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생원에 근거한 울산지역의 대기중금속 분포특성 및 발암위해성 평가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mbient Heavy Metals based on the Emission Sources and their Carcinogenic Risk Assessment in Ulsan, Ko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2 no.5 = no.92, 2006년, pp.522 - 531  

최봉욱 (울산보건환경연구원 환경과) ,  정종현 (서라벌대학 보건행정과) ,  최원준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전창재 (울산보건환경연구원 환경과) ,  손병현 (한서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ambient heavy metals to the air quality and to find their sources in Ulsan. Korea.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mbient heavy metals with wind direction were investigated by using pollution-rose diagram. Carcinogenic risk for five 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에 위치한 사업장 배출원의 직·간접 영향권 및 비영향권역을 연구대상으로 여섯 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연중 계절별 미량 중금속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pollution-rose로 풍향별 대기중금속 분포특성을 조사하였고, 울산광역시 내 오염물질 발생원 특성을 바탕으로 USEPA 발암등급 B이상의 4개 미량 중금속(Pb, Cd, Cr, Ni)에 대하여 10-5위해도를 적용한 WHO 권고기준을 G.V(Guideline Value) 농도로 산정하여 발암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울산지역의 사업장 발생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나아가 주거지역의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V(Guideline Value) 농도로 산정하여 발암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울산지역의 사업장 발생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나아가 주거지역의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울산 내 공업지역의 대기중금속 성분별로 발생원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pollution-rose를 이용하여 오염농도 기여도를 조사하였다. Pollution-rose는 식 (1)을 이용하여 16방위 풍향별로 24시간 가중으로 평균한 오염농도 변화와 바람장미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조사지점별 각각의 풍향별로 연중 오염농도의 변화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조사 지점에서 대기중금속 발생원 영향을 평가하기 위히여 울산의 중공업지역에서 다량 배출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인위적 성분의 사업장 배출량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우선 대기배출시설의 규제대상 대기오염물질로 선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Pb, Cd, Cr, Cu, Ni, Zn에 대해 울산지역 고정 배출원에 대한 중금속 배출량 현황을 환경부 배출원 자료인 SODAC7)과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Fig.

가설 설정

  • c)Cone, and C.R. indicate mean concentration and Carcinogenic risk respectivel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정종현 : 중.소형 폐기물소각로 및 배연탈황공정용 홍합(Hard-Shelled Mussel) 해양 패각폐기물 Sorbent 적용기법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9(1), 34-42, 2003 

  2. 정종현, 손병현, 정덕영, 김현규, 이협희 : 폐기물소각로의 유해 대기오염물질 배출 특성.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9(5), 17-26, 2003 

  3. 정종현, 최석규, 김현규, 최원준, 남철현 : 경주권역으로의 대기오염물질 유입현황과 석조문화재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보건학회, 31(5), 349-359, 2005 

  4. 정기호 : 울산지역 대기중 유해중금속 오염도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 울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7-20, 2001 

  5. Taking Toxics Out of the Air, 3-6, USEPA, 2000 

  6. 신동천, 정용, 김종만, 임영욱 : 서울시 대기부유분진 중 중금속에 대한 발암 위해성 평가.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0(2), 105-115, 1994 

  7. 대기배출원 Data base, SODAC(ver 2.5), 환경부, 2004 

  8. 이진흥, 장미숙, 임종명 : 다양한 통계기법을 이용한 대전 1,2 공단지역의 미량금속원소의 특성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8(2), 95-112, 2002 

  9. Certificate of Analysis of SRM 1648 Urban Particulate Matter, NIST, 2001 

  10. Harper, S. L., Walling, J. F., Holland, D. M. and Pranger, L. J. : Simplex optimization of multielement ultrasonic extraction atmospheric particulate. Analytical Chemistry, 55(9), 1553-1557, 1983 

  11. 이혜문, 김동술, 이진흥 : PM-10 내 중금속의 장기간 평균농도 및 위해도 평가.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5), 555-566, 1996 

  12. 이진흥, 윤미정, 남병현, 왕창근, 강호 : 대전공단지역의 대기 중 독성금속에 대한 위해도 평가.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8(2), 3-5, 1999 

  13. Air Pollution and Health Risk, USEPA 450/3-90-022, 1991 

  14. 이진흥, 김윤신, 류영태, 유인석 : 석유화학단지의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인한 인체위해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3(4), 257-267, 1997 

  15. WHO, Guideline for Air Quality, 32-71, 2000 

  16. 최진수, 전찬준, 백성옥 : 구미지역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측정 및 발생원별 기여도 추정. 대한환경공학회지, 20(4), 519-532, 1998 

  17. Marcus, J. A. and Mills, R. J. : Emissions from mass burn resource recovery facilities. Risk Analysis, 8(3), 315-328, 1988 

  18. USEPA : Toxicological Review of Hexavalent Chromium, Washington DC, 1998 

  19. Mancuso, T. F. : Consideration of chromium as an industrial carcinoge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eavy Metals in the Environment. Toronto, 27-31, 1975 

  20. Bell, R. W. and Hinfner, J. C. : Airbone hexavalent chromium in southwestern Ontario. Air and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47(8), 905-910, 1997 

  21. WHO :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Chromium, nickel, and welding), IARC. Lyon, 49, 257-445, 1990 

  22. USEPA : Nickel subsulfide(CAS No. 12035-7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