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분농도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성장호르몬, 프로락틴 및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변화
Gene Expression Levels of Growth Hormone, Prolactin and Their Receptor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Salinity Changes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9 no.4, 2006년, pp.326 - 332  

조영민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대학원 해양응용생명공학과) ,  신지혜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대학원 해양응용생명공학과) ,  손영창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대학원 해양응용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salinity on the expression of the genes for growth hormone (GH) and prolactin (PRL) in the pituitary, and their receptors (GHR, PRLR) In the kidney, intestine, and gills in teleosts, we acclimated juvenile olive flounders (Paralichthys olivaceus) to diff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2). 연구에서는 삼투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과 수용체의 발현변화를 조사하여 호르몬유전자의 발현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염분농도 차이에 따른 GHR의 mRNA 발현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PRLR의 mRNA 발현은 저염분 환경에서 약간 증가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염분 환경조건에 일시적으로 순치된 넙치의 PRL과 GH mRNA 발현변화를 분자 수준에서 밝히고, 삼투압조절 기관의 PRLR과 GHR의 mRNA 발현양상을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넙치의 염분변화에 따른 항상성 유지에 필요한 삼투조절기구에 관한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광염성 어류의 PRL과 GH의 기능 해석 및 작용기전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uperin, B., F. Rentier-Delrue, J.A. Martial and P. Prunet. 1994. Evidence that two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prolactins have different osmoregulatory functions during adaptation to a hyperosmotic environment. J. Mol. Endocrinol., 12, 13-24 

  2. Ayson, F.G., T. Kaneko, M. Tagawa, S. Hasegawa, E.G. Grau, R.S. Nishioka, S.K. David, H.A. Bern and T. Hirano. 1993. Effects of acclimation to hypertonic environment on plasma and pituitary levels of two prolactins and growth hormone in two species of tilapia, Oreochromis mossambicus and Oreochromis niloticus. Gen. Comp. Endocrinol., 89, 138-148 

  3. Chang, Y.J., B.H. Min, H.J. Chang and J.W Hur. 2002. Comparison of blood physiology in juvenile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reared in converted freshwater from seawater and seawater from freshwater. J. Kor. Fish. Soc., 35, 595-600 

  4. Helms, L.M.H., E.G. Grau and R.J. Borski. 1991. Effects of osmotic pressure and somatostatin on the cAMP messenger system of the osmosensitive prolactin cell of a teleost fish, the tilapia (Oreochromis mossambicus). Gen .. Comp. Endocrinol., 83, 111-117 

  5. Higashimoto, Y., N. Nakao, T. Ohkubo, M. Tanaka and K. Nakashima. 2001. Structure and tissue distribution of prolactin receptor mRNA in Japanese flounder (Paralichtys olivaceus): conserved and preferential expression in osmoregulatory organs. Gen. Comp. Endocrinol., 123, 170-179 

  6. Hirano, T. 1986. The spectrum of prolactin action in teleosts. Gen. Comp. Endocrinol., 112, 53-74 

  7. Kawanchi, H. and S.A. Sower. 2006. The dawn and evolution of hormones in the adenohypophysis. Gen. Comp. Enodcrinol., 148, 3-14 

  8. Kelly, S.P., I.K. Chow and N.S. Woo. 1999. Effects of prolactin and growth hormone on strategies of hypo osmotic adaptation in a marine teleost, Sparus sarba. Gen. Comp. Endocrinol., 113, 9-22 

  9. Lee, K.M., T. Kaneko and K. Aida. 2006. Prolactin and prolactin receptor expressions in a marine teleost, pufferfish Takifugu rubripes. Gen. Comp. Endocrinol., 143. 318-28 

  10. Mancera, J.M., R.L. Carrion and M.D.M. Riodel. 2002. Osmoregulatory action of PRL, GH, and cortisol in the gilthead seabream (Sparus aurata L.). Gen. Comp. Endocrinol. 129, 95-103 

  11. Madsen, S.S. and H.A. Bern. 1992. Antagonism of prolactin and growth hormone: impact on seawater adaptation in two salmonids, Salmo trutta and Oncorhynchus. Zool. Sci., 9, 775-784 

  12. Manzon, L.A. 2002. The prolactin in fish osmoregulation: a review. Gen. Comp. Endocrinol., 125, 291-310 

  13. McCormick, S.D. 2001. Endocrine control of osmoregulation in teleost fish. Am. Zool., 41, 781-794 

  14. Morgan, J.D. and G.K. Iwama. 1991. Effects of salinity on growth, metabolism, and ion regulation in juvenile rainbow trout and steelhead trout (Oncorhynchus mykiss) and fall chinook salmon (Oncorhychus kisutch). Can. J. Fish. Aquat. Sci., 48, 2083-2094 

  15. Nakao, N., Y. Higashimoto, T. Ohkubo, H. Yoshizato, N. Nakai, K. Nakashima and M. Tanaka. 2004. Characterization of structure and expression of the growth hormone receptor gene of the Japanese flounder (Paralichtys olivaceus). J. Endocrinol., 182, 157-164 

  16. Power, D.M. 2005. Developmental ontogeny of prolactin and its receptor in fish. Gen. Comp. Endocrinol., 142, 25-33 

  17. Sampaio, L.A. and A. Bianchini. 2002. Salinity effects on osmoregulation and growth of the euryhaline flounder Paralichtys orbignyanus. J. Exp. Mar. Biol. Ecol., 269, 187-196 

  18. Seale, A.P., L.G. Riley, T.A. Leedom, S. Kajimura, R.M. Dores, T. Hirano and E.G. Grau. 2002. Effects of environmental osmolality on release of prolactin, growth hormone and ACTH from the tilapia pituitary. Gen. Comp. Endocrinol., 128, 91-101 

  19. Yada, T., T. Hirano and E.G. Grau. 1994. Changes in plasma levels of the two prolactins and growth hormone during adaptation to differentsalinities in the euryhaline tilapia, Oreochromis mossambicus. Gen. Comp. Endocrinol., 93, 214-2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