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신용 염료에 들어 있는 유해화학물질(페놀)의 인체 위해성 평가
Health Risk Assessment of Toxic Chemicals (Phenol) in Tattoo Ink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5 no.1, 2019년, pp.9 - 17  

조삼래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 및 산업보건학과) ,  김경희 (고려대학교 환경의학연구소) ,  최재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 및 산업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afety of tattoo ink by analyzing the phenol contents in tattoo inks and its risk assessment of selected phenol. Methods: A sample of 30 tattoo inks was purchased, the phenol contents were analyzed, and a risk assessment on dermal exposure from tattooing was carr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문신용 염료를 대상으로 페놀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페놀의 경피노출로 인한 전신영향에 대한 위해성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페놀에 대해서는 4가지 색상의 문신용 염료 내 함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여 인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문신용 염료에 대한 안전관리대책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문신용 염료를 대상으로 페놀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페놀의 경피노출로 인한 전신영향에 대한 위해성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페놀에 대해서는 4가지 색상의 문신용 염료 내 함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여 인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문신용 염료에 대한 안전관리대책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신용 염료의 안전성을 위해 지정한 법률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문신용 염료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문신용 염료에 들어 있는 유해화학물질 중에서 주로 중금속, 발암성 물질로 알려진 아조염료 등 색소, 벤조피렌ㆍ나프탈렌 등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8-9) 그 결과 유럽연합은 문신용 염료에 대하여 안전기준을 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10) 우리나라도 2015년부터「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에서 문신용 염료를 위해우려제품 중의 하나로 지정하고, 유럽연합의 안전기준과 동일하게 클로로포름·염화비닐 등 64종의 물질은 사용을 금지하고, 비소(2 mg/kg)ㆍ바륨(50 mg/kg)ㆍPAHs (0.5 mg/kg) 등 17종은 함량 기준을 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문신용 염료로 인해 생기는 부작용으로 무엇이 있는가? 정미라(2018)는 화장용 문신 제품 30개 중 20개 제품에서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보고하는 등 문신용 염료의 안전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였다.1) 문신시술은 바늘로 살갗을 찔러서 피부의 표피와 진피 사이에 잉크(문신용 염료)를 주입하는 행위2)로서 문신시술의 대중화와 더불어 피부 알레르기 반응, 악성흑색종(malignant melanoma), 편평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 등 문신용 염료에 들어 있는 화학물질로 인한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3) 그 외에도 문신시술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은 문신시술자의 미숙함으로 인하여 생기거나,4) 주사바늘 반복사용, 멸균소독 소홀 등 위생관리 불량으로 감염성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문신용 염료의 유해성을 일으키는 물질은 무엇인가? 5) 이러한 문제는 문신시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지만 문신용 염료의 유해성은 사용자의 건강영향 측면에서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문신용 염료의 유해성은 염료 내 발암물질, 중금속 등과 같은 유해화학물질 함유가 원인이 된다.6-7) 문신시술과 관련한 부작용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문신용 염료에 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Ra Jeong, Hui-Seong Lee. Ji-Young LEE, Sun-Hwa Lee. Analysis of Heavy Metals in Dyes and Pigments Used in Make up Tattoo.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8; 9(4): 321-329. 

  2. Fekete GL, Fekete JE. Tattoo-associated skin reactions-clinical cases. Acta Medica Marisiensis. 2013; 59(3): 172-174. 

  3.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 Pilot study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situation of decorative tattoos; 2015. p. 13-18. 

  4. Khetarpal S, Molenda M, Seiger E, Pui J, Obagi S. Blue foot: a second case of "tattoo blow-out" pigment spread successfully treated with the QSNd: YAG laser. J Drugs Dermatol. 2010; 9(11): 1429-1431. 

  5. Sergeant A, Conaglen P, Laurenson IF, Claxton P, Mathers ME, Kavanagh GM, Tidman MJ. Mycobacterium chelonae infection: a complication of tattooing. Clin Exp Dermatol. 2013; 38(2): 140-142. 

  6. Andrea Bassi, Piero Campolmi, Giovanni Cannarozzo et al. Tattoo-Associated Skin Reaction: The Importance of an Early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4. p. 7-14. 

  7. Biswas A. Pseudoepitheliomatous tattoo reaction. Diagnostic Histopathology. 2011; 17(6): 272-275. 

  8. Australia Department of Health. Characterisation of tattoo inks used in Australia; 2016. p. 13-27. 

  9. Giovanni Forte, Francesco Petrucci, Antonio Cristaudo, Beatrice Bocca. Market survey on toxic metals contained in tattoo ink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09; 407: 5997-6002. 

  10.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EC JRC). JRC Technical Report; Safety of tattoos and permanent make-up Compilation of information on legislative framework and analytical methods; 2015. p. 99-128. 

  11. Khandekar Shubhangi, Dive Alka, Upadhyaya Neha, Mishra Rakesh Kumar, Gupta Shalini. Cancer Risk in Tattoos: A Review. IOSR Journal of Dental and Medical Sciences. 2013; 5: 62-64. 

  12.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Skin Notation Profiles_Phenol; 2011. p. 2-5. 

  13.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 Toxicological Profile for Phenol; 2008. p. 75-76 

  1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Guideline for the preparation of data on the risk of chemical substances; 2017. p. 81-100. 

  15. 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Guidance on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chemical safety assessment; 2011. part. B-G. 

  16. 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Annex XV Restriction report; Substances in tattoo inks and permanent make up; 2017. p. 16-63. 

  17. D. M. Conning, M. J. Hayes. The dermal toxicity of phenol: an investigation of the most effective firstaid measures.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1970; 27(2): 155-159. 

  18. Mark A. Warner, James V. Happer. Cardiac Dysrhythmias Associated with Chemical Peeling with Phenol. Anesthesiology. 1985; 62: 366-367. 

  19. Menachem R. Wexler, David A. Halon, Aliza Teitelbaum, Georg Tadjer, Isaac J. Peled. The Prevention of Cardiac Arrhythmias Produced in an Animal Model by the Topical Application of a Phenol Preparation in Common Use for Face Peeling.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1984; 73(4): 595-598. 

  20. Pullin TG, Pinkerton MN, Johnson RV, et al. Decontamination of the skin of swine following phenol exposure. Toxicol Appl Pharmacol. 1978; 43: 199-206. 

  21. Robert J. Feldmann, Howard I. Maibach. Absorption of some organic compounds through the skin in man.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970; 54(5): 399-404. 

  22. Bozena Baranowska-Dutkiewicz. Skin Absorption of Phenol from Aqueous Solutions in Men.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1981; 49: 99-104. 

  23. Thomas J. Franz. Percutaneous absorption on relevance of in vitro data.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975; 64: 190-195. 

  24. H.S.Patel, A.P.Pajel, S.N.Shah. Azo Dyes Based on Phenol-Furfural Oligomers. International Journal of Polymeric and Polymeric Biomaterials. 1998; 43: 313-323. 

  25. Regensburger J, Lehner K, Maisch T, Vasold R, Santarelli F, Engel E et al. Tattoo inks contain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that additionally generate deleterious singlet oxygen. Exp Dermatol. 2010; 19(8): e275-281. 

  26. Danish EPA.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Substances in Tattoo Inks based on the project, "Chemical Substances in Tattoo Ink"; 2012. p. 3-10. 

  27. Ji-Eun Seo, Jinho Lee, and Bae-Hwan Kim. A Permeation Characteristics Study of Water- or Oil-soluble Substances through Condition Setting for the In Vitro Skin Absorption Method. J Environ Health Sci. 2017; 43(1): 77-86 

  28. Kyo-Hyun Park, Se-Hoon Jung, Ho-Sang Shin, and Bae-Hwan Kim.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Substances in Tattoo Dye using Franz Diffusion Cells. J Environ Health Sci. 2016; 42(1): 6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