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유역의 건천화 방지를 위한 지속가능한 수자원 계획: 1. 방법론
Sustainable Water Resources Planning to Prevent Streamflow Depletion in an Urban Watershed: 1. Methodology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9 no.11 = no.172, 2006년, pp.935 - 946  

이길성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정은성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김영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조탁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의 건천화 방지를 위한 지속가능한 수자원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절차를 Heathcote가 제안한 다음과 같은 7단계를 토대로 제시하였다. 단계별 절차는 (1) 유역의 물순환 관련 요소 파악, (2) 문제점 도출 및 우선순위의 결정, (3) 분명하고 구체적인 목표의 설정, (4) 모든 대안의 제시, (5) 가능한 대안의 선별, (6) 선별된 대안의 효과분석, (7) 최종대안의 수립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상 유역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한 건천화 지수 산정(2단계)과 대안의 효과 평가(7단계)에 지속가능한 개발 개념인 PSR 모형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자를 결정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정량적인 평가에는 복합계획법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목표 설정(3단계)을 위해 국내에서 이수관리를 위해 고시하고 있는 하천유지유량을 PHABSIM과 갈수량 산정방식을 이용하여 결정하도록 하였으며, 대안들의 효과 분석(6단계)에는 정확한 연속유출모의뿐만 아니라 토지이용 변화, 저수지 건설 및 운영 등의 대안을 모의할 수 있는 SWAT과 같은 정밀한 수문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절차는 다음 논문을 통해서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 적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d a new procedure of sustainable water resources planning to prevent the urban streamflow depletion, based on the Heathcote's study in 1998: (1) to understand the watershed component and processes, (2) to identify and quantify problems within the watershed, (3) to set clear and 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히려 이러한 10가지 항목만으로는 도시유역의 경우 정확한 물순환 과정을 파악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문모형을 이용한 물순환의 파악, 강우시 유출수의 농도를 직접 측정하여 산정한 유량가중 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 의 파악 등을 제안한다. 앞의 10가지 자료는 유역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반해 추가된 두 가지는 유역의 물순환 중 수량과 오염물질에 대해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 주어 구체적인 문제점까지 정량화할 수 있게 한다.
  • 본 연구의 선행연구인 이길성 등(2006a)에서는 도시하천의 유역통합관리를 위한 접근법을 제시한 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도시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통합관리 이론을 적용하여 건천화 방지를 위한 지속가능한 수자원 계획 (Sustainable Water Resources Planning, SWRP)을 수립하기 위한 구체적인 절차 및 이론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천화 방지로 설정되었으므로 하천관리를 위해 이수기에 설정하는 하천유지유량 (instreamflow requirement)을 구체적인 목표로 하였다. 하천유지유량은 하천에 흘러야 할 최소유량으로 정의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민구, 이광만 (2006). '수자원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수 개발과 구성 요소의 중요도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호, pp. 59-68 

  2. 강정훈, 이은태, 이주헌, 이도훈 (2004). '어류의 서식처 조건을 고려한 하천의 필요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 11호, pp. 915-927 

  3. 김규호, 이진원, 홍일표, 우효섭 (1996). '하천유지유량 결정 방법의 개발 및 적용: 1. 산정방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9권, 제4호, pp. 161-176 

  4. 김규호, 조원철, 전병호 (2000). '수량 . 수질 모의치를 이용한 어류 서식조건 유지에 필요한 적정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1호, pp. 3-14 

  5. 성영두, 박봉진, 주기재, 정관수 (2005). '하천의 어류 서식환경을 고려한 생태학적 추천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7호, pp.545-554 

  6. 신문주 (2006). SWAT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의 유량확보와 수질개선에 대한 방안.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신현석, 강두기 (2006). 'SWAT모형을 이용한 인공저류시설물의 하류장기유출 영향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3호, pp. 227-240 

  8. 심명필 (2003). 지속가능한 하천수 개발. 인하대학교, 과학기술부 

  9. 심명필 (2004). 치수사업 경제성분석 방법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건설교통부 

  10. 오규창, 정상만, 박상진, 유영석 (1991). '한강에서의 하천유지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4권, 제1호, pp. 119-128 

  11. 이기영 (2003). 안양천 살리기 종합대책. 경기개발연구원, 경기도 

  12. 이기영 (2005). 효율적인 하천 유지관리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13. 이기영, 김지영 (2003). 경기도내 하천의 건천화 방지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4. 이길성 (2004).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건전화 기술적용 서울대학교, 과학기술부 

  15. 이길성, 정은성, 김영오 (2006a). '도시 유역 관리를 위한 통합적인 접근방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2호, pp. 161-178 

  16. 이길성, 정은성, 신문주 (2006b). '기후, 지하수 취수 및 토지이용의 변화의 건기 총유출량에 대한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1 호, pp. 923-934 

  17. 이길성, 정은성, 신문주, 김영오 (2006c). '도시유역의 건천화 방지를 위한 지속가능한 수자원 계획; 2.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 권, 제11호, pp. 947-960 

  18. 이길성, 진락선, 이상호, 이정민 (2005). 'PCSWMM을 이용한 건천화 방지를 위한 유지용수의 공급 방안 II 모형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6B호, pp. 437-441 

  19. 이삼희 (2001). 안양천 살리기 종합계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양시 

  20. 이승종, 김영오, 이상호, 이길성 (2005). 'WEP 모형을 이용한 도림천 유역 물순환 모의.',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6호, pp. 449-460 

  21. 이정민, 이상호, 이길성 (2006a). '물 환경 건전화를 위한 도시하천의 물 순환 모의(I) 안양천 유역.' 한국물환경학회논문집, 한국물환경학회, 제22권, 제2호, pp.349-357 

  22. 이정민, 이상호, 이길성 (2006b). '투수성 포장을 고려 한 SWMM의 수정 및 하수처리 재이용수와 투수성 포장의 효과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2호, pp. 109-119 

  23. 정은성, 이길성 신문주(2006). 'SWAT 모형과 EMC 산정결과를 이용한 안양천의 수량 및 수질 특성.' 한국물환경학회논문집, 한국물환경학회, 제22권, 제4호, pp. 648-657 

  24. 한국수자원학회 (2005). 하천시설 설계기준 

  25. Arnold, J.G., and Fohrer, N. (2005). 'SWAT 2000: Current capabilities and research opportunities in applied watershed modeling.' Hydrological Processes, Vol. 19, No. 3, pp. 563-572 

  26. Arnold, J.G., Neitsch, S.L., Kiniry, J.R., Williams, J.R., and King, K W. (2002).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 2000.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College Station, Texas, TWRI Report TR-191 

  27. ASCE Task Committee on Sustainability Criteria (1998). Sustain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 System Am. Soc. of Civ. Eng., Reston, Va 

  28. Bardossy, A., and Bogardi, I. (1983). 'Network design for the spatial estimation of environmental variables.' Applied Mathemuics and Computation, Vol. 12, pp. 339-369 

  29. Bicknell, B.R., Imhoff, J.C., Kittle, J.L. Jr., Jobes, T.H., and Donigian, A.S. Jr. (2001).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 (HSPF) User's Manual for Version 1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National Exposure Research Laboratory, Athens, GA 

  30. Cai, X. M. and Lasdon, L. S. (2002). 'A framework for sustainability analysis in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application to the Syr Darya Basin.' Water Resource Research, Vol 39, No.8, pp. 1085-1098 

  31. European Environment Agency (1999). Environmental Indicators: Typology and Overview, Copenhagen, Denmark 

  32. Hagemeister, M.E., Jones, D.D, and Woldt, W.E. (1995). 'Hazard ranking of landfills using fuzzy composite programming.'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22, No.4, pp. 248-258 

  33. Hartmann L., Torno C., Bogardi, I., and Higler L. (198'7). Methodological Guidelines for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Evaluation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Unep/Unesco Project FP/5201-85-0l, Paris 

  34. Hashimoto, T., Loucks, D.P, and Stedinger J.R. (1982).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1, pp. 14-20 

  35. Heathcote, I.W. (1998).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New York 

  36. Istvan B., and Andras B. (2003). Quick User Guide: JESEW.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37. Lee, Y.W., Bogardi, I., and Stansbury, J. (1991). 'Fuzzy decision making in dredged-material manage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17, No. 5, pp. 614-630 

  38. Metcalf and Eddy, Inc., University of Florida, and Water Resources Engineers, Inc. (1971).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Vol. 1, Water Pollution Control Research Series 11024 DOC 07/71, U. 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 C. 

  39. Milhous, R. T., Updike, M.A., and Schneider, M. (1989).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 Reference Manual-Version 2 Instream Flow Information Paper 26, USDI Fish and Wildlife Services, Biology Report 89 (16) 

  40. OECD (1993). 'OECD core set of indicators for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 OECD Environment Monographs, No. 83, OECD, Paris 

  41. OECD (1998).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Indicators 

  42. Stalnaker, C.B., and Arnette, S.C. (1976). Methodologies for Determination of Stream Resource Flow Requirements: An Assessment. US Fish and Wildlife Services, Office of Biological Services Western Water Association 

  43. Stalnaker, C.B., Lamb, B.L., Henrikson, J., Bovee, K.D., Bartholow, J.M. (1995). The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A Primer for IFIM. Biological Report 29, National Biological Service, Fort Collins, Colorado 

  44. Sullivan, C. A. (2001). 'The potential for calculating a meaningful water poverty index.' Water International, Vol. 26, No. 4, pp. 471-480 

  45. Sullivan, C. A. (2002). 'Calculating a water poverty index.' Water Development, Vol. 30, No. 7, pp. 1195-1210 

  46. UN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2001).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Framework and Methodologies. United Nations, New York 

  47. U. S. Army Corps of Engineers (1972). Program Description and User Manual for SSARR Model -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 Model, Corps of Engineers, North Pacific Division, Department of the Army, Portland, Oregon 

  48. U. S. Geological Survey (2001). PHABSIM for Windows, User Manual and Exercises. Midcontinent Ecological Science Center, Fort Collins, Colorado 

  49. Walesh, S.G. (1989). Urban Surface Water Management. John Wiley & Sons, New York 

  50. Yurdusev, M.A. and O'Connel, P.E. (2005a). 'Environmentally-sensitive water resources planning: 1. Methodology.'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19, pp, 375-397 

  51. Yurdusev, M.A. and O'Connel, P.E. (2005b). 'Environmentally-sensitive water resources planning: 2. A case study.'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19, pp. 399-4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