출현한 귀화식물은 오리새, 미국개기장, 소리쟁이, 취명아주, 토끼풀, 수박풀, 큰달맞이꽃,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개망초, 망초, 기생초, 서양민들레, 미국가막사리, 코스모스 등 총 15분류군이었다. 식생군락은 달뿌리풀이 전체 우점종으로 판명되었고 부 우점종이 갯버들, 갈풀, 미국가막사리, 고마리로 관찰되었다. 하천복원을 위해서는 생물종다양성과 서식처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달뿌리풀, 갯버들, 고마리, 큰물칭개나물 등의 다양한 소재 이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natural restoration plan of river by objective analyzing the vegetation and flora around stream in Mt. Midong and to develop the materials for restoration. The flora were summarized as 95 taxa; 33 families, 84 genera, 81 species and 14 varieties. The naturali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미동산 내 형성되어 있는 소하천 주변의 식물 상과 식생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sL 분석하여 복원계획에 필요한 식생 군집 정보 수집과 더불어 식물상을 데이터베이스하여 복원용 소재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미동산 내 형성되어 있는 소하천 주변의 식생정보와 식물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자연형 하천복원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과 더불어 복원용 소재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지역의 식물상은 33과 84속 81종 14변종등총 9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출현한 귀화식물은 오리새, 미국개기장, 소리쟁이, 취명아주, 토끼풀, 수박풀, 큰달맞이꽃,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개망초 망초 기생초 서양민들레, 미국가막사리, 코스모스 등 총 15분류군이 었다 식생군락은 달뿌리풀이 전체 우점종으로 판명되었고 부 우점종이 갯버들, 갈풀, 미국가막사리 고마리로 관찰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Y.S., H.D. Cho, J.I. Seo, S.W. Kim and K.W. Chun. 2003. Analysis of stream grade-stabilization structures about Phragmites japonica inhabitation in channel bed. Jour. Korean For. Soc. 92(3): 168-175. (in Korean) 

  2. Beon, M.S. and J.M. Park. 2002. A study on flora and biotope conservation of the sand dune in Ui-Ilsand,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6(4): 93-101. (in Korean) 

  3. Beon, M.S., H.K. Oh and Y.H. Kim. 2005. Dominant floristic composition and its distribution in the upper Keum River basin. J. Korean Env. Res.&Reveg. Tech. 8(4):52-67. (in Korean) 

  4.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ge der Vegetationskunde. 3. Auflage.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pp. 865 

  5. Cho, D.S. 1995.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treamside vegetation in Kyonganchon. Korean J. Ecol. 18(1): 55-62. (in Korean) 

  6. Cho, K.H., J.A. Kim, H.H.M. Lee and O.B. Kwon. 2001. Status of riparian vegetation and implication for restoration in the Seunggi stream, Incheon.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4(2):62-73. (in orean) 

  7. Chun, S.H., J.Y. Hyun and J.K. Choi. 1999. A study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alix gracilistyla and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according to micro-landforms and substrates of the stream corrido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2): 58-68. (in Korean) 

  8. Jeong, J.A., H.J. Kim and E.H. Lee. 2004. The comparison of plants and vegetation transect in a straight and a restoration section -A case study of Bulgwang stream in Seoul, Korea-. Kor. J. Env. Eco. 18(1): 61-74. (in Korean) 

  9. Kim, H.J. 2005. Study on the bio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s -A case of the sand stream in Kyonggi-do district-. Kor. J. Env. Eco. 19(3): 215-230. (in Korean) 

  10. Lee, M.J., S. Yee, Y.U. Ji, H.J. Kimand H.K. Song. 2002. Riparian vegetation around Pyeongchang-gun, an upper stream of Namhangang. Korean J. Environ. Biol. 20(1): 55-65. (in Korean) 

  11. Lee, Y.M., S.H. Park and S.S. Jung. 2002. Vegetational composition and flora of Jungnangcheon in Seoul. Kor. J. Env. Eco. 16(3): 271-286. (in Korean) 

  12. Lee, K.B., C.H. Kim, D.B. Lee, J.G. Kim, C.W. Park and S.Y. Na. 2003. Species diversity of riparian vegetation by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water quality in the upper stream of Mankyeong Riv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2(2): 100-110. (in Korean) 

  13. Lim, D.O., Y.M. Ryu and I.C. Hwang. 2004.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large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 J. Env. Eco. 18(3): 288-296. (in Korean) 

  14. Lim, D.O., Y.M. Ryu and I.C. Hwang. 2005. Comparison both physicochemical environment and distribution of hydrophytes in rivers of downtown Gwangju etropolitan City. Korean J. Environ. Biol. 23(2): 120-128. (in Korean) 

  15. Parendes, L.A. and J.A. Jones. 2000. Role of light availability and dispersal in exotic plant invasion along roads and streams in the H.J. Anderews experimental fores, Oregon. Conservation Biology 14: 64-75 

  16. Park, K.N., K.H. Kang and I.S. Kim. 1995. Studies on the biological magnification of heavy metal and the assay of heavy metal pollution levels in the area of rivers by vascular plants. III. The removal of lead, copper and zinc from the soil of habitat by Persicaria thunbergii. Korean J. Environ. Biol. 13(2): 189-202. (in Korean) 

  17. Shannon, C. E. and W. Wien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Science 185: 27-39 

  18. Song, J.S. and S.D. Song. 1996.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riverside vegetation around Hanchon, an upper stream of Nak-tong River. Korean J. Ecol. 19(5): 431-451. (in Korean) 

  19.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3-4): 69-83. (in Korean) 

  20. You, J.H., Y.H. Jin, H.W. Jang, H.W. Cho, D.S. Kimand C.H. Lee. 2004. Resource plants of Mt. Midong in Chungcheongbuk-do, Korea. Korean J. Plant Res. 17(2): 122-134. (in Korean) 

  21. You, J.H. and S.G. Jung. 2005.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fo the spontaneous herbaceous communities in Midongsan Arboretum, Chungcheongbuk-d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2): 48-59. (in Korean) 

  22. Zinc, T.A., M.F. Allen, B. Heindl-Tenhunen and E.B. Allen. 1995. The effect of a disturbance corridor on an ecological reserve. Restoration Ecology 3: 304-310 

  23.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pp. 371 

  24.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 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