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백제비꽃군 ITS DNA 염기서열 분석
Analysis of ITS DNA Sequences of the Viola albida Complex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9 no.5, 2006년, pp.628 - 633  

황성수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백제비꽃군내 식물들은 동소적으로 생육하면서 단엽에서 장상복엽까지 연속적인 중간형을 나타내어 분류학적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태백제비꽃, 단풍제비꽃, 남산제비꽃 그리고 각 분류군 사이의 중간형을 잎의 형태에 따라 5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별 대표적인 개체를 선별하여 ITS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분류학적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있다. 정렬된 ITS1, ITS2 그리고 5.8S 지역의 염기서열은 702 bp로 나타났다. 5.8S 지역은 163 bp로 조사된 모든 개체에서 변이가 없었으며, ITS1과 ITS2는 일부 변이가 있어 분산분석, 염기 서열 분기 조사 그리고 분계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조사된 잎 형태별 개체들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기서열 분기 조사 결과, 군외군으로 설정한 낚시제비꽃과 노랑제비꽃의 경우 Kimura 2-parameter distance에서 절대치가 0.05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서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군내군 5 개체는 절대치가 모두 매우 낮게 나타나서 염기서열 분기는 종 수준이 아닌 종 이하의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분계분석에서 군외군으로 설정한 2 종은 기저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군내군은 하나의 분계조를 형성하였지만, 부트스트랩이 50% 이하로 나타나 계통학적 의미는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S DNA sequences from five individuals, representative of five group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leaf teeth and lobes from simple to palmate compound leaf in the Viola albida complex, established and further analysed in order to solve the taxonomic difficulty. A total 702 bp was seque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반경 2~3m 이내 거리에 동소적2로 생육하면서 단엽에서 장상복엽까지 연속적인 중간형의 표현형을 갖는 태백제비꽃 군내 개체들을 대상으로 ITS 염기서열을 조사하고 분류학적 의의를 확인하는데 있다
  • 연속적인 중간형을나타내어 분류학적 어려움이 있다. 연구의 목적은 태백제비꽃 단풍제비꽃 남산제비꽃 그리고 각분류군 사이의 중간형을 잎의 형태에 따라 5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별 대표적인 개체를 선별하여 ITS DNA 염기서 열을 분석하고 분류학적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있다. 정렬된 ITS1, ITS2 그리고 5.

가설 설정

  • Table 1.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variance using ITS DNA sequences of the eight individuals in the V. albida complex. (* See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pples, R. and R.L. Honeycutt. 1986. rDNA evolution over a billion years. In S.K. Dutta (ed.), DNA Systematics. CRC Press, Boca Raton. pp. 81-135 

  2. Baldwin, B.G. 1992. Phylogenetic utility of the transcribed spacers of nuclear ribosomal DNA in plants: two examples from the Madiinae (Asteraceae). Mol. phylogenet. Evol. 1: 3-16 

  3. Ballard, H.E. and K.J. Sytsma. 1997. Further relevations on adaptive radiation in Hawaiian Viola (Violaceae)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DNA sequences. Amer. J. Bot. (supplement) 84: 177 

  4. Ballard, H.E., K. inoue and K.J. Sytsma. 1998. Phylogenic relationships and biogeography of Japanese violets (Viola) based on ITS DNA sequences. Amer. J. Bot. (supplement) 85: 108 

  5. Ballard, H.E., K.J. Sytsma and R.R. Kowal. 1999. Shrinking the violets: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infrageneric groups in Viola (Violaceae) based on ITS DNA sequences. Syst. Bot. 23: 439-458 

  6. Becker, W. 1902. Violaceae. Bull. Herb. Boiss. ser. II 2: 856 

  7. Becker, W. 1925. Viola. In A. Engler and K. Prantl (eds), Die Naturlichen Pflanzenfamilien 21: 363-377 

  8. Berg, H. and P. Redbo-Torstensson. 1999. Offspring performance in three cleistogamous Viola species. Plant Ecol. 145: 49-58 

  9. Darwin, C. 1877. The different forms of flowers on plants of the same species. John Murray, London 

  10. Downie, S.R., D.S. Katz-Downie and K. Spalik. 2000. Aphylogeny of Apiaceae tribe Scandiceae: evidence from molecular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Amer. J. Bot. 87: 76-95 

  11. Doyle, J.J. and J.L. Doyle. 1987. A rapid DNA isolation procedure for small quantities of fresh leaf tissue. Phytochem. Bull. 19: 11-15 

  12. Felsensta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9-791 

  13. Fu, P. Y. and Y. C. Teng, 1977. Flora Plantrum Herbacearum Chinae Boreali-Orientalis. Tomus 6. Sci. Publ. pp.79-129 

  14. Gibson, T., D. Higgins and J. Thompson. 1994. Clustal X Program. EMBL, Hidelberg, Germany 

  15. Harborne, J.B. and B.L. Turner. 1984. Plant chemosystematics. Academic Press, London 

  16. Hashimoto, T. 1967. Violets of Japan. Sungmoondang, Tokyo 

  17. Hildebrandt, U., K. Hoef-Emden, S. Backhausen, H. Bothe, M. Bozek, A. Siuta and E. Kuta. 2006. The rare, endemic zinc violets of Central Europe originate from Viola lutea Huds. Pl. Syst. Evol. 257: 205-222 

  18. Hogers, S.A., H.E. Ballard, Jr., M.L. Arnold and M. W. Chase. 1995. Generic relationships in theViolaceae: data frommor phology, anatomy, chromosome numbers and rbcL sequences. Amer. J. Bot. (supplement) 82: 136 

  19. Ishidoya, T. 1929. Review ofViola from Korean and manshuria. J. Chosen Nat. Hist. Soc. 8:15-17 

  20. Ito, E. 1962. Observations on the variations of V. chaerophylloides in Japan. Bull. Nat. Sci. Mus. Tokyo 6: 194-202 

  21. Kim, K.S. 1986. Studies of comparative morphology on the Korean Viola species. Ph. D. thesis, Sung Kyun Kwan Univ., Korea 

  22. Kim, K.-J. and R.K. Jansen. 1994. Comparisons of phylogenetic hypotheses among different data sets in dwarf dandelions (Krigia, Asteracea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nulcear ribosomal DNA. Plant Syst. Evol. 190: 157-185 

  23. Kim, K.S., B.Y. Sun, S.S. Whang and G.H. Chung. 1991. Biosystematic study on the genus Viola in Korea -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Viola albida complex. Kor. J. Bot. 34: 229-238. (in Koeran) 

  24. Ledebour, C.F. 1829. Flora Altaica I. Berlin. p. 225 

  25. Lia, V.V., V.A. Confalonieri, C.I. Comas and J.H. Hunziker. 2001. Molecular phylogeny of Larrea and its allies (Zygophyllaceae): reticulate evolution and the probable time of creosote bush arrival to North America. Mol. Phylogenet. Evol. 21: 309-320 

  26. Linne, C. 1753. Species Plantarum. II. pp. 936 

  27. Lord, E.M. 1981. Cleistogamy: a tool for the study of floral morphogenesis, function and evolution. Bot. Rev. 47: 421-449 

  28. Maekawa, F. 1954. Violaceae. In H. Hara, (eds.). Enumeratio Spermatophytraum Japonicum. 3: 194-227 

  29. Maekawa, F. and T. Hashimoto. 1963. Violets of Japan: 2. Shibundo-shinko-sha, Tokyo, pp. 1-9 

  30. Maximowicz, C.J. 1877. Diagnoses plantarum novarum asiaticarum. Bull. Acad. St.-Pet. 23: 312-314 

  31. Regel, E. 1861. Violaceae. Pl. Radd. 1: 222 

  32. Russell, N.H. 1960. Studies in the photoperiodic responses of violets (Viola). The Southwestern Naturalist 5: 177-186 

  33. Schmitt, J. and D.W. Ehrhardt. 1990. Enhancement of inbreeding depression by dominance and suppression in Impatiens capensis. Evolution 44: 269-278 

  34. Stebbins, G.L., B.L. harvery, E.L. Cox, J.N. Rutger, G. Jelencovic and E. Yagil. 1963. Identification of the ancestory of an amphiploidViola with the aid of paper chromatography. Amer. J. Bot. 50: 830-839 

  35. Swofford, D.L. 1998. PAUP: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s. Version 4.02b Sinauer Asso. Inc., Massachusetts, USA 

  36. Sytsma, K.J. and B.A. Schaal. 1985. Phylogenetics of the Lisianthius skinneri (Gentianaceae) species complex in Panama utilizing DNA restriction fragment analysis. Evolution 39: 594-608 

  37. Sytsma, K.J. and J.F. Smith. 1988. DNA and morphology: Comparisons in the Onagraceae. Ann. Miss. Bot. Gard. 75: 1217-1237 

  38. Takenouchi, M. 1955. Brief notes on the taxanomy, ecology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species of Viola indigenous to Manchuria and Inner-Mongolia. Sci. Cont. Tung-pei Teachnical Univ. 5: 65-95 

  39. Waller, D.M. 1980.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outcrossing in Impatiens capensis (Balsaminaceae). Evolution 34: 747- 761 

  40. Whang, S.S., K. Choi, R.S. Hill and J.-H. Pak. 2002. A morphometric analysis of infraspecific taxa within the Ixeris Chinensis complex (Asteraceae, Lactuceae). Bot. Bull. Acad. Sin. 43: 131-138 

  41. Whang, S.S., K. Kim and W.M. Hess. 1998. Variation of silica bodies in leaf epidermal long cells within and among seventeen species ofOryza (Poaceae). Amer. J. Bot. 85: 461-466 

  42. White, T.J., T. Birn, S. Lee and J.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la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D. Gelfand, J. Sninsky and T. White (ed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San Diego, pp. 315-322 

  43. Yoo, K.-O., O.-K. Kwon and W.-T. Lee. 2004.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KoreaViola based on RAPD, ISSR, PCR-RFLP analyses, Kor. J. Pl. Taxon. 34:43-61. (in Korean) 

  44. Yoo, K.-O., S.-K. Jang and W.-T. Lee. 2005. Phylogeny of KoreanViola based on ITS sequences. Kor. J. Pl. Taxon. 35: 7-2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