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물형질전환의 현황과 한국내의 발전전망 및 과제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and Future Task in Korea of Crop Genetic Transform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식물생명공학회지, v.33 no.3, 2006년, pp.171 - 184  

한지학 ((주)농우바이오 생명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형질전환작물의 재배면적은 초창기 1996년에 비해 2005년 기준으로 약 50배 늘어났고 매년 10% 이상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형질전환작물에 의한 산업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10년에는 약 60%의 종자 매출이 형질전환기술을 이용한 개량종자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서 인류 먹거리에 막대한 영향력을 가져다주고 있는 제 2의 녹색혁명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에서는 형질전환작물에 대한 상업화가 전혀 활성화가 되지 않아서 미래 종자전쟁에서 패배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결코 기술적으로 뒤떨어져 있지 않으며 실제로 외국과 비교하여 많은 작물들에 대한 protocol이 국내 연구자들에 의해서 완성되어 왔다. 또한 몇몇 작물은 세계 최초로 형질전환시스템을 구축한 경우들도 있어서 외국과의 경쟁력에서 우위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형질전환개발 기술측면에서는 국가 경쟁력이 있었지만 상업화하기 위한 몇 가지 시스템이 부족하였던 것이 현주소라고 사려 된다. 가장 큰 문제는 형질전환작물 개발 초기서부터 target 유전자가 제대로 상업화가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형질전환작물이 개발되었을 경우 육종가에 의한 형질전환육종이 실행되지 않고 비육종가 직접 재배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체세포 변이에 의한 열성 개체들이 선발되거나 tansgene의 효과가 자식열세에 의해서 상쇄되어 원예적으로 불량하게 선발된 것이 아닌가 사려 된다. 앞으로 이런 문제점들을 잘 숙지하고 형질전환작물의 상업화를 위하여 정부, 대학, 국립연구소, 산업체, 국민 모두 자기 역할을 활성화하여야한다. 향후 종자전쟁의 경쟁에서 우리가 시장점유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지금서부터 짊어지고 가야할 숙제와 난관이 너무 많다. 이미 국제적 경쟁에서 많이 뒤져있어서 우리가 제일 잘 할 수 있는 작물을 선택하여 개발하는 것을 제 1우선순위로 채택하고 산 학 연 협력으로 집중 연구하여 많은 사람들이 진정으로 인정하는 형질전환작물 품종개발이 가급적 빠른 기간 내에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ISAAA report, the global area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increased more than 50 fold during the ten-year period from 1996 to 2005 with a sustained double-digit growth rate of 10%. This biotechnology adoption is one of the highest rates of technology adoption in agriculture histo...

참고문헌 (11)

  1. Black R (2004) BBC News. Europe Gives Transgenic Seed Green Light. Agbioview at www.agbioworld.org; September 9 

  2. Clive James (2004)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transgenic crops ISAAA 

  3. Clive James (2005)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transgenic crops ISAAA 

  4. Kim JH (2006) LMOs research development. 2006 Biosafety white paper. Korea Biosafety Clearing House (KBCH) of KRIBB. I will publishing Co. 214-234 

  5. NIAS: National Institute of Agrobiological Science in Japan (2004) Field trial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News 13 

  6. IAPTC&B: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issue Culture & Biotechnology (2006) Biotechnology and sustainable agriculture 2006 and beyond. Proceeding of 11 th IAPTC&B congress. Beijing, China. August 13-18 

  7. KBCH: Korea Biosafety Clearing House (KBCH) of KRIBB (2006) Introduction of private sector: Pioneer Hi-Bredinternational, Inc. Biosafety 7: 102-106 

  8. Harn CH (2004) Advantages of GM crops. Korea Biosafety Clearing House (KBCH) of KRIBB. Biosafety 5: 8-15 

  9. KSPGT: Korean Society of Plant Genetic Transformation. Transformation of crops. Jeong Mun Kak publishing Co. in press 

  10. NIAB: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Guideline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M crops: for public. Registration number: 11-1390564-000045-14.2006, 1-13 

  11. Ham CH (2004) Role of scientists developing LMO 'regarding the safety and improvement of system for commercialization.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May 7-8. Proceeding of 2004 Spring Congress. 75-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