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주파수 양상태 잔향음 준위는 음선이론을 사용하여 산출되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음파전달 경로 내 전방/후방 산란의 상호작용을 가정한다. 해양환경 (지형. 해저면 산란, 해수면 산란 등)은 거리 독립 해양환경으로 가정되었고 중주 파수 산란 모델이 사용되었다. 해상실험 자료를 사용한 알고리즘 검증 결과 양상태 잔향음 모델 알고리즘이 관측 해역의 양상태 잔향음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d-Frequency bistatic reverberation level is modeled using ray theoretic algorithms. The algorithm assumes multiple forward/backward scatter along with reciprocity in the Propagation paths. The environments modeled are assumed to be range independent in bathymetry, bottom scattering and surface s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양상태 잔향음 모델은 양상태와 다중상태 소나 시스템의 설계 및 성능 평가뿐만 아니라, 수중 통신 채널 분석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음선이론 모델과 중주파수 산란 모델을 사용한 양상태 잔향음 준위 산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해상 실험 자료를 사용해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한다. 중주파수 산란 모델은 실험에 근거한 저주파 단상태 산란 모델 (Chapman - Harris 해수면 산란 모델, Mackenzie 해저면 산란 모델) 과 이론식에 근거를 둔 고주파 산란 모델 (APL-UW 해수면/해저면 산란 모델)을 주파수에 따라 내삽해 단상태 산란 강도를 산출하며, 양상태 정리를 사용해 단상태 산란 강도를 양상태 산란 강도로 확장한다.
  • 양상태 잔향음 모델은 양상태와 다중상태 소나 시스템의 설계 및 성능 평가뿐만 아니라, 수중 통신 채널 분석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음선이론 모델과 중주파수 산란 모델을 사용한 양상태 잔향음 준위 산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해상 실험 자료를 사용해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한다. 중주파수 산란 모델은 실험에 근거한 저주파 단상태 산란 모델 (Chapman - Harris 해수면 산란 모델, Mackenzie 해저면 산란 모델) 과 이론식에 근거를 둔 고주파 산란 모델 (APL-UW 해수면/해저면 산란 모델)을 주파수에 따라 내삽해 단상태 산란 강도를 산출하며, 양상태 정리를 사용해 단상태 산란 강도를 양상태 산란 강도로 확장한다.
  • 사용된 송신 신호는 정현파 신호 (CW signal)와 주파수 변조 신호 (LFM signal)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현파 신호를 사용해 제안된 양상태 잔향음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분석된 신호의 신호길이는 0.
  • 실험 해역의 평균 수심은 약 1340 m 이다. 음속 구조 변동 특성 파악을 위해 4 정점에서 XBT를 사용해 수온구조를 관측하였고 본 논문에서는 Time:1551에 획득한 수온 자료의 데이터 오류로 인해 3 정점에 대한 XBT 자료 만을 표시하였다 (그림. 6). 수온구조 분석 결과 혼합층과 수온약층 이후 수온구조는 유사하나, 수심 약 100m 부근에서 형성된 수온약층의 수심에 따른 수온 변화율이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 해역의 평균 수심은 약 1340 m 이다. 음속 구조 변동 특성 파악을 위해 4 정점에서 XBT를 사용해 수온구조를 관측하였고 본 논문에서는 Time:1551에 획득한 수온 자료의 데이터 오류로 인해 3 정점에 대한 XBT 자료 만을 표시하였다 (그림. 6). 수온구조 분석 결과 혼합층과 수온약층 이후 수온구조는 유사하나, 수심 약 100m 부근에서 형성된 수온약층의 수심에 따른 수온 변화율이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설정

  • 현재 음파 전달시 야기되는 3차원적 특성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연구가 수행 중에 있으나, 그 결과 발표는 미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그림 3과 같이 음원과 수신기가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고, 동일한 좌표 평면 (거리-수심 평면)에 존재한다고 가정한 후 양상태 정리에 의해 확장된 중주파수 양상태 산란 모델을 사용해 잔향음 준위를 산출한다.
  • 제 2 단계로는 경계면과 수신기까지의 음선도달시간, 입사각 및 전달 손실 (TL2m)을 계산하며, 제 3단계에서 산출된 음원과 경계면 사이의 음선들과 경계면과 수신기 사이의 음선들을 조합하고, 양상태 산란 모델을 적용하여 산란 강도 (SSnm)를 산출한다. 이때 경계면은 공간 산란체 (cell scatterer)로 가정한다. 제 4 단계에서는 식 4.
  • 제 2 단계로는 경계면과 수신기까지의 음선도달시간, 입사각 및 전달 손실 (TL2m)을 계산하며, 제 3단계에서 산출된 음원과 경계면 사이의 음선들과 경계면과 수신기 사이의 음선들을 조합하고, 양상태 산란 모델을 적용하여 산란 강도 (SSnm)를 산출한다. 이때 경계면은 공간 산란체 (cell scatterer)로 가정한다. 제 4 단계에서는 식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 R. Preston, 'Inversion of reverberation data for rapid environmental assessment,' J. Acoust. Soc. Am., 107, 2772-2772, 2002 

  2. J. Zhou and X. Zhang, 'Sea bottom geoacoustic inversion from reverberation vertical coherence in shallow water,' J. Acoust. Soc. Am., 113,2204-2204,2003 

  3. 박길선, 나정열, 최지웅, 오선택, 박정수, '천해에서의 저주파 잔향음 분석,' 한국음향학회지, 21(8) 671-678, 2002 

  4. 최지웅, 윤관섭, 나정열, 박정수, 나영남, '천해 고주파 잔향음 예측 모델,' 한국음향학회지 21(8) 679-685, 2002 

  5. 김남수, 오선택, 나정열, '천해 저주파 잔향음 예측 모델,' 한국음향학회지, 21(8) 67-9685, 2002 

  6. 박경주, 김은혜, 강돈혁, 나정열, '천해 체적 산란강도의 수직분포 변동성,' 한국음향학회지, 22(1) 69-77, 2003 

  7. 김형수, 최지웅, 나정열, 석동우, '퇴적층 구성 매질 및 표면 형태에 따른 후방산란 강도 측정,' 한국음향학회지, 22(1) 78-87, 2003 

  8. 오택환, 나정열, 조홍삼, 박상현, 김기택, 이원병, 주종민, '다중상태 소나신호 모의 및 탐지 성능 평가,' 한국음향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4(2) 472-481, 2003 

  9. 김남수, 오선택, 윤관섭, 이성욱, 나정열, '천해 저주파 양상태 잔향음 모델,' 한국음향학회지, 22(6) 472-481, 2003 

  10. 오선택, 윤관섭, 오택환, 나정열, 한상규, '정상모드를 이용한 거리종속 양상태 잔향음 모델,' 한국음향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3(2) 411-414, 2004 

  11. 윤관섭, '고주파 양상태 잔향 모델,'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12. H. Weinberg and R. Keenan, 'Gaussian ray bundles for modeling high frequency propagation loss under shallow-water conditions,' J. Acoust. Soc. Am., 100(3) 1421- 1431,1996 

  13. R. P. Chapman and J. H. Harris, 'Surface backscattering strengths measured with explosive charges.' J. Acoust. Soc. Am., 34, 1592-1597, 1962 

  14. K. V. Mackenzie, 'Bottom reverberation for 530 and 1030 cps sound in deep water,' J. Acoust. Soc. Am., 33, 1498-1504,1961 

  15. 국방과학연구소 기술보고서, '다중상태소나 탐지환경모델 연구,' 국방과학연구소, 2006 

  16. Hongsang Cho, Hyoungsul La, Kwan-seob Yoon, Jungyul Na, Bong chae Kim, 'High-Frequency Bistatic Scattering from a Corrugated Sediment Sufrace,' J. Acoust. Soc. Kor, 25(2E) 60-6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