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 금산천과 기사천의 식물상 및 식생분석
Analysi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Geumsan and Gisa Stream Located in Chunchengnam-do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7 no.1, 2014년, pp.45 - 64  

박인환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조광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사공정희 (충남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부) ,  김혜영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ecological data for restoring and maintaining a local stream by analyzing the vegetation and flora in Geumsan Stream and Gisa Stream, Geumsan-gun, Chungcheongnam-do, Korea.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realities of land use near Geumsan Stream and Gisa Stre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Park et al.(2009)은 비교적 자연성이 남아 있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위치하는 4개의 하천을 대상으로 생태적으로 가치가 높은 식물자원을 분석하고 인간에 의해 파괴된 하천을 생태적인 하천으로 복원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생물학적 군집과 생태계 복원에 있어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는 수준에 따라 크게 4가지의 복원방법이 존재한다. 4가지의 방법 중 본 연구에서는 부분복원(Partial restoration)의 개념을 채택하여 몇몇 우점종을 회복시킬 수 있는 하천식생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환경부 산하 각 유역환경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변구역 토지매수 제도’에 따르면 ‘수계 상수원 수질개선을 위해 상수원관리지역(상수원보호구역, 수변구역) 및 상수원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인정되는 지역의 토지 등에 입지한 오염원을 제거하고, 반환경적인 토지이용을 미리 예방하여 상수원 수질개선을 도모’하기 위하여 하천경계로부터 거리 200m 이내의 인접 토지를 단체매도 대상지역으로 설정하고 있다(Han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2013). 그러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하천경계의 변형으로 정확한 경계선을 파악하기가 어려워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하천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200m 구간의 토지이용현황을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충청남도 금산군에 위치한 지방하천인 금산천과 기사천을 대상으로 하천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변 토지이용특성과 식물상 및 식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하천의 자연성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방2급 하천인 금산천과 기사천을 대상으로 해당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상 및 식생을 파악함과 동시에 두 하천의 생태적 차이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하천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생태적 관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단순히 조사 대상지역 내에서 출현하는 귀화식물종의 비율로 나타내기 때문에 지역 내 식물상 구성에 관한 전체 종급원(Species pool) 정보 및 크기가 배제되어 정보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Kim, 199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물종급원의 크기가 고려된 체감도시화지수(Actual Urbanization Index; Kim and Lee, 2006)도 함께 산출하여 두 하천의 도시화수준을 계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금산천과 기사천을 대상으로 주변의 토지이용특성과 식물상 및 식생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주변의 토지이용특성과 식물상 및 식생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적 하천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축적에 그 의의를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이란 무엇인가? 하천은 ‘크기와 관계없이 구배를 가지고 일정한 물길을 따라 흐르는 수괴’를 의미하는데(Han and Lee, 1996), 이러한 하천생태계는 ‘하천습지 내 및 인접지역에서 생물상 등을 중심으로 물리, 화학적인 요인들과의 상호관계가 발생되는 독립된 하나의 열린 계’이며 연속성을 지니면서 다양한 환경적 기능을 수행한다(Lee and Kim, 2005; Vannote et al., 1980).
하천생태계란 무엇인가? 하천은 ‘크기와 관계없이 구배를 가지고 일정한 물길을 따라 흐르는 수괴’를 의미하는데(Han and Lee, 1996), 이러한 하천생태계는 ‘하천습지 내 및 인접지역에서 생물상 등을 중심으로 물리, 화학적인 요인들과의 상호관계가 발생되는 독립된 하나의 열린 계’이며 연속성을 지니면서 다양한 환경적 기능을 수행한다(Lee and Kim, 2005; Vannote et al., 1980).
금산천과 기사천이 위치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리적 특징은? 금산천과 기사천은 지방2급 하천으로서 우리나라 4대강 중 하나인 금강의 제2지류이고, 두 하천모두 제1지류인 봉황천으로 유입된다(Figure 1). 충청남도 금산군은 노령산맥의 지맥이 중앙부를 통과하고 소백산맥이 동남쪽을 지나고 있어 양대 산맥으로 인해 큰 분지를 이루고 있으며 동서의 길이는 약 24km, 남북의 길이는 약 32km로 총 면적은 약 576km2이다. 한반도 남단의 내륙지역에 위치하여 남부 내륙형 기후로 분류되며, 연평균 기온은 11.8°C이고, 8월 평균기온이 가장 높은 25.8°C이며, 1월 평균기온은 가장 낮은 -2.7°C로 그 차이가 28.5°C로 비교적 크며, 강수량은 연평균 약 1,300mm로 우리나라 평균 강수량인 1,159mm에 비해 많은 것이 특징이다(Geumsan-gun,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nn, G. Y. and Lee, E. H. 2000. A Study on the Plan of Plant State for Improvement of Stream-ecosystem -in Case of Chungrang Strea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3(2):35-4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lolgie 3rd. Wien: Springer. 

  3. Cox, G. W. 1993. Conservation Ecology. Wm. C. Brown Publishers. 

  4. Geumsan-gun. 2012. Climate and soil of Geumsangun. http://www.geumsan.go.kr/html/kr/intro/intro_06010104.html. Downloaded on 10 April 2012. (in Korean) 

  5. Han, J. E.?Kim, S. Y.?Kim, W. H.?Lee, J. Y.? Kim, J. H.?Ro, T. H. and Choi, B. H. 2007.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at Stream in Middle Part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5(2): 115-12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Han, U. and Lee, H. H. 1996. Earth environmental system 1. Seoul: Kyohaksa. (in Korean) 

  7. Holmes, D. M.?Esler, K. J.?Richardson, D. M. and Witkowski, E. T. F. 2008. Guidelines for improved management of riparian zones invaded by alien plants in South Africa. South African Journal of Botany 74: 463-475. 

  8. Hood, W. G. and Naiman, R. J. 2000. Vulnerability of riparian zones to invasion by exotic vascular plants. Plant Ecol 148: 105-114. 

  9. Hwang, S. J. 2009. Significance of small streams for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Water engineering research 41(5): 38-4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Kang, S. J. and Kwak, A. K. 1998. Changes of Riparian Vegetation in Relation to Disturbance of Musim-Chon Stream, Cheongju.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1(5): 435-44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Kim, J. S. 2009. A study on the streamside vegetation in some firest branch stream of Kumho River.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san-si, Gyeongsangbuk-do,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Kim, J. W. 1998. Non-scientific of ecosystem assessment index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Nature Conservation 103: 12-1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Kim, J. W. and Lee. Y. G.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Seoul: Worldscience. (in Korean) 

  14. Kim, J. W. and Y. 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 Ecol. 17(4): 391-413. 

  15. Kim, K. D. and Park, M. H. 2009. Status and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the Geum River,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8(2): 153-16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Kim, S. Y.?Kim, H. J. and Lee, K. S. 2004. The Differentiation on the Plant Flora and Vegetation Caused by the Different Technique of Stream Restoration at the Seo-Ho Strea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7(3): 26-3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Kim, Y. H. 2009. The comparative study of flora around the Geumgang area.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si, Chunchengnam-do,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in Korean) 

  19.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Seoul: Hyangmunsa. (in Korea) 

  20. Lee, Y. G. 2010.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lant to the recorvey of river side according importance value of river side plants-Pocus on Sapgyo water system and Kum river water system-. Master's thesis. DanKuk University. Youngin-si, Gyeonggi-do,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1. Lee, Y. G. and Kim, J. W. 2005. Riparian vegetation of South Korea. Daegu: Publication department of Keimyung University. (in Korean) 

  22. Lee, Y. M.?Park, S. H. and Jung, S. S. 2002. Vegetational Composition and Flora of Jungnangcheon i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6(3): 271-28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3. Lee, Y. M.?Park, S. H.?Jung, S. Y.?Oh, S. H. and Yang, J. 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4. Lee, Y. J. 2000. Flora and vegetation of the naktong river mouth.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5. Lee, H. W.?Choi, N. H.?Lee, Y. S. and Choi, J. H. 2011. Estimation of Pollutants Loading from Non-Point Sources Based on Rainfall Event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3(8): 572-57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6. Lim, D. O.?Ryu, Y. M. and Hwang, I. C. 2004.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Large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3): 288-29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7. Nam, J. C.?Seo, J. B. and Oh, J. S. 2011. Assessment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the trail of adjacent to Molunda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2): 187-19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8. Newsome, A. E. and I. R. Noble. 1986. Ecological of Biological Invasions. Cambridge Univ., UK. pp. 1-33. 

  29. Oh, H. K. and Beon, M. S. 2006.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Situation Naturalized Plants in the Stream of Downtown Jeonju.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4(3): 248-25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0. Oh, K. S.?Yang, J. H. and Cho, H. 2011.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sand bars of major river valleys in the South Korea -case study on the Nakdong river valleys-. Journal of Korea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8(2): 1-1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1. Osada, T. 1976.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Japan. Tokyo: Hoikusha. (in Japanese) 

  32. Park, B. C.?Shin, Y. C and Suh, A. S. 2002. An application and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river naturalness using GIS -The special reference to Musim-cheon river in Cheong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5(1): 48-5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3. Park, I. H.?Jang, G. S.?Cho, K. J. and Ra, J. H. 2009. Analysi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local streams -In case of local streams in Namw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6): 153-16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4. Park, K. H.?You, J. H. and Yoon Y. C. 2010. The Characteristics and Flora of Changwon and Nam Stream Located in Gyeongsangnamdo.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5): 12-2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5. Pauchard, A. and K. Shea. 2006. Integrating the study of non-native plant invasions across spatial scales. Biological Invasion 8: 399-413. 

  36. Richardson, D. M.?D. M. Holmes ?K. J. Esler? S. M. Galatowitsch?J. C. Stromberg?S. P. Kirkman?P. Pysek and R. J. Hobbs. 2007. Riparian vegetation: Degradation, alien plant invasions and restoration prospects. Diversity and Distrubutions 13: 126-139. 

  37. Sax, D. F. 2002. Native and native and naturalized plant diversity are positively correlated in scrub communities of California and Chile. Diversity and Distrubutions 8: 193-210. 

  38. Shin, D. H.?Roh, T. S.?Oh, W. Y. and Lee, K. S. 2003. Floral Change in the Urban Stream after Natural Stream Wo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4): 67-7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9. Son, H. J.?Ahn, C. H.?Ahn, S. I.?Kim, N. Y.? Kim, Y. S. and Park, W. G. 2011.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Stream of Downtown and Urban Forest of Chuncheon C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2): 184-20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0. Song, J. S. and An, S. H. 1999. Synecological Study of the Naturalized Plant Communities in Old-Andong City.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2(3): 169-17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1. Spellberg, I. F. 1991. Monitoring Ecological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334. 

  42. Vannote, R. L.?G. W. Minshal?K. W. Cummins? J. R. Sedell and C. E. Cushing. 1980. The river continuum concept. Can. J. Fish. Aquat. Sci. 37: 130-137. 

  43. Westhoff, V. and E. van der Marrel.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R.H. Whittaker, ed.,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r. W Junk b. v., The Hague. 

  44. Yim, Y. J. and Jeon, E. 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3-4): 69-8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5. You, J. H.?Park, K. H. and Yoon, Y. C. 2010.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device of naturalized plants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4): 96-10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6. Zerbe, S.?Choi, I. K. and Kowarik, I. 2004. Characteristics and habitats of non-native plant species in the city of Chonju, southern Korea. Ecological Research 19: 91-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